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1234-1249) 안경에 김이 서렸어요. 영어로? (My glasses were fogged up.)

by 영어 낚는 어부 2025. 6. 6.
반응형

(1234-1249) 안경에 김이 서렸어요. 영어로 (My glasses were fogged up.).mp3
2.61MB

 

1234. I dipped it in sauce and ate it.

-해석: 그걸 소스에 찍어서 먹었어요.

-분석: “dip”은 무엇을 액체 등에 담그다, 찍다입니다. Dip sauce(딥소스)아시죠? 그리고 dip deep(깊은) 과 같은 뿌리에서 나왔답니다.

 

비슷한 문장들:

I dipped it into the sauce and ate it.

- “Into” 는 소스 안쪽을 푹 찍어 넣었다는 의미로 찍는 동작이 소스 속으로 향해 들어간다는 느낌이 더 강하답니다. “In”이 위치나 결과에 중점을 둔다면, “into” 는 동작방향이나 과정에 집중할 때 사용한답니다.

 

I dipped it in some sauce and ate it.

- some 사용하면 문장이 더 부드러워 진답니다.

 

I dipped it in the sauce before eating it.

- the sauce 그 소스로 어떤 특정한 소스를 의미하는 거죠.

 

 

"sauce" 'the'를 붙이느냐 안 붙이느냐에 따라 뉘앙스가 달라집니다.

 

“In sauce”는 일반적인 소스, 특정하지 않은 소스를 의미 즉, 그냥 소스라는 종류 또는 상태를 말할 때 사용하고,

“In the sauce”는 특정한 소스, 이미 알고 있거나 문맥에서 특정한 소스를 가리킬 때 사용한답니다.

 

예시:

I dipped it in sauce and ate it.
 →
그냥 소스에 찍었다. 어떤 소스든 상관없거나 처음 언급할 때 쓰임.
 (
: 케첩, 마요네즈, 간장 등 아무 소스나)

I dipped it in the sauce and ate it.
 →
이미 앞에서 언급했거나, 특정 소스를 가리킬 때 사용.
 (
: 탁자 위에 놓여 있는그 소스’, 혹은 음식과 같이 나온 소스)

 

문맥에 따른 차이:

만약 문장이나 대화에서 소스가 처음 등장하면 보통 no article (the 없이) 씁니다.

하지만 한 번 언급된 후에 다시 말할 때는 the sauce라고 합니다.

 

1235. I sprinkled pepper on the pizza.

-해석: 페퍼를 그 피자 위에 뿌렸어요.

-분석: “sprinkle”흩뿌리다’, ‘살짝 뿌리다의 의미랍니다. 이 뿌리다라는 개념은 spray(스프레이), scatter(흩어 뿌리다)와 같은 뿌리를 가지고 있답니다. 그래서 비슷하게 생긴거랍니다.

 “pepper”은 보통은 후추 (black pepper)이고,

 

영어 pepper는 인도에서 유래된 향신료 이름이에요.

산스크리트어 pippalī(긴 후추, long pepper) → 그리스어 peperi → 라틴어 piper → 고대 영어 pipor → 현대 영어 pepper로 이어졌습니다.

초기에는긴 후추(long pepper)’를 의미했지만, 오늘날 우리가 먹는 검은 후추(black pepper)는 다른 식물에서 유래했음에도 같은 이름으로 불리게 됐어요.

 

재미 있는 부분은,

peppermint: 후추 + 민트박하 (사실 후추는 없지만 이름만 따왔답니다.)

bell pepper: 피망 (매운맛은 없지만 모양이 비슷해서 붙은 이름이죠.)

 

“on the pizza”피자 위에라는 의미랍니다.

 

참고로 다른 조미료나 음식에도 응용 가능해요:

I sprinkled cheese on the pasta.
(
파스타 위에 치즈를 뿌렸어요.)

 

I sprinkled salt on the fries.
(
감자튀김 위에 소금을 뿌렸어요.)

 

I sprinkled sugar on the pancakes.
(
팬케이크 위에 설탕을 뿌렸어요.)

 

I sprinkled cinnamon on my coffee.
(
커피 위에 계피를 뿌렸어요.)

 

I sprinkled parsley on the soup.
(
수프 위에 파슬리를 뿌렸어요.)

 

I sprinkled sesame seeds on the salad.
(
샐러드 위에 참깨를 뿌렸어요.)

 

I sprinkled some red pepper flakes on my ramen.
(
라면에 고추 가루를 조금 뿌렸다.)

 

I sprinkled powdered sugar on the cake.
(
케이크 위에 슈가파우더를 뿌렸어요.)

 

1236. I blew on it as I ate.

-해석: 먹을 때 그것을 후후 불면서 먹었어요.

-분석: “blow”불다이고, “as”는 다양한 의미가 있지만 여기서는 “~의 의미를 가진답니다.

