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1089-1104) 밤샘 공부했어요 영어로? (I stayed up all night studying.)

by 영어 낚는 어부 2025. 3. 21.
반응형

 

(1089-1104) 밤샘 공부했어요 영어로 (I stayed up all night studying.).mp3
2.83MB

 

 

1089. I stayed up all night studying.

-해석: 밤새워 공부했어요.

-분석: "stay up" "밤을 새다" 또는 "자지 않고 깨어 있다"는 의미입니다.

"stay"는 계속해서 어떤 상태를 유지하다, 머무르다를 의미하고, "up"은 일어나는 상태를 유지하는 걸 나타냅니다.

 

"all night" "밤새"를 의미합니다. , 밤이 끝날 때까지 깨어 있었다는 뜻입니다.

 

"studying""study"의 현재분사로, "공부하는 중"이라는 의미로 동시 동작을 나타내고 있답니다.

 

"studying" "I stayed up"이라는 행동의 이유를 설명하는 부분입니다.

 

“spend”라는 동사를 활용하여 표현할 수도 있답니다.

 

I spent the whole night studying. (밤새 공부하면서 시간을 보냈어요.)

 

응용:

I stayed up all night studying for the final exam.

(기말 시험을 준비하면서 밤새 공부했어요.)

 

She stayed up all night studying the new software for her work presentation.

(그 여자는 직장 발표를 준비하기 위해 밤새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공부했어요.)

 

He stayed up all night studying, but still couldn't finish the assignment.

(그 애는 밤새 공부했지만 여전히 과제를 끝내지 못했어요.)

 

They stayed up all night studying the history of the Renaissance for their research paper.

(그들은 연구 논문을 위해 르네상스 역사에 대해 밤새 공부했어요.)

 

1090. I looked through the dictionary.

-해석: 사전을 훑어보았어요.

-분석: “look through”훑어보다, 대충 살펴보다라는 의미로, 꼼꼼하게 찾기보다는 빠르게 전체를 살펴보는 느낌입니다. 비슷한 표현으로는 “look over → (대충 살펴보는 느낌)”이랍니다. “I looked over the report before submitting it. (제출 전에 보고서를 한 번 살펴봤어요.)”

 

꼼꼼하게 검토하는 하는 느낌을 주려면 “go through”을 사용한답니다. “He went through the documents carefully. (그 사람은 문서를 꼼꼼히 검토했어요.)

 

 

응용:

I looked through the documents to find the information I needed.
(
필요한 정보를 찾으려고 문서를 훑어봤어요.)

 

She looked through the photos and smiled at the memories.
(
그 여자는 사진을 훑어보며 추억을 떠올리며 미소 지었어요.)

 

He looked through the book but couldn’t find the answer.
(
그 사람은 책을 훑어봤지만 답을 찾지 못했어요.)

 

I looked through my notes before the exam.
(
시험 전에 내 필기 내용을 훑어봤어요.)

  

1091. I developed my ability to comprehend.

-해석: 이해력을 높였어요. (향상 시켰어요)

-분석: “comprehend"이해하다, 파악하다라는 뜻의 동사랍니다. “to comprehend”로 앞에 있는 “ability” 는 꾸며주어 이해하는 능력이라고 해석할 수 있답니다. 이를 한국 학교 영문법에서는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이라고 한답니다.

 

응용:

Over the years, I developed my ability to comprehend complex texts, making it easier to study advanced subjects.

(몇 년에 걸쳐, 복잡한 텍스트를 이해하는 능력을 발전시켜, 고급 과목을 공부하는 것이 쉬워졌어요.)

 

Through extensive reading and practice, I developed my ability to comprehend different accents in English.

(광범위한 독서와 연습을 통해, 영어에서 다양한 억양을 이해하는 능력을 키웠어요.)

 

Attending lectures in multiple fields helped me develop my ability to comprehend diverse concepts and theories.

(여러 분야의 강의를 듣는 것이 다양한 개념과 이론을 이해하는 능력을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어요.)

 

As I worked with more advanced technologies, I developed my ability to comprehend complex coding languages.

