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05. I looked through a microscope.
-해석: 한 현미경을 통해 들여다 봤어요.
-분석: “look through”는 "~을 통해 보다"라는 의미로, 현미경, 망원경, 창문 등을 통해 무언가를 볼 때 자연스럽게 사용됩니다.
앞에서 했던 “1090”의 "I looked through the dictionary."와 "I looked through a microscope."에서 "look through"의 의미 차이를 보면 다음과 같아요.
"I looked through the dictionary."
"사전을 훑어봤다."
여기서 look through는 "대충 훑어보다, 빠르게 살펴보다"의 의미예요.
사전에서 특정 단어를 자세히 찾기보다는 전체적으로 빠르게 훑어보는 느낌이 강해요.
"I looked through a microscope."
"한 현미경을 통해 들여다봤다."
여기서 look through는 "어떤 물체나 기구를 통해서 보다"라는 의미예요.
현미경 같은 도구를 사용해 세밀하게 관찰하는 행위를 나타내요.
“look through” 라는 표현이 기본적으로 대충 훑어보는 행위를 나타내지만, 문맥에 따라 "자세히 살펴보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기구를 통해서 본다고 해석되는 경우는 세밀한 관찰의 의미로 확장된답니다. 문맥에 따라 이런 의미로 확장 될 수도 있답니다.
핵심 차이점?
사전을 볼 때 "look through" → 빠르게 훑어보는 느낌
현미경을 볼 때 "look through" → 기구를 통해 자세히 관찰하는 느낌
이처럼 look through는 문맥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 있지만, 대체로 “대충 훑어보다”의 의미로 더 많이 사용된답니다.
“대충 훑어보다 (빠르게 살펴보다)”는 보통 부사 “quickly, hastily, briefly (빠르게, 급히, 잠깐)”과 어울려 나오고,
예문:
I looked through the newspaper quickly to find the headlines.
(신문을 빠르게 훑어보며 주요 기사들을 찾았어요.)
➔ "quickly"라는 부사구가 추가되어, 빠르게 훑어보는 느낌을 강조해 줍니다.
“기구를 통해 보다 (도구를 사용하여 자세히 보다)”는 부사 carefully(세밀하게)”등과 어울려 나온답니다.
예문:
I looked through the telescope to see the stars clearly.
(별을 자세히 보기 위해 망원경을 통해 별을 들여다봤다.)
➔ "to see the stars clearly"는 망원경을 사용하여 세밀하게 별을 관찰하는 목적을 나타냅니다.
응용:
I looked through a microscope and observed tiny bacteria moving around.
(현미경을 통해 작은 박테리아가 움직이는 것을 관찰했어요.)
I looked through a microscope to examine the structure of the cell.
(세포의 구조를 조사하기 위해 현미경을 들여다보았어요.)
We looked through a microscope in the science lab and saw microorganisms for the first time.
(우리는 과학 실험실에서 현미경을 통해 미생물을 처음으로 보았어요.)
The student looked through a microscope and was amazed by the details of the insect’s wing.
(그 학생은 현미경을 들여다보고 곤충 날개의 세밀한 부분에 감탄했어요.)
He looked through a microscope carefully, trying to identify the unknown substance.
(그 애는 미지의 물질을 확인하려고 신중하게 현미경을 들여다보았죠.)
이처럼 look through a microscope는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다"라는 의미로 다양한 문맥에서 활용될 수 있답니다.

1106. I recorded the numerical value.
-해석: 그 수치를 기록 했어요.
-분석: “numerical”은 형용사로 “숫자의, 수치적인”라는 의미이고, “value”는 명사로 “값, 수치”을 의미한답니다. 그래서, "numerical value"는 숫자로 표현되는 값(예: 측정값, 계산 값 등)을 의미합니다. “number”가 “numerical”이 되면, 발음이 완전 변한답니다. 자세히 들어보세요.
응용:
I recorded the numerical value of the temperature every hour.
(매시간 온도 수치를 기록했어요.)
She carefully recorded the numerical values from the experiment.
(그 여자는 실험에서 나온 숫자 값을 신중하게 기록했어요.)
The device automatically records numerical values for analysis.
(그 장치는 분석을 위해 숫자 값을 자동으로 기록해요.)