 

유사한 표현들:

1. I blew on it while eating.

 → 간결하고 일상적인 표현

2. I blew on it as I was eating.

 → 진행 중인 상황을 좀 더 부드럽게 표현

3. I kept blowing on it while I ate.

 → ‘계속 불었다는 느낌을 주고 싶을 때

 

 

동사 "blow"(불다)의 어원은 고대 게르만어에서 비롯되며, 매우 오래된 인도유럽어 뿌리를 가지고 있답니다.

 

“blow (불다)”의 어원:

고대 영어: blāwan – 불다 (to blow, breathe)

게르만 조어(Proto-Germanic): blēaną – 바람을 불다

인도유럽 공통 조어(PIE): bhle- 또는 bhlē- – 불다, 숨쉬다, 부풀다

 

기본 의미 변화:

숨을 쉬다 / 내쉬다
 →
: 생명 활동과 관련된 숨, 바람

공기를 내뿜다바람을 일으키다
 →
: The wind is blowing.

무언가를 입김이나 바람으로 움직이다
 →
: She blew the candle out.
   (
촛불을 불어서 끄다)

폭발하다, 망치다 (비유적 표현)
 →
: He blew his chance. (기회를 날려버렸다)

 

관련 표현 예시:

blow on: ~에 입김을 불다

blow up: 폭발하다 / 화를 내다

blow out: 불어서 끄다

blow away: 바람에 날려 보내다

blow off steam: 화풀이하다, 스트레스를 풀다

blow over: (폭풍, 문제 등이) 지나가다

 

“blow”세게 치다”, “타격의 의미도 있는데, 어원이 다른 동음이의어입니다. 그래서 한 단어이지만, “불다세게 치다두 가지 의미가 있답니다.

 

주워 갈 수 있는 단어들?

blast: 폭발, 강한 바람같은 어근에서 파생됨

blister: (물집) → 부풀어 오르다숨쉬다/부풀다의 의미에서 발전

bladder: 방광부풀 수 있는 주머니같은 어근

 

“as”는 매우 다양하게 쓰이는 단어로, 품사에 따라 의미와 역할이 달라집니다. 아래에 as의 대표적인 의미와 쓰임을 살펴보겠습니다.

저는 보통 화장실에서 사용하는 비데로 말을 만들어 외웠답니다.

예문과 함께 외워두니, 나중에는 그냥 자연스럽게 문맥에서 파악이 되었답니다.

그냥 느낌이 팍 온답니다.

지금은,

비대로 할때 때 (처음)처럼 따라 ()듯이

화장실에서 비데 아시죠?

 

1. 비롯~일지라도(양보 의미, 드물게 사용)

Child as he was, he was brave.

(그가 어린아이이긴 했지만, 그는 용감했다.)

 

문어체에서 자주 쓰이는 도치된 양보절 표현입니다.
다만 일상 회화에서는 잘 쓰이지 않고, 격식 있는 글이나 문학 작품 등에서 많이 보입니다. 시험용으로 익혀두야 하는 문장이죠.

 

Child as he was = Although he was a child

여기서 as는 비록 ~일지라도 라는 의미를 가진 양보의 as입니다.

 

이 구조는 다음과 같은 도치 구조예요:

명사/형용사 + as + 주어 + 동사
비록 ~일지라도

다른 예문:

Tired as he was, he kept working.
 →
비록 그가 피곤했지만, 계속 일했다.

Poor as they are, they are happy.
 →
가난하긴 하지만, 그들은 행복하다.

Child as he was, he understood everything.
 →
비록 그는 어린아이였지만, 모든 걸 이해했다.

 

일상적인 표현으로 바꾸면?

Although he was a child, he was brave.

 

Even though he was a child, he was brave.

같은 뜻이지만 일상적인 회화체에서는 이렇게 말하는 게 자연스럽습니다.

 

2. 대로

Do as I tell you!

(지금 내가 말하는 대로 해!)

 

3. ~로서

As a teacher

(교사로서)

 

"as + 직업/역할/자격" “~로서”, 즉 신분이나 역할을 나타낼 때 자주 쓰는 전치사 as의 용법입니다.

 

She speaks to her students as a teacher, not as a friend.
(
그 여자는 교사로서 학생들에게 말한다. 친구로서가 아니라.)

 

He worked as a teacher for 10 years before becoming a principal.
(
그 사람은 교사로서 10년간 일한 뒤 교장이 되었어요.)

 

As a teacher, I try to understand each student's needs.
(
교사로서 저는 각 학생의 필요를 이해하려고 노력해요.)

 

비슷한 예:

as a doctor → 의사로서

as a parent → 부모로서

as your friend → 친구로서

as a leader → 리더로서

 

참고, "like a teacher" "as a teacher"의 차이?

Like a teacher – 교사가 아니지만 마치 교사처럼~.

As a teacher – 교사로서!

 

4. ~할 때

As I got in, he went out.

(내가 들어가자마자 그는 나갔다. 또는 내가 들어갈 때 그는 나갔다.)

 

여기서 as의 의미?

as는 여기서 시간(time)을 나타냅니다.

As S V, S V → "~할 때", "~하자마자", "~하면서"

 

비슷한 예문:

As I was leaving, she arrived.
(
내가 떠날 때 그 여자가 도착했어요.)