(더 발전된 기술을 다루면서, 복잡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해하는 능력을 발전시켰어요.)

 

예문들이 좀 어렵죠. 하나 하나가 모여서 이런 문장들이 만들어진다는 것 자체를 이해 하셨으면 합니다. 긴 문장을 외우기 보다는 짧은 문장을 하나 하나 익히고, 붙이는 법을 익히셔야 한답니다.

  

“Comprehend” 의 어원은 아래와 같답니다. 앞에서 길게 많이 설명했기에 주요한 내용만 간략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Comprehend"는 라틴어 "comprehendere"에서 유래하였으며, 이는 "com-" (완전히, 함께) "prehendere" (잡다, 붙잡다)에서 파생된 단어입니다. 원래 의미는 "완전히 잡다" 또는 "붙잡다"였고, 시간이 지나면서 "이해하다" 또는 "포괄하다"라는 의미로 확장되었습니다.

 

잡다라는 말이 영어의 관점에서는 이해하다라는 의미로 통한답니다.

그래서, 구어체에서 I got it. (그것을 얻었어 이해 했어)

I got the picture. (그림을 가졌어 이해 했어) 라고 의미로 사용한답니다.

이런 표현들은 모두 “comprehend”와 비슷한 방식으로 이해하다는 의미를 전달하고 있답니다.

 

어원 요약:

"com-" (완전히, 함께)

"prehendere" (잡다, 붙잡다)

따라서, "comprehend"는 원래 "완전히 붙잡다"는 의미에서 발전하여, "전체적으로 이해하다"는 뜻으로 쓰이게 되었습니다.

 

같은 어근을 사용하는 다른 단어를 한 번 볼까요?

1. Apprehend (ad – 방향: 향해, ~ + prehend:잡다)

Ad 는 다음에 이어 나오는 자음 p 의 영향으로 app~가 되었답니다. Ad(방향)은 항상 뒤의 자음의 영향을 받아 모습을 변신한답니다.

 

의미: 이해하다, 체포하다 현대영어에서는 주로 체포하다라는 의미로 사용. 말 그래로 그 방향으로 가서 잡다이죠.

: The police apprehended the suspect. (경찰은 용의자를 체포했어요.)

 

2. Reprehend (re-:반대로, 다시 + prehend:잡다 = 다시 붙잡다 = 다시 붙잡아 한소리 하는 것이죠.)

의미: 비난하다, 꾸짖다

: The teacher reprehended the students for being late. (선생님은 학생들이 늦은 것에 대해 꾸짖었어요.)

 

단어는 단순히 하늘에서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그 당시 사람들의 생활과 문화가 깊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하나의 단어가 형성되면, 그 단어에 접두어나 접미사가 더해져 다양한 행동과 사고를 표현하게 됩니다. 때때로, 한국인의 관점에서 바로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도 있지만, 인간 사회의 공통된 경험들이 언어에 녹아 있기 때문에, 많은 부분에서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점들도 많습니다. 한 나라의 언어를 배우는 것은 그 언어 자체만 배우는 것이 아니라, 그 나라 사람들의 관점, 문화, 역사 등을 함께 배우는 과정입니다. 이 점은 언어를 배우는 데 있어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할 중요한 부분입니다.

 

1092. I shook the beaker to mix the contents.

-해석: 그 내용물들을 섞기 위해 그 비커를 흔들었어요.

-분석: “beaker”는 화학 실험이나 조제용의 비커을 의미한답니다. 큰 잔 한잔이죠.

 

동사 (shook)는 동사는 "shake"의 과거형으로, 여기서는 "흔들다"의 의미입니다.  "beaker"는 특정한 비커를 지칭하므로 "the"가 사용되었답니다.

 

To 부정사 “to mix”에서 "to" "mix"라는 동사의 목적을 나타내는 부정사입니다. "흔든(shook) 목적"을 설명하는 역할을 하는데 의미가 “~위해서입니다.