We need to record the numerical values of each measurement.
(우리는 각 측정값을 기록해야 해요.)
He recorded the numerical values displayed on the monitor.
(그 사람은 모니터에 표시된 숫자 값을 기록했어요.)
"numerical value" 대신 "data", "figure"등을 써도 자연스러울 수 있답니다.
예) "I recorded the data from the experiment." (실험 데이터를 기록했어요.)
“numerical”에서 “number” 는 숫자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죠. 영어에서는 단어의 끝에 붙어서 “형용사”의미를 만들어 주는 조각들이 있답니다. 이를 형용사 접미사라고 하는데, 어근을 알아 두면, 제일 좋은 것이지만, 접미사를 알아두면 단어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어 유용하답니다. “numerical”에서 접미사는 “-al”입니다.
"number" (숫자) → 라틴어 numerus (숫자, 수)
"numeric" (숫자의) → numericus (숫자에 관한)
"numerical" (수치적인, 숫자로 나타낸) → numericus + "-al" (형용사형 접미사)
"-al"의 역할
"-al"은 "숫자에 관한, 수치적인"이라는 뜻을 더하여 “형용사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numeric"도 형용사지만, "numerical"은 좀 더 계산과 관련된 의미로 확장됩니다.
비슷한 예시
logic → logical (논리 → 논리적인)
music → musical (음악 → 음악의, 음악적인)
magic → magical (마법 → 마법 같은)
즉, "numerical"에서 형용사 접미사는 "-al"이며, 수와 관련된 성질을 나타내는 단어가 됩니다.
"-al"이 들어가는 형용사는 매우 많으며, 주로 명사에서 파생되어 "~와 관련된" 또는 "~의 성질을 가진" 의미를 더합니다.
1. 숫자 및 과학 관련
numerical → 숫자의, 수치적인
mathematical → 수학의
logical → 논리적인
statistical → 통계적인
2. 학문 및 개념 관련
historical → 역사적인
philosophical → 철학적인
biological → 생물학적인
psychological → 심리적인
3. 성질 및 특징 관련
magical → 마법 같은
musical → 음악의, 음악적인
natural → 자연의, 자연스러운
cultural → 문화의, 문화적인
political → 정치적인
4. 의학 및 신체 관련
medical → 의학의, 의료의
surgical → 외과의
physical → 신체적인, 물리적인
mental → 정신적인
5. 장소 및 환경 관련
coastal → 해안의
industrial → 산업의
tropical → 열대의
urbanal → 도시의
이처럼 "-al"은 다양한 단어에 붙어 형용사형을 만들며, 해당 명사가 가진 성질이나 특성을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1107. I watched the sediment settle.
-해석: 그 침전물이 가라앉는 것을 지켜 봤어요.
-분석: "sediment"는 “침전물”이리는 의미이고, "settle"는 “가라앉다, 안정되다”라는 의미랍니다.
비슷한 표현은?
I observed the sediment settling. → 좀 더 과학적이고 신중하게 관찰한 느낌.
I saw the sediment settle. → 그냥 보았다는 의미에 가까움.
“watch” 라는 지각동사가 있어, "I watched the sediment settle." 문장을 문법적으로 분석해 볼게요.
1. 문장 구조 (S+V+O+C)
I (주어, S)
watched (동사, V – 지각동사 watch의 과거형)
the sediment (목적어, O – '침전물'을 의미하는 명사구)
settle (보어, C – 지각동사 뒤에 오는 원형부정사)
2. 문법 요소 분석
지각동사 watch의 목적격 보어
watch, see, hear, feel 같은 지각동사 뒤에는 “목적어 + 동사원형”이 옵니다.
“지각동사 + 목적어 + 동사원형 (or ~ing)”
여기서 "the sediment"(침전물)이 "settle"(가라앉다) 하는 것을 직접 지켜본 상황입니다.
“watch + 목적어 + 동사원형” → 동작이 처음부터 끝까지 진행되는 걸 지켜봤다는 뉘앙스입니다.
비교:
I watched the sediment settling. (침전물이 가라앉고 있는 순간만 지켜봤다.)
“watch + 목적어 + ~ing” → 동작이 진행 중일 때 본 것.