As we walked through the forest, it began to rain.
(
우리가 숲을 걷는 동안 비가 내리기 시작했어요.)

As he opened the door, the phone rang.
(
그 사람이 문을 여는 순간 전화벨이 울렸어요.)

 

참고!

"As I got in, he went out."
"When I got in, he went out."
는 비슷하지만 뉘앙스에 미묘한 차이가 있습니다.

 

As I got in, he went out.

의미: 내가 들어가는 바로 그 순간, 그가 나갔다.

동시성강조두 사건이 거의 동시에 일어났다는 느낌

자연스럽게 움직임이 교차되듯이 일어난 느낌

:

As I got in, he went out through the same door.
나랑 거의 엇갈리며 나갔다는 인상

 

When I got in, he went out.

의미: 내가 들어왔을 때, 그가 나갔다.

내가 들어온 직후일 수도 있고, ‘들어온 이후일 수도 있음

시간 순서에 집중 (같은 순간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음)

:

When I got in, he went out without saying anything.
내가 들어오자(혹은 들어오고 나서) 그는 말도 안 하고 나갔다.

 

결론적으로,

As → 두 동작이 동시에 일어나거나 아주 가까운 시점에서 일어날 때

When → 어떤 사건이 일어난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그 전에/후에 무엇이 일어났는지를 말할 때

 

5. 때문에

As he was angry,

(그 사람이 화가 났기 때문에,)

"As he was angry" 는 문법적으로 완전한 문장이 아닙니다.
뒤에 주절(main clause)이 꼭 있어야 자연스럽습니다.

 

자연스러운 문장 예:

As he was angry, he didn’t say a word.
(
그 사람은 화가 났기 때문에 한 마디도 하지 않았어요.)

 

As he was angry, he left the room.
(
그 사람은 화가 나서 방을 나가버렸어요.)

 

참고!

Because he was angry,

As he was angry,

Since he was angry,

For he was angry
모두 "그가 화가 났기 때문에" 라는 뜻을 담고 있지만, 미묘한 뉘앙스 차이가 있습니다.

 

Because he was angry

가장 직접적이고 강한 이유 표현.

의미: "그가 화가 났기 때문에"

원인과 결과의 관계를 강하게 말할 때 사용.

보통 주절 앞이나 뒤 어느 쪽에도 올 수 있음.

:

Because he was angry, he left the meeting early.

(그 사람은 화가 났기 때문에, 회의를 일찍 나갔어요.)


He left the meeting early because he was angry.

(그 사람은 회의를 일찍 나갔어요. 왜냐하면 화가 났기 때문이었죠.)

 

As he was angry

부드러운 이유, 또는 시간적인 동시에도 가능.

의미: 이유일 경우, "그가 화가 나 있었으므로"

because보다는 덜 강조, 부드럽게 이유 설명.

때로는 동시 상황 (시간)도 의미할 수 있음.

:

As he was angry, he didn't talk to anyone.
(=
화가 나 있어서 아무하고도 말 안 했어요.)

 

Since he was angry

이미 알고 있는 이유나 배경 설명처럼 쓸 때.

의미: 이유 (약하게), "그가 화가 나 있었으니까"

이유를 설명하되, 화자의 설명이나 전제가 들어감.

약간 공식적, 설명체에 자주 쓰임

:

Since he was angry, I decided not to disturb him.
(=
걔가 화가 나 있었으니까, 내가 건드리지 않기로 했어.)

 

For he was angry

문어체, 설명 덧붙일 때 사용 (구어에서는 거의 안 씀)

의미: "~했기 때문이다" (조금 옛날 느낌, 글에서 많이 씀)

접속사 for는 보통 주절 뒤에 위치, 이유 덧붙임.

문장 앞에는 거의 안 옴

:

He said nothing, for he was angry.
(=
그는 아무 말도 안 했다. 왜냐하면 화가 나 있었기 때문이다.)

 

6. ~처럼

He talks as his father does.

(걔는 자기 아버지처럼 말해요.)

 

이 문장은 "He talks like his father."라고 해도 말이 됩니다.
다만 as는 문장 ()이 따라올 때 더 자연스럽고 격식 있어요.
→ as +
주어 + 동사
→ like +
명사/대명사

 

7. ~따라

As I am getting older,

(나이를 먹어 감에 따라, 또는 나이를 점점 먹어 가면서)

 

보통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나 상황의 점진적 진행을 말할 때 자주 쓰는 구조예요.

 

예문:

As I am getting older, I find it harder to stay up late.
(
나이가 들어가면서 밤늦게 까지 깨어 있는 게 점점 힘들어져.)

 

As I am getting older, my priorities are changing.
(
나이가 들면서 내 우선순위가 달라지고 있어.)

 

As I am getting older, I’m starting to appreciate the little things.
(
나이가 들수록 사소한 것들에 감사하게 돼.

 

8. ~듯이,

As you know,

(너도 알 듯이, 너도 알다시피)

 

As you might have seen,

(너가 아마 봤듯이,)

 

“As you know” = “너도 알 듯이”, “네가 알다시피”, “너도 알겠지만

상대방이 이미 알고 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이야기를 시작할 때 씁니다.