 

이런 것을 한국 학교 문법에서는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중 목적이라고 한답니다. “to 부정사 용법은 약 10가지 정도가 있는데, 문맥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니, 반드시 숙지해야 하는 문법요소랍니다.

 

"contents"는 비커 안에 있는 물질이나 내용물을 나타냅니다. "the"가 사용된 것은 특정한 내용물이란 의미랍니다.

 

응용:

I shook the beaker gently to ensure the solution was well mixed.
(
비커를 살살 흔들어 용액이 잘 섞이도록 했어요.)

 

Before adding the next chemical, I shook the beaker to mix the reagents properly.
(
다음 화학 물질을 추가하기 전에 비커를 흔들어 시약을 제대로 섞었어요.)

 

She shook the beaker vigorously, but the solid didn’t dissolve completely.
(
그 여자가 비커를 세게 흔들었지만, 고체가 완전히 녹지 않았어요.)

 

If you shake the beaker too hard, the liquid might spill over.
(
비커를 너무 세게 흔들면 액체가 넘칠 수도 있어요.)

 

He accidentally shook the beaker too much, causing the foam to overflow.
(
그 애가 실수로 비커를 너무 많이 흔들어서 거품이 넘쳐버렸어요.)

 

"shake the beaker"는 실험실에서 흔히 사용되는 표현이며, gently(부드럽게), vigorously(세게), slightly(약간) 같은 부사와 함께 자주 쓰인답니다.

 

"beaker" "beak"?

 

비슷한 발음이지만 어원상으로는 관련이 없습니다.

 

1. beaker:

Beaker는 고대 영어에서 "bæcer" (, 그릇)에서 유래했으며, 라틴어 "bicarium"(그릇) 또는 고대 프랑스어 "bécier"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입니다.

Beaker는 일반적으로 실험실에서 사용되는, 넓은 입구를 가진 유리 용기입니다. 또는 고대 그리스나 로마 시대의 컵 또는 잔을 의미하기도 했습니다.

 

2. beak:

Beak는 고대 영어 "beac" (새의 부리)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beccan" (부리로 쪼다)와 관련이 있습니다.

Beak는 주로 새의 부리나, 물건의 끝 부분이 뾰족한 부분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됩니다.

 

종합해보면,

"beaker" "beak"은 각각 다른 어원을 가지고 있으며, 그 의미도 다릅니다. “beaker”는 그릇이나 용기를 의미하고, beak은 새의 부리나 뾰족한 부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두 단어는 발음이 비슷하지만 어원적으로는 관련이 없지만, 하나 외우지 말고 두개를!!! “beak”새의 부리을 의미한답니다.

 

"content"의 어원은 라틴어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어원:

"content"는 라틴어 "contentus"에서 유래합니다.

"contentus" "con-" (함께) "tenere" (붙잡다, 유지하다)에서 파생되었습니다.

"con-"은 함께, "tenere"는 붙잡다, 유지하다의 의미를 가집니다.

따라서, "contentus" "무엇을 붙잡고 있는, 만족하는"이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었습니다.

 

의미의 확장:

초기에는 "satisfied(만족하는)" "pleased(기쁜)"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content" "내용"이나 "내포된 것"을 나타내는 명사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예를 들어, "content"는 어떤 것의 "내부에 포함된 것" 또는 "내용물"을 의미하는 명사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현대적 의미:

현재 "content"는 두 가지 주요 의미로 사용됩니다:

 

1. 내용물, 내용: , 영화, 웹사이트 등에서 담고 있는 정보나 주제를 의미합니다.

2. 만족한 상태: "I am content"처럼 어떤 것이나 상황에 대해 만족한 상태를 나타냅니다.

 

결론적으로,

content의 어원은 라틴어 "contentus"에서 유래하며, 이는 "함께 붙잡다" 또는 "유지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이 단어는 "내용" "만족"이라는 두 가지 의미로 확장되었습니다.

 

1093. I put in one drop of the reagent.

-해석: 그 시약을 한 방울 넣었어요.

-분석: 다른 표현들:

I added one drop of the reagent.
(
시약을 한 방울 추가했어요.)