I saw you having lunch. (지나가는 길에 점심 먹는 것을 봤을 때)
I watched the sediment settle. (침전물이 가라앉는 전체 과정을 지켜봤다.)
“watch + 목적어 + 동사원형” → 처음부터 끝까지 본 것.
I saw you have lunch. (점심 먹는 것을 처음부터 끝까지 본 것 – 스토커의 느낌이 나네요...)
3. 문장의 의미
"나는 침전물이 가라앉는 것을 지켜봤다."
→ "I watched" (나는 봤다) + "the sediment" (침전물을) + "settle" (가라앉는 것을)
"Settle"과 "Sediment"는 어원이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두 단어 모두 라틴어 "sedere"에서 파생되었으며, "앉다" 또는 "가라앉다"는 의미를 공유합니다.
1. Settle:
어원: "Settle"은 고대 영어 "setlan"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sit"에서 파생된 단어로, "앉다" 또는 "정착하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의미: "Settle"은 물리적으로 앉거나, 정착하거나, 문제를 해결하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2. Sediment:
어원: "Sediment"은 라틴어 "sedimentum"에서 유래되었으며, "sedere"에서 파생된 것으로, "앉다" 또는 "가라앉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의미: "Sediment"는 액체나 기체에서 가라앉은 고형 물질을 의미합니다.
연결:
공통 어원: 두 단어 모두 "sedere" (앉다)에서 유래합니다. 이 때문에 "settle"은 무언가가 자리잡거나 가라앉는 것을 의미하며, "sediment"는 액체나 기체에 가라앉은 물질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두 단어는 "앉다"는 기본적인 의미에서 연결되며, "settle"은 물리적 또는 추상적인 의미로 "안정" 또는 "정착"을 나타내고, "sediment"은 주로 물리적인 "가라앉은 물질"을 나타냅니다.
같은 어원으로 몇 단어 더 주워 가시죠!!
"Settle"과 "Sediment"의 공통 어근인 "sedere" (앉다)에서 파생된 다른 단어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이 어근은 기본적으로 "앉다", "가라앉다"라는 의미를 가진답니다.
1. Settle
Settle: 정착하다, 앉다, 해결하다
Settlement: 정착지, 정착, 해결
Settler: 이민자, 정착민
Settling: 정착하는, 안정된
2. Sediment
Sediment: 침전물, 가라앉은 물질
Sedimentary: 퇴적성의, 퇴적물과 관련된
Sedimentation: 침전, 침전작용
3. Assiduous
Assiduous: 근면한, 꾸준한 (as:방향으로+ siduo: 꾸준히 앉아있는 상태에서 일하는 – 한 방향으로 꾸준히 앉아서 일하는 장면을 생각해 보세요!)
4. Subsidiary
Subsidiary: 보조적인, 부차적인 (sub: 아래에 + sedi: 앉다, 즉, 주된 것 아래에 앉아있는)
Subsidy: 보조금 (자금이 아래로 내려간다는 의미)
5. Reside
Reside: 거주하다, 살다 (re: 다시 + sede: 앉다, 즉, 다시 앉다, 거주하다)
Resident: 거주자
Residency: 거주지, 거주 기간
6. Preside
Preside: 주재하다, 지배하다 (pre: 앞에 + sede: 앉다, 즉, 중요한 자리에 앉다)
President: 대통령, 회장
Presidency: 대통령직, 회장직
7. Subsidence
Subsidence: 침강, 가라앉음 (sub: 아래로 + sede: 앉다, 즉, 아래로 가라앉다)
The sudden subsidence of the ground led to the formation of a massive sinkhole in the middle of the city.
(갑작스러운 지반 침하로 인해 도심 한가운데 거대한 싱크홀이 생겼다.)
이와 같이 "sedere"에서 파생된 다양한 단어들은 "앉다" 또는 "가라앉다"의 의미와 관련이 있으며, 이들은 물리적, 추상적 의미 모두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지금 당장 이 모두를 외울 필요 없답니다. 계속해서 말씀드리지만, 어떤 생각을 가지고 단어가 생성되었는지를 보세요. 그럼, 영어의 관점을 알게 되고, 연관되는 단어를 외우면 오래 간답니다.