 

예문:

As you know, the meeting is at 3 p.m.
(
네가 알다시피, 회의는 3시에 있어.)

As you know, she is very talented.
(
너도 알 듯이, 그녀는 매우 재능 있어.)

 

예문:

As you might have seen, the event was a big success.
(
네가 아마 봤듯이 또는 너도 아마 봤겠지만, 행사는 대성공이었어.)

As you might have seen on the news, there was a big storm yesterday.
(
너도 뉴스에서 봤 듯이 또는 뉴스에서 봤겠지만, 어제 큰 폭풍이 있었어.)

 

이렇게 as 는 총 8개의 의미로 할 수 있답니다.

각자의 방법으로 꼭 외워야 하는 요소입니다.

저는 비대로할때 때 (처음)처럼 따라()듯이라고 말을 만들고, 예문을 하나씩 외우고 있답니다.

 

이렇게 8개로 끝나면 좋겠지만,,,,,,

그 외 또한 비교급에서 원급비교 as~as”라는 이름으로 사용되고,

관용적으로 여러 다른 의미를 가진답니다.

① ~처럼, ~만큼 (비교)

구문: as(부사) + 형용사/부사 + as(접속사)

:
He is as tall as his brother.
(
그 사람은 형만큼 키가 크다.)

이 문장을 해석하는 요령은 아래와 같습니다.

앞의 as -부사이니 tall(형용사)를 강조하면서 꾸며 주면 되니- “그렇게라고 하고 해석하고, 뒤의 as(접속사)“~만큼이라고 해석하면 부드럽게 앞에서 해석을 할 수 있답니다.

(그 사람은 그렇게 커요. 그의 형만큼.)

 

She doesn’t run as fast as me.
(
그 여자는 그렇게 빠르게 달리지 않는다. 나 만큼.)

완전한국어 처럼 해석하면, (그 여자는 나 만큼 빨리 달리지는 못해요.)

 

관용 표현 속의 as

as if / as though: 마치 ~인 것처럼
He talks as if he knew everything.

(그 사람은 마치 모든 것을 아는 것처럼 말해요.)

 

such as: 예를 들면
I like fruits such as apples and oranges.

(저는 과일을 좋아해요. 예를 들면 사과나 오렌지이죠.)

 

as well as: ~뿐만 아니라
She speaks French as well as English.

(그 여자는 프랑스어 뿐만 아니라 영어도 말해요.)

 

as far as: ~하는 한
As far as I know, he’s single.

(내가 아는 한, 그 사람은 싱글이에요.)

 

as soon as: ~하자마자
Call me as soon as you arrive.

(전화하세요. 도착하자 마자.)

 

as long as: ~하기만 하면 / ~하는 한

You can stay as long as you’re quiet.
(
조용히 하기만 하면 있어도 돼.)

I’ll help you as long as you promise to be honest.
(
정직하겠다고 약속만 하면 도와줄게.)

 

주의! 이것은 원급비교로도 사용가능! 하지만, 덜 흔함!

비교 (덜 흔함): ~만큼 오래

의미: 길이나 시간의 길이를 비교할 때

해석: "~만큼 오래"

예문:

He didn’t stay as long as I expected.
(
걔는 내가 예상한 만큼 오래 있진 않았어.)

 

1237. My glasses were fogged up.

-해석: 안경에 김이 서렸어요.

-분석: “were fogged up”김이 서렸다수동태: 김이 저절로 낀 상태이죠.

특히 라면 먹을 때 종종 발생하죠. 안경 낀 분들은 아시죠? J

 

비슷한 표현들:

My glasses fogged up. → 이것도 맞아요. (능동형, 결과적으로 같은 의미)

My glasses are fogged up. → 지금 김이 서 있는 상태.

My glasses keep fogging up. → 계속 김이 서는 상태 (짜증날 때!)

 

응용:

I walked outside and my glasses were fogged up immediately.
(
밖에 나가자마자 안경에 김이 확 서렸어.)

 

After wearing a mask, my glasses fogged up again.
(
마스크 쓰고 나니까 또 김이 서렸어.)

 

1238. I blew on my food to cool it down.

-해석: 음식을 식히려고 음식을 후후 불었어요.
-
분석: “blow on something”무언가에 입김을 불다” (특히 식히기 위해)입니다.

“to cool it down”그걸 식히기 위해로 목적을 나타내는 to부정사 표현을 사용한 것이죠.

 

응용

I blew on my soup because it was too hot.
(
국이 너무 뜨거워서 입김을 불었어.)

 

She blew on her coffee to cool it off.
(
그 여자는 커피를 식히려고 입김을 불었어.)

 

1239. I chewed it.

-해석: 그것을 씹었어요.

-분석: “chew”씹다 (음식 등을 이로 으깨는 동작)”이죠.

 

응용:

I didn’t swallow it — I just chewed it and spit it out.
(
난 삼키진 않았어그냥 씹고 뱉었어.)