 

I put one drop of the reagent in.
(
시약 한 방울을 넣었어요.)

 

시약을 넣을 때 사용하는 "스포이드"?

 

영어에서는 "pipette""dropper"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한국에서는 "스포이드"라는 단어가 일반적으로 통용됩니다.

 

이 단어는 네덜란드어 “spuit”가 한국식 발음으로 사용되었다고 하는데, 영어로는 “dropper” “pipette”라고 한답니다.

 

"Reagent"의 어원 분석

 

어원:

라틴어 re- ("다시, 뒤로") + agere ("행동하다, 작용하다")

프랑스어 réagent → 영어 "reagent"

 

의미 변화:

원래는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을 뜻함

현대에는 "화학 반응을 일으키거나 탐지하는 물질(시약)"을 의미

 

구성 분석:

"re-" → 다시, 반복

"agent" → 작용하는 것, 실행하는 것 (라틴어 agere에서 유래)

, "다시 반응하는 물질"이라는 뜻에서 유래됨

 

응용:

"We added a reagent to test for glucose."
(
우리는 포도당을 검사하기 위해 시약을 첨가했어요.)

 

"The reagent changed color upon reaction."
(
그 시약은 반응하자 색이 변했어요.)

 

"reagent"는 본래 '작용하는 물질'이라는 의미에서 출발하여, 오늘날 화학 실험에서 반응을 일으키는 '시약'이라는 뜻으로 정착한 단어입니다!

  

1094. I measured the amount.

-해석: 그 양을 재어 봤어요.

-분석: "measure"는 주로 길이, 무게, 부피, 온도 등 "측정 가능한" 구체적인 단위를 잴 때 사용됩니다.

 

예문:

I measured the length of the table.

(테이블의 길이를 쟀어요.)

 

She measured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그 여자 애는 물의 온도를 쟀어요.)

 

보통 "amount"를 잴 때는 "I measured the amount of [something]."처럼 구체적인 대상이 따라오는 게 자연스럽습니다.


예문:

I measured the amount of sugar in the recipe.

(레시피에 들어가는 설탕의 양을 쟀어요.)

 

I measured the amount of water.

(물의 양을 쟀어요.)

 

I measured the amount of flour needed for the cake.

(케이크를 위해 필요한 밀가루 양을 쟀어요.)

 

다른 동사 사용하기?

I checked the amount. (그 양을 확인했어요.)

I calculated the amount. (그 양을 계산했어요.)

I estimated the amount. (그 양을 어림잡았어요.)

 

1095. I poured the reagent into the cylinder.

-해석: 그 실린더에다 그 시약을 넣었어요.

-분석: “pour” "붓다"로 액체를 따를 때 사용하는 동사랍니다. “the reagent”는 위에서 설명 했듯이 "시약" 이며 화학 실험에서 사용되는 물질입니다.

 

“into the cylinder”실린더(원통형 용기)안으로" 라는 표현으로 용기 안으로 액체를 따를 때 "into"를 사용한답니다.

 

비슷한 표현:

I poured the reagent into a beaker.

(시약을 비커에 부었어요.)

 

I carefully poured the reagent into the test tube.

(시약을 시험관에 조심스럽게 부었어요.)

 

응용:

She poured the reagent into the flask and stirred it gently.
(
그 여자는 시약을 플라스크에 붓고 조심스럽게 저었어요.)

 

The scientist poured the reagent into the test tube and observed the reaction. (과학자는 시약을 시험관에 붓고 반응을 관찰했어요.)

 

The technician poured the reagent into the machine to start the chemical process.
(
기술자는 화학 공정을 시작하기 위해 시약을 기계에 부었어요.)

 

Before analyzing the sample, he poured the reagent into the container.
(
샘플을 분석하기 전에 그는 시약을 용기에 부었어요.)

 

She poured the reagent into the mix, just like adding a secret ingredient to a recipe.
(
그 여자 애는 마치 레시피에 비밀 재료를 추가하듯 시약을 혼합물에 부었어요.)

 

The teacher poured the reagent into the solution while explaining the experiment to the students.
(
선생님은 학생들에게 실험을 설명하면서 시약을 용액에 부었어요.)