1108. I watched the process of the experiment.
-해석: 그 실험 절차(과정)를 관찰 했어요.
-분석: “process” 은 “절차, 과정”이며, “experiment”은 “실험”이라는 명사입니다.
응용:
I watched the process of the experiment closely to understand each step.
(실험의 각 단계를 이해하기 위해 그 과정을 면밀히 지켜봤어요.)
The students were asked to record their observations during the process of the experiment.)
(학생들은 실험 과정 중에 자신의 관찰 결과를 기록하라고 요청 받았어요.)
“process”의 어원은 아래와 같아요.
process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단어입니다.
1. 어원 변화 과정
라틴어: processus (과정, 진행)
pro- (앞으로) + cedere (가다, 나아가다)
cedere는 "가다", "진행하다"라는 뜻을 가진 동사입니다.
중세 영어: process → 라틴어에서 직역하여 "진행", "과정"의 의미로 사용되었음.
근대 영어: process는 "단계적 진행"이나 "절차"를 뜻하는 단어로 립되었습니다.
2. 의미 확장
process는 "어떤 일이 진행되는 과정" 또는 "단계적 진행"을 뜻하는 단어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in process"는 "진행 중인"을 의미하고, "work in progress"는 "진행 중인 작업"을 뜻합니다.
"process"는 또한 "절차", "처리" 등의 의미로도 확장되었습니다.
3. 관련 표현
processing → 처리, 가공 (음식, 데이터 등)
processed → 가공된, 처리된: processed food-가공 식품
procession → 행진 (과정을 거쳐 나아가는 것)
proceed → 나아가다, 진행하다
"process"와 같은 어원을 가진 다른 단어들은 라틴어 "cedere" (가다, 나아가다)와 "pro-" (앞으로)에서 파생된 단어들입니다. 이 어원은 진행, 나아가다, 발전과 관련된 단어들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1. proceed
어원: 라틴어 procedere (앞으로 가다, 진행하다)
의미: 나아가다, 진행하다
예: "Let's proceed with the plan." (계획을 진행합시다.)
2. recede
어원: 라틴어 recedere (뒤로 가다, 물러나다)
의미: 물러나다, 후퇴하다
예: "The water receded after the flood." (홍수 후에 물이 빠졌다.)
3. success
어원: 라틴어 successus (뒤따르다, 성공)
의미: 성공, 성취
예: "His success was due to hard work." (그의 성공은 노력 덕분이었다.)
4. concede
어원: 라틴어 concedere (같이 가다, 허용하다)
의미: 인정하다, 양보하다
예: "She conceded the point during the debate." (그녀는 토론 중에 그 점을 인정했다.)
5. procession
어원: 라틴어 processio (나아가는 것, 행진)
의미: 행진, 진행, 일련의 순서
예: "The procession moved slowly through the streets." (행렬은 거리를 따라 천천히 이동했다.)
6. proactive
어원: 라틴어 pro- (앞으로) + agere (행동하다)
의미: 사전 대응하는, 주도적으로 행동하는
예: "She took a proactive approach to solving the problem." (그녀는 문제 해결을 위해 주도적인 접근을 했다.)
7. precede
어원: 라틴어 praecedere (앞서 가다)
의미: 앞서다, 선행하다
예: "The introduction will precede the main content." (소개가 본 내용에 앞서 올 것이다.)
이 밖에도 process 의 알면, intercede(중재하다), precedent(선례), unprecedented(선례가 없는) 등의 단어들도 쉽게 유추 할 수 있답니다. 우리 일상 속에 나오는 단어들을 많이 알면 알수록 고급단어(?)들을 쉽게 익힐 수 있고, 정확한 의미도 이해를 할 수 있답니다.
“experiment”의 어원도 살펴 볼게요!
"experiment"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단어입니다.
1. 어원 변화 과정
라틴어: experimentum → "시도, 경험, 실험"
ex- (밖으로) + periri (시도하다, 경험하다)
periri는 "시험하다" 또는 "경험하다"라는 뜻입니다.
그래서, “책이나 머리 속에만 있던 것을 실제로 밖으로 해보는 것”이라는 개념이랍니다. “경험해보다”는 “experience” 도 이 개념에서 출발했답니다. 밖으로 실제 해보는 거죠.