 

The steak was tough, but I chewed it anyway.
(
스테이크가 질겼지만 그래도 씹었어.)

 

I chewed it slowly to taste the flavor.
(
맛을 느끼려고 천천히 씹었어.)

 

Chew 의 가장 기본적인 씹다를 응용해서 추상적인 의미로도 사용할 수 있답니다.

1. chew on

:

(음식을) 오래 씹다

(비유적으로) 곰곰이 생각하다 / 고민하다

예문:

He chewed on the tough meat for a while.
(
그 사람은 질긴 고기를 한참 씹었어요.)

 

Let me chew on that idea for a bit.
(
생각 좀 곰곰이 해볼게.)

해석 팁:

→ "on"이 붙으면, 무언가를 천천히 오래 씹거나, 머릿속에서 곱씹는 느낌이에요.
실제 씹는 것도 되고, 비유적인 고민도 돼요.

 

2. chew up

:

~을 갈기갈기 씹어버리다, 망가뜨리다

(기계가) ~을 집어삼키듯 망가뜨리다

(사람을) 심리적으로 짓밟다 (구어체)

예문:

The dog chewed up my shoe!
(
개가 내 신발을 물어뜯어 망가뜨렸어!)

The paper got chewed up in the printer.
(
프린터에 종이가 걸려서 너덜너덜해졌어.)

He got chewed up in the interview.
(
그 사람 면접에서 박살났어.) ← 구어체, 비유적 표현

해석 팁:

→ "up"은 완전히, 산산이, 망가질 정도로의 뉘앙스.
기계나 개, 상황이 무언가를 망가뜨릴 때 씁니다.

 

3. chew out

:

거칠게 혼내다, 호되게 꾸짖다
특히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화내며 야단칠 때 쓰는 표현입니다.

동의어:

scold (일반적)

tell off (구어체)

reprimand (격식체)

yell at (크게 소리치며 혼내다)

 

예문:

The coach chewed out the players for being late.
(
감독이 선수들이 늦었다고 호되게 혼냈다.)

 

I got chewed out by my boss for missing the meeting.
(
회의에 빠져서 상사한테 한바탕 혼났어.)

 

My dad chewed me out for denting the car.
(
아빠가 차 찌그러뜨렸다고 나 엄청 혼냈어.)

 

어감과 상황:

보통 감정이 섞여 있고, 목소리를 높이며 심하게 혼내는 장면을 묘사할 때 사용합니다.

상사, 부모, 군대 상관 등이 아랫사람에게 혼내는 권위적인 장면에서 자주 나옵니다.

 

 

1240. I devoured my food.

-해석: 정신 없이 음식을 먹었어요.

-분석: "음식을 게걸스럽게 먹었다 / 허겁지겁 먹었다"로 해석해도 된답니다.

 

어감과 사용 상황:

이 표현은 구어체에 가까운 표현이고, 일상 대화에서 생생하게 묘사할 때 자주 쓰여요. 다만 완전히 캐주얼한 말은 아니고, 약간 묘사적인 표현으로 쓰여요.

문어체에서도 사용될 수 있어요. 특히 소설이나 기사에서 누군가 음식을 탐욕스럽게 먹는 장면을 묘사할 때입니다.

 

응용:

After skipping lunch, I devoured my dinner in minutes.
(
점심을 거른 뒤, 전 저녁을 순식간에 해치웠어요.)

 

He devoured the burger like he hadn’t eaten in days.
(
걔는 며칠 굶은 사람처럼 햄버거를 먹어 치웠어요.)

 

She devoured the novel in one sitting.
(
그 여자는 그 소설을 한 번에 다 읽어 치웠다.)
여기선 'devour'을 비유적으로 사용함 (음식이 아닌 책).

 

I devoured my food as soon as I got home.
(
집에 도착하자마자 음식을 허겁지겁 먹어 치웠어요.)
진짜 배가 고픈 상황. ‘게걸스럽게라는 뉘앙스가 있음.

 

The pasta was so good that I devoured every bite.
(
파스타가 너무 맛있어서 한입도 남기지 않고 먹어 치웠어요.)
→ '
맛있어서'라는 이유가 강조됨.

 

She devoured the entire Harry Potter series in a week.
(
걔는 해리포터 시리즈 전권을 일주일 만에 다 읽어버렸어요.)
여기선 ‘devour’이 비유적으로, 정신적으로 빠져들어 '열중해서 소비한'다는 뜻이에요.

 

He devoured her with his eyes.
(
그 사람은 눈으로 그 여자를 탐하듯 바라봤어요.)

직역하면눈으로 먹었다’, 실제론 욕망 어린 눈빛을 의미해요.

 성적인 뉘앙스가 있는 상황 (소설이나 영화 대사 등에서 나올 수 있어요)

 

1241. I pigged out.

-해석: 과식을 했어요.

-분석: “pig”는 명사로 '돼지'이죠. 여기는 동사로 사용되어 게걸스럽게 먹다 /돼지처럼 먹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답니다.

 

이 표현은 아주 구어체이고, 속어(slang)에 가까워요. 그래서 캐주얼하고, 100%, 친구끼리 쓰는 말이죠. 문어체에서는 부적절한 표현이랍니다.

 

돼지처럼 먹었다는 뜻에서 나온 표현이라, 스스로를 자조적으로 표현할 때 자주 써요.

 

응용:

I totally pigged out at the buffet last night.
(
어젯밤 뷔페에서 완전 폭식했어.)

 

We pigged out on pizza and ice cream during the sleepover.
(
우리 피자랑 아이스크림 엄청 먹었어, 밤샘 파티 때.)

 

I feel so full… I think I pigged out too much.
(
너무 배불러나 너무 많이 먹은 것 같아.)

 

1242. I pigged out on pork.

-해석: 돼지고기를 많이 먹었어요

-분석: “pig out on + [음식]”어떤 음식을 과하게 많이 먹다/폭식하다는 의미입니다.

응용:

We pigged out on pizza and wings.
(
우린 피자랑 윙을 폭식했어.)

 

He pigged out on chocolate during the holidays.
(
걔는 휴일 내내 초콜릿을 잔뜩 먹었어.)

 

같은 전치사 쓰는 표현?

binge on → He binged on Netflix all night.

(걔는 밤새 넷플릭스를 정주행했어.)

 

feast on → We feasted on roasted lamb.

(우린 구운 양고기를 푸짐하게 먹었어.)

 

이런 표현들도 전치사 on을 쓰는 건 어떤 구체적인 대상을 "많이, 탐욕스럽게" 소비할 때 쓰는 공통점이 있어요.

 

1243. I wolfed down my food.

-해석: 음식을 마구 먹었어요.

-분석: 늑대가 고개를 숙여 정신 없이 먹는 것처럼 먹었다라는 의미랍니다.

늑대는 먹을 때 씹지도 않고 꿀꺽꿀꺽 삼키죠.

아주 자연스러운 구어체 표현이에요!

 

어감:

매우 구어체, 하지만 문법적으로 정확!

일반 대화, 친구 사이, 설명적인 글쓰기 등에서 자주 사용됨!

약간 웃기거나 생생한 묘사를 원할 때 좋아요.

문어체나 공식 문서에는 적합하지 않음!

 

응용:

I was so hungry I wolfed down my lunch in five minutes.
(
너무 배고파서 점심을 5분 만에 허겁지겁 먹어버렸어.)

 

He wolfed down the burger like he hadn’t eaten in days.
(
걔는 며칠 굶은 사람처럼 햄버거를 게걸스럽게 먹었어.)

 

We wolfed down the snacks during the break.
(
쉬는 시간에 과자를 허겁지겁 먹었어.)

 

1244. I stuffed my mouth with food.

-해석: 입에 음식을 가득 채웠어요.

-분석: “stuff A with B”“A B채워 넣다/우겨 넣다라는 의미랍니다. 구어체에서 자주 쓰이고, 음식을 빨리, 마구, 우겨 넣는 느낌이며, 약간은 지저분하거나 배고픈 상태, 또는 재밌는 묘사로도 사용한답니다.

 

표현 비교:

I stuffed my mouth with food. – 입에 음식을 우겨 넣었어요: 우걱우걱 느낌!

I wolfed down my food. 음식을 허겁지겁 먹었어요: 빠르고 거칠게!

I pigged out on food. 음식을 과하게 먹었어요: 과식, 폭식!

I gobbled up my food. 음식을 급하게 먹었어요: 우걱우걱 느낌. 익살스러움.

 - gobble 우걱우걱먹는 의성어 이며, “칠면조가 그렇게 먹어서 명사로 칠면조의미도 있어 익살스러운 느낌이 있답니다.

 

I shoved food into my mouth. 음식을 입에 쑤셔 넣었어: 더 급하게, 거칠게 먹었다는 뉘앙스!

I crammed my mouth with food. 입에 음식을 잔뜩 쑤셔 넣었어: 억지로 밀어 넣다과하게 먹는 느낌!

 

응용:

She stuffed her mouth with popcorn during the movie.
(
걔는 영화 보는 내내 팝콘을 입에 우겨 넣었어.)

 

Don't talk with your mouth stuffed with food.
(
입에 음식 가득 넣고 말하지 마.)

 

"stuff"는 매우 다양한 뜻을 가진 단어예요.
명사와 동사로 모두 쓰이며, 상황에 따라 의미가 달라져요.

 

1. 동사 stuff (v): ~을 밀어 넣다, 꽉 채우다

기본 의미:

어떤 공간에 억지로, 잔뜩 밀어 넣다는 뜻이에요.

예문:

She stuffed her clothes into the suitcase.
(
옷을 여행가방에 꾸겨 넣었어.)

 

The kids stuffed candy into their pockets.
(
아이들이 사탕을 주머니에 쑤셔 넣었어.)

 

2. 명사 stuff (n): 것들, 물건, 일들, 잡동사니

아주 일반적이고 일상적인 표현으로, 구체적인 이름 대신 쓰는 말이에요.