중세 영어: experiment → 라틴어에서 직역하여 "시험, 실험"의 의미로 사용되었음.
근대 영어: 16세기 이후 experiment는 "과학적 실험" 또는 "경험을 통해 얻은 지식"을 의미하는 단어로 확립되었습니다.
2. 의미 확장
experiment는 원래 "시도"나 "경험"의 의미에서 발전해, "과학적 실험"이나 "검증을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단어로 사용됩니다.
과학 분야에서 "실험"이라는 의미는 주로 17세기 이후로 사용되었으며, "특정 조건 하에서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시도"를 의미합니다.
3. 관련 표현
experimental → 실험적인, 시험적인
experiment with → ~을 실험해보다, 시도해보다
control experiment → 대조 실험
“experiment”에서 -peri-만 가져와서 이 애가 다른 단어에 어떻게 사용되는지 한번 볼게요.
"periri"에서 파생된 단어들!
1. experience
어원: 라틴어 experientia (경험, 시험) → "experiri" (시험하다, 경험하다)에서 파생
의미: 경험, 체험
예문: "He gained a lot of experience working abroad."
해석: "그는 해외에서 일하며 많은 경험을 쌓았다."
2. expert
어원: 라틴어 expertus (시험한, 경험한) → "experiri" (시험하다, 경험하다)에서 파생
의미: 전문가, 숙련된 사람 (시험과 경험을 통해 지식을 얻은 사람)
예문: "She is an expert in modern art."
해석: "그녀는 현대 미술의 전문가이다."
3. peril – 주로 문학작품에서만 사용하지 구어체에서는 danger 가 있죠.
어원: 라틴어 periculum (위험, 시험) → "periri" (시험하다, 위험을 감수하다)에서 파생
의미: 위험, 위기
예문: "The hikers were in peril due to the sudden storm."
해석: "등산객들은 갑작스런 폭풍으로 인해 위험에 처했다."
"periri"는 "시험하다" 또는 "경험하다"라는 의미를 가진 라틴어에서 유래하여, 이 어근에서 파생된 단어들은 대체로 "경험", "시험", "전문가"와 관련된 의미를 가집니다. 이 단어들은 각기 다른 맥락에서 경험이나 시험을 통한 결과를 나타내거나, 그 경험을 통해 얻은 전문 지식을 지닌 사람을 의미합니다.

1109. I measured the temperature.
-해석: 그 온도를 측정했어요.
-분석: “measure”는 동사로 “측정하다, 재다”이고, “temperature”은 명사로 “온도”이죠.
비슷한 표현?
I took the temperature. (온도를 쟀다 – 특히 체온 측정에 많이 사용됨)
I recorded the temperature. (온도를 측정하고 기록했다.)
I checked the temperature. (온도를 확인했다 – 정확한 측정보다는 확인하는 느낌)
응용:
I measured the room temperature. (실내 온도를 측정했어요.)
I measured the temperature using a thermometer. (온도계를 사용해 온도를 측정했어요.)
"I measured the temperature"를 응용한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I measured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before adding the ingredients.
(재료를 추가하기 전에 물의 온도를 측정했다.)
She measured the temperature of the oven to ensure the cake was baking at the right heat.
(그 여자는 케이크가 적당한 온도에서 구워 지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오븐의 온도를 측정했어요.)
They measured the temperature of the patient to check for fever.
(그 사람들은 환자의 발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온도를 측정했어요.)

1110. I dissolved it.
-해석: 그것을 녹였어요.
-분석: “dissolve”는 동사로 ”(액체에) 녹이다, 용해시키다”입니다.
이 단어는 자동사와 타동사의 쓰임을 구분하여 익히셔야 한답니다. 자동사는 동사의 뒤에 목적어가 필요 없이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고, 타동사는 말 그대로 타인 즉 목적어가 필요하답니다.
자동사: Salt dissolves in water. (소금은 물에 녹는다.)
타동사: I dissolved the salt in water. (나는 물에 소금을 녹였다.)
비슷한 표현?
I melted it. (나는 그것을 녹였다. → 고체가 액체로 녹는 경우)
I diluted it. (나는 그것을 희석했다. → 농도를 낮추는 경우)
I mixed it with water. (나는 그것을 물과 섞었다.)