예문:

I have so much stuff to do today.
(
오늘 할 일이 진짜 많아.)

 

Whose stuff is this on the table?
(
이 책상 위 물건 누구 거야?)

 

He left all his stuff behind.
(
걔가 자기 짐(물건들)을 다 두고 갔어.)

 

어원 참고 (참고로 재미있게만 보세요):

stuff는 고대 프랑스어 estoffer → “채우다, 메우다라는 뜻에서 왔어요.
그래서 동사일 때는 뭔가를 채워 넣는 의미,
명사일 때는 "채워 넣은 물건들"처럼 발전했어요.

 

"stuffed animal", "stuffy", “stuffing” 이런 연관된 표현들은 각각 다른 뜻이지만 전부 stuff에서 파생된 표현이에요.

 

1. stuffed animal

봉제 인형, 인형 곰
안에 솜(stuffing)을 채워 넣은 동물 인형이란 뜻이에요.

예문:

My little sister sleeps with a stuffed animal every night.
(
내 여동생은 매일 밤 봉제 인형을 안고 자요.)

미국식 영어에서는 "stuffed animal"이 인형을 뜻하지만,
영국식 영어에서는 "soft toy"라고 더 자주 써요.

 

2. stuffy

뜻이 조금 많지만 주요 3가지만 기억하세요.

(1) 답답한 (공기)

공기가 통하지 않고 퍽퍽하고 숨 막히는 느낌

The room was hot and stuffy.
(
방이 덥고 답답했어.)

 

(2) 콧물이 막힌 (비격식 표현)

감기 걸려서 코가 막힌 상태

I have a cold. My nose is so stuffy.
(
감기 걸렸어. 코 완전 막혔어.)

 

(3) 딱딱하고 고지식한 (사람, 분위기 등)

융통성 없고 격식을 차리는 분위기

He’s too stuffy to enjoy the party.
(
그 사람은 너무 고지식해서 파티를 못 즐겨.)

 

3. stuffing

속을 채운 재료
음식이나 인형, 쿠션 등에 속을 넣는 재료를 말해요.

예문:

The turkey was filled with stuffing.
(
칠면조 안에 속 재료(스터핑)가 들어 있었어.)

The pillow lost its stuffing.
(
베개 속이 빠졌어.)

  

1245. I talked with my mouth full.

-해석: 입에 음식이 가득한 채 말을 했어요.

-분석: 영어에서 “with + 명사 + 분사/형용사/부사/부사구구조는 아주 유용하고 자주 쓰이는 표현입니다. 이 구조는 흔히 부가적인 상황이나 상태를 설명하는 데 쓰입니다.

“Full” 이 형용사이니 자연스럽게 명사(mouth) 뒤에서 그 명사를 꾸며 주고 있다고 생각 하시면 되는데, 분사(~ing/~ed) 같은 형태가 오면 혼란 스럽기는 합니다. 주격관계대명사와 수동태 문장을 이해하신다면 이 부분도 빠르게 이해가 된답니다. 그 전까지는 이런 표현들은 그냥 입으로 익히세요.

 

응용:

I shouldn’t have talked with my mouth full.
(
입에 음식 있는 상태에서 말하지 말았어야 했는데.)

 

Don’t talk to me with your mouth full.

(입에 음식이 가득 찬 상태로 내게 말하지 마!)

 

“with + 명사 + 형용사/분사/전치사구/부사/부사구는 명사가 어떤 상태에 있는지, 어떤 동작을 하면서 있는지를 표현해주는 방식입니다. 한국영어 문법에서는 부대 상황이라고 한답니다.

 

1. with + 명사 + 형용사 그 명사가 어떤 상태인지 설명.

The teacher came in with her face red with anger.

(선생님은 얼굴에 화가 난 채로 들어 오셨어요.)

 

- “her face” “red” 주어+보어관계!

 

“her face (which was) red”처럼 주격 관계대명사가 생략 되었다고 생각하면 되는데, 이것은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지, 정식 문법은 아니랍니다. 아니면, “Her face was red.” 문장에서 “was” 가 생략되었다고 생각하셔도 이해는 된답니다.

 

2. with + 명사 + 분사 (현재분사/과거분사)

현재분사 (~ing): 명사가 어떤 동작을 하고 있을 때:

 

He entered with his dog barking.

(그 사람은 개가 짖는 가운데 들어왔어요.)

또는,

(그 사람은 짖고 있는 개와 함께 들어왔어요.)

 

“his dog” “barking” 은 능동의 관계입니다.

 

“his dog” “barking” “his dog (which was) barking”에서 “which was” 가 생략되었다고 생각하셔도 되고, “his dog was barking.” 에서 “was” 가 생략되었다고 생각하시면 편하답니다. 물론, 정식 문법은 아니고,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한 것입니다.

 

She studied with the TV playing.

(TV 가 켜진 채로 걔는 공부했어요.)

 

여기서도 마찬 가지로, “the TV” “playing”는 능동의 관계입니다.

 

문어체(격식 있는 글)에서는 보통 while을 써서

"She studied while the TV was playing." 같이 쓸 수도 있어요.