응용:
I dissolved sugar in water. (설탕을 물에 녹였어요.)
The pill dissolved in my mouth. (그 알약이 내 입에서 녹았어요.)

1111. It caused a chemical reaction.
-해석: 그것은 화학반응을 일으켰어요.
-분석: “cause”는 여기서 동사로 “~을 야기하다, 일으키다”을 의미를 가지고, “chemical”은 형용사로 “화학의”이고 “reaction”은 명사로 “반응”을 의미하여 "chemical reaction" 은 “화학 반응”을 의미한답니다.
비슷한 표현?
It triggered a chemical reaction. (그것이 화학 반응을 촉발했어요.)
It initiated a chemical reaction. (그것이 화학 반응을 시작했어요.)
It led to a chemical reaction. (그것이 화학 반응으로 이어졌어요.)
응용:
The chemical reaction occurred. (화학 반응이 발생했어요.)
The substance caused a chemical reaction. (그 물질이 화학 반응을 일으켰어요.)
"Chemical"의 어원은 다음과 같습니다:
원어: 라틴어 "chimicus" (화학적인, 연금술과 관련된) → 고대 그리스어 "khemeia" (연금술)
기원: "Khemeia"는 아랍어 "al-kīmiyā"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무언가를 변화시키다" 또는 "물질을 변형시키다"라는 뜻을 가집니다.
연금술: "Khemeia"는 고대 연금술과 관련이 깊으며, 연금술은 금속을 변화시키려는 실험적인 과학이었기 때문에, 현대 화학이 발전하면서 이 단어가 "chemical"로 변형되었습니다.
의미 변화
"Chemical"은 원래 연금술적 실험 및 변형을 의미했지만, 현대에는 물질의 성질과 변화를 연구하는 과학적 의미로 사용됩니다.
"Chemical"의 의미
화학의 또는 화학적인 것
화학적 변화나 화학 물질을 의미하는 형용사로 사용됩니다.
관련 단어들
1. Chemistry (화학)
어원: "chemical"에서 유래하며, 물질과 그 변화,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과학 분야를 나타냅니다.
We have great chemistry. 우리는 좋은 화학을 가지고 있다? 가 아니라 “우리는 케미가 좋다”라는 말입니다.
다른 말로는,
We get along really well. (우리는 정말 잘 지낸다.)
We vibe well together. (우리는 잘 맞는다, 분위기가 좋다.)
"We click." (우리는 잘 통한다.)
2. Alchemist (연금술사)
어원: "khemeia"에서 유래, 금속을 변화시키려 했던 사람들.
3. Chemist (화학자)
어원: "chemical"에서 파생된 단어로, 화학을 연구하거나 화학 물질을 다루는 전문가를 의미합니다.
정리
"Chemical"의 어원은 고대 그리스어 "khemeia"와 관련이 있으며, 연금술에서 비롯되어 오늘날 화학을 뜻하는 단어로 사용됩니다.

1112. It became solid.
-해석: 그것은 응고 되었어요.
-분석: “become”은 동사로 “~이 되다 (상태 변화)”의 의미이고, “solid”는 형용사로 “고체의, 단단한”의 의미를 가지고 있답니다.
"become + 형용사"는 상태 변화를 나타낼 때 자주 사용된답니다.
It became hot. (그것이 뜨거워졌다.)
It became liquid. (그것이 액체가 되었다.)
비슷한 표현?
It solidified. (그것이 굳었다.)
It turned solid. (그것이 단단해졌다.)
It changed into a solid. (그것이 고체로 변했다.)
응용:
It became a liquid. (그것이 액체가 되었다.)
It became a gas. (그것이 기체가 되었다.)
참고!
"Liquid"와 "Gas"는 일반적인 물질 상태를 의미할 때 불가산 명사입니다.
"A liquid"나 "A gas"는 구체적인 하나의 물질 상태를 지칭할 때 가산 명사처럼 사용될 수 있습니다.
"Solid"의 어원을 한번 볼게요.
원어: 라틴어 "solidus" (단단한, 견고한)
"solidus"는 "단단한" 또는 "고체의"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sol-"은 "solidus"에서 유래한 부분으로, "단단하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기원: "Solidus"는 라틴어에서 "단단한" 또는 "견고한" 상태를 표현하는 단어였으며, 이는 물리적인 물체가 고체 상태에 있을 때 사용되었습니다.
"Solid"의 의미
단단한, 고체의: 물리적으로 단단하고 부드럽지 않은 상태를 나타냅니다.
견고한, 튼튼한: 물리적 속성 뿐만 아니라, 사람이나 사물의 성격이 강하고 튼튼하다는 의미로도 사용됩니다.
확실한, 확고한: 확고하고 믿을 수 있는 것을 의미할 때도 사용됩니다. 예: "solid evidence" (확실한 증거)
주워 갈 수 있는 단어들?
1. Solidify (고체화하다, 굳히다)
어원: "solid"에서 유래, 단단하게 만들다 또는 고체 상태로 변화시키다는 의미.
“-fy”는 “만들다(make)”라는 의미의 접미사랍니다.
예문:
The concrete will solidify over time and become much stronger.
(콘크리트는 시간이 지나면서 고체화되어 훨씬 강해질 것입니다.)
The agreement helped solidify their partnership.
(그 합의는 그들의 파트너십을 굳히는 데 도움이 되었다.)
2. Solidarity (연대, 결속)
어원: 라틴어 "solidus"에서 유래, 강한 결속 또는 단단한 협력을 의미합니다.
예문:
Workers around the world have shown great solidarity in their fight for better wages.
(전 세계의 노동자들은 더 나은 임금을 위한 싸움에서 큰 연대를 보여주었다.)
The people showed their solidarity with the victims of the disaster.
(사람들은 재난의 피해자들에게 연대를 표시했다.)
3. Solid-state (고체 상태의)
어원: 고체 상태를 의미하는 "solid"와 상태를 나타내는 "state"가 결합된 표현.
예문:
Solid-state drives are faster and more reliable than traditional hard drives.
(고체 상태 드라이브는 전통적인 하드 드라이브보다 빠르고 더 신뢰성이 높습니다.)
The solid-state technology is commonly used in modern electronics.
(현대 전자기기에서 고체 상태 기술은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이렇게 각각의 단어들은 물리적이고 비유적인 의미로 확장되어 사용되며, 강하고 견고한 상태를 나타내거나 협력과 결속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데 쓰입니다.

1113. I went on a school field trip.
-해석: 학교에서 견학을 갔어요.
-분석: “go on a trip”은 “여행을 가다”라는 의미랍니다. “field trip”은 “견학, 소풍 (학교에서 교육 목적으로 가는 야외 활동)”을 의미하죠. 그래서, “school field trip”은 “학교에서 주관하는 견학”을 의미한답니다.
주의할 점은?
"go to a field trip"이라고 하면 어색하답니다.
"Go to"는 “장소에 가다”를 의미합니다. 즉, 장소를 가는 것에 집중하는 표현이에요.
예: "We are going to Paris.”→ (우리는 파리로 간다.)
"Go on"은 활동이나 경험에 참여하는 느낌을 주고, 여행처럼 일정이 포함된 활동에 적합합니다.
예: "They went on a cruise." → (그들은 크루즈 여행을 갔다.)
비슷한 표현?
I went on a field trip. (견학을 갔어요.)
I participated in a school field trip. (학교 견학에 참여했어요.)
Our class went on a field trip. (우리 반은 견학을 갔어요.)

1114. I went on a field trip to a factory.
-해석: 한 공장에 견학을 갔어요.
-분석: “field trip”은 “견학, 소풍”을 의미하고, “factory”은 “공장”이죠.
비슷한 표현?
I went on an educational trip to a factory. (교육적인 목적의 공장 견학을 갔어요.)
Our class went on a field trip to a factory. (우리 반은 공장 견학을 갔어요.)

1115. I went on a school trip.
-해석: 학교에서 여행을 갔어요.
-분석: 학교에서 소풍이외도, 연례적으로 하는 것이 '신체검사' 와 '운동회'이죠.
"I had a physical exam today."
"오늘 신체검사를 했어요"
"Had a physical exam"은 신체검사를 받았다는 의미입니다.