 

둘 다 자연스럽고 의미 차이 크지 않습니다.

 

과거분사 (p.p.): 명사가 어떤 행위를 당한 상태일 때:

 

He sat with his eyes closed.

(그 사람은 눈을 감은 채 않자 있었어요.)

- “his eyes” “closed” 는 수동 관계!

 

She stood with her arms crossed.

(그 여자는 팔짱을 낀 채 서 있었어요.)

- “her arms” “crossed” 도 수동 관계!

 

He came in with his hands tied.

(그 사람은 손이 묶인 채로 들어왔어요.)

- “his hands” “tied” 도 수동 관계!

 

I sat with the light turned off.

(불을 끈 채로 않자 있었어요.)

- “the light” “turned off” 도 수동 관계!

 

위 예문 모두,

-     “his eyes (were) closed”

-     “her arms (were) crossed”

-     “his hands (were) tied”

-     “the light (was) turned off”

라고 생각하시면 편하게 이해하 실 수 있답니다.

 

3. with + 명사 + 전치사구/부사: 그 명사가 있는 장소나 방식, 조건 등을 설명

He walked in with a smile on his face.

(그 사람은 얼굴에 미소를 띠고 들어왔어요.)

- A smile (was) on his face. 라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잘 되겠죠?

 

They boy came in with mud all over his shoes.

(신발에 진흙이 잔뜩 묻은 채로 들어왔어요.)

- Mud (was) all over his shoes. 라고 생각 해보세요.

 

해석 팁!!

보통 한국어로 번역할 때는 “…한 채로”, “…한 상태로”, “…하면서”**라고 해석하면 자연스럽답니다.

 

참고로,

4. with + 명사 + to부정사 (드물지만 가능)

She was left with no one to talk to.
(
말할 사람이 아무도 없는 상태로 남겨졌어요.)

 

1246. I swallowed some food.

-해석: 음식을 삼켰어요.

-분석: 동사 “swallow”삼키다라는 의미로 사용하고, 명사로는 제비()”라는 새의 이름으로 사용하기도 한답니다. 같은 철자이지만 그 어원은 동사와 명사 각각 다르답니다.

 

응용:

Don’t forget to chew your food before you swallow it.
(
씹고 삼키는 거 잊지 마.)

 

I accidentally swallowed a cherry pit.
(
난 실수로 체리 씨를 삼켰어.)

 

1247. I cut the food with a knife and ate it.

-해석: 그 음식을 칼(나이프)로 잘라서 먹었어요.

-분석: cut은 과거형도 cut입니다. 동사의 3단 변화가 cut-cut-cut 이죠.

with a knife칼로라는 도구를 나타내는 전치사구입니다.

 

응용:

I cut the steak with a fork and knife and ate it.
(
포크와 칼로 스테이크를 잘라서 먹었어요.)

 

He cut the vegetables with a knife and ate them.
(
그 사람은 칼로 야채를 썰어 먹었어요.)

 

After cutting the food with a knife, I shared it with my friends.
(
음식을 칼로 자른 후에 친구들과 나눠 먹었어요.)

 

1248. I ate it with a spoon.

-해석: 숟가락으로 그것을 먹었어요.

-분석: “with a spoon”숟가락을 도구로 사용했다는 의미의 전치사구입니다.

 

응용:

I ate it with chopsticks.
(
그것을 젓가락으로 먹었어요.)

 

She ate it with a fork.
(
걔는 그것을 포크로 먹었어요.)

 

He ate it with his hands.
(
걔는 그것을 손으로 먹었어요.)

 

I ate it with a spoon slowly to enjoy the flavor.
(
맛을 즐기려고 그것을 숟가락으로 천천히 먹었어요.)

 

Did you eat it with a spoon or chopsticks?
(
그걸 숟가락으로 먹었어, 아니면 젓가락으로 먹었어?)

 

1249. I took a spoonful of rice.

-해석: 한 숟가락 가득 밥을 담아 먹었어요.

-분석: 나는 한 숟가락 분량의 밥을 떠먹었다(또는 담았다)”라는 의미를 가진답니다.

“a spoonful of rice”한 숟가락 분량의 밥’ (spoonful = 한 숟가락 가득한 양)을 의미한답니다. 주의점은 “spoonful” 한 숟가락 분량을 뜻하는 명사입니다. 형용사가 아닙니다.

 

응용:

I took a spoonful of sugar.
(
한 숟가락 분량의 설탕을 떠서 넣었어요.)

 

I took a spoonful of rice and ate it quickly.
(
한 숟가락 밥을 떠서 빨리 먹었어요.)

 

He took a spoonful of rice, added some sauce, and enjoyed his meal.
(
걔는 한 숟가락 밥을 떠서 소스를 조금 넣고 식사를 즐겼어요.)

 

She took a spoonful of rice, but it was too hot to eat immediately.
(
걔는 한 숟가락 밥을 떠서 먹으려 했지만 너무 뜨거워서 바로 먹을 수 없었어요.)

 

 

 

 

 

Thank you for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