"Today was our school field day" 또는 "Today was our school sports day"
"오늘은 학교 운동회였어요"
"Field day"는 미국식 영어에서 주로 사용되고, "sports day"는 영국식 영어에서 사용됩니다.
"We had the sports day at our school today."
(우린 오늘 학교에서 운동회를 했어요.)

1116. I visited historic sites.
-해석: 유적지에 갔어요.
-분석: “visit”은 동사로 “방문하다”라는 의미이죠. “historic”은 형용사로 “역사적인 (특히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는)”의 의미를 가지고 있답니다. “site”은 명사로 “장소” (특히 어떤 목적을 위한 장소, 예: 역사적인 장소)을 의미한답니다.
주의할 점은 "historic"은 "historical"과 비슷하지만, "historic"은 역사적으로 중요한 장소나 사건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historical"은 좀 더 일반적인 의미의 역사와 관련된 것에 쓰입니다. 즉 a historical novel 은 “역사소설”입니다. 만약 historic novel 이라고 하면, “역사적 가치가 있는 소설”이 된답니다.
응용:
I visited ancient sites. (고대 유적들을 방문했어요.)
I visited cultural landmarks. (문화적인 명소들을 방문했어요.)

1117. We moved as a group.
-해석: 우리는 단체로 이동했어요.
-분석: “as a group”은 부사구로 '그룹으로서', '집단으로서'라는 의미를 가진답니다.
"move as a group"은 "we moved together"와 비슷한 의미이죠.
응용:
We traveled as a group. (우리는 그룹으로 여행했어요.)
We moved together. (우리는 함께 이동했어요.)
We walked as a group. (우리는 그룹으로서 걸었어요.)

1118. We took a group picture.
-해석: 우리는 단체 사진을 찍었어요.
-분석: "take a picture"는 “사진을 찍다”는 일반적인 표현이고, "group picture"는 여러 사람이 함께 찍은 사진을 의미합니다.
비슷한 표현?
We took a group photo. (우리는 그룹 사진을 찍었어요.)
We snapped a group picture. (우리는 그룹 사진을 찍었어요.)
We had a group picture taken. (우리는 그룹 사진을 찍었어요.)

1119. I stayed up all night having fun.
-해석: 밤새 놀았어요.
-분석: “stay up”은 “늦게까지 깨어 있다, 잠을 자지 않다”는 말이고, “all night”은 “밤새, 하룻밤 내내”라는 의미이죠.
“having fun” “즐기다”로 fun은 즐거움이나 재미를 의미하는 명사로, 동명사 형태인 "having fun"은 즐기고 있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비슷한 표현
I stayed up all night enjoying myself. (하룻밤 내내 즐기면서 깨어 있었어요.)
I stayed up all night having a great time. (하룻밤 내내 좋은 시간을 보내며 깨어 있었어요. – 밤새 즐거운 시간을 보냈어요.)
I stayed up all night partying. (하룻밤 내내 파티를 하며 깨어 있었어요. – 밤새 파티 했어요.)

1120. We had a talent show competition between classes.
-해석: 반 대항 장기자랑 대회를 했어요.
-분석: “talent show”은 “재능 쇼 (참가자들이 자신의 재능을 뽐내는 행사)”이고, “competition”은 “경쟁 (경연, 대회)”의 의미입니다. “between classes”은 “학급 간에, 반들 간에”라는 의미죠.
비슷한 표현?
We held a talent show competition between classes. (우리는 학급 간 재능 쇼 대회를 열었어요.)
There was a talent show competition between classes. (학급 간 재능 쇼 대회가 있었어요.)
응용:
We had a sports competition between classes last week.
(우리는 지난주에 학급 간 스포츠 대회를 했어요.)
We had a debate competition between classes to discuss the new policy.
(우리는 새로운 정책에 대해 토론하는 학급 간 토론 대회를 했어요.)
We had a cooking competition between classes for the school festival.
(우리는 학교 축제를 위해 학급 간 요리 대회를 했어요.)
We had a quiz competition between classes to test our knowledge.
(우리는 지식을 시험하는 학급 간 퀴즈 대회를 했어요.)
(We had a dance competition between classes as part of the school talent show.)
(우리는 학교 재능 발표회의 일환으로 학급 간 춤 대회를 했어요.)
Thank you for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