 

"poured the reagent into ~"는 과학 실험에서 흔히 쓰이는 표현이고, 비유적으로도 활용 가능하답니다. into를 사용해서 "어떤 용기 안으로 붓는 동작"을 강조하는 것이죠.

 

1096. I analyzed the ingredients.

-해석: 그 재료들를 분석 했어요.

-분석: "analyze"분석하다이고 과학적, 화학적, 영양학적, 구성 요소 등을 조사할 때 사용하는 단어랍니다.

"ingredient" 성분, 재료이고 요리, 화학, 제품 성분 등 여러 맥락에서 사용할 수 있답니다.

 

응용:

The scientist analyzed the ingredients in the new drug.
(
과학자는 신약의 성분을 분석했어요.)

 

I analyzed the ingredients on the food label to check for allergens.
(
알레르기 유발 물질이 있는지 확인하려고 식품 라벨의 성분을 분석했어요.)

 

The chef analyzed the ingredients to recreate the dish.
(
그 셰프는 요리를 재현하기 위해 재료를 분석했어요.)

 

She analyzed the ingredients of the skincare product before buying it.
(
그 여자는 구매하기 전에 스킨케어 제품의 성분을 분석했어요.)

 

We analyzed the ingredients of the chemical compound in the lab.
(
우리는 실험실에서 그 화합물의 성분을 분석했어요.)

 

analyze 어원은 아래와 같답니다.

 

어원:
그리스어: analuein (ναλύειν) → ana- (위로, 다시) + lyein (풀다, 해체하다)
라틴어: analysare → 분석하다
중세 프랑스어: analyser → 분석하다
영어: analyze (미국식), analyse (영국식)

 

어원적 의미:
"analyze"
"다시(again) 풀어서(break down) 조사하다"는 의미에서 유래. , 복잡한 것을 작은 요소로 분해하여 연구하는 과정.

 

관련 단어:

analysis (분석)

analyst (분석가)

analytical (분석적인)

lysis (용해, 분해) → 같은 lyein 어근에서 유래.

 

결론적으로,

"analyze" "다시 풀어 해체하다"라는 뜻에서 발전하여, "분석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된답니다.

 

"ana-"를 다시 한번 분해해 보겠습니다.

"ana-"는 기본적으로 "위로(up), 다시(back), 되풀이해서(again)" 등의 의미를 갖습니다.

 

그리스어 "νά (aná)"에서 유래

방향: 위로(up)

반복: 다시(again)

분해: 되돌려서(back)

 

예시 단어

analyze → ana- (다시) + lyein (풀다) → "분해하여 분석하다"

anatomy → ana- (위로, 전체적으로) + tome (자르다) → "해부"

anagram → ana- (되돌려) + gram (글자) → "글자를 섞어 만드는 단어"

 

참고로,
그레이 아나토미(Gray's Anatomy) '그레이의 해부학'이라는 의미입니다. 이는 헨리 그레이(Henry Gray) 1858년에 처음 출판한 의학서로, 인간 해부학에 관한 교과서입니다. 이 책은 지금까지도 의학 교육에서 중요한 참고서로 사용되고 있답니다. Gray's Anatomy의 주요 내용은 인체의 구조와 해부학적 세부사항에 관한 정보입니다.

 

Gray's Anatomy라는 TV 시리즈?

Grey's Anatomy라는 TV 드라마도 유명합니다. 이 드라마는 의사들의 일상과 의료 현장에서의 갈등과 인간 관계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며, 해부학 교과서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이 드라마 제목은 'Gray's Anatomy'에서 착안한 것이라고 하네요.

 

"-lyze"로 따로 한번 살펴 볼게요!

이것은 "분해하다(break down, dissolve)"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lyze"의 어원

그리스어 "λύειν (lyein)" → "풀다, 분해하다, 해체하다"
이 어근이 영어로 오면서 "-lyze" 형태로 사용됨.

 

"-lyze"가 포함된 단어 예시

 

analyze → ana- (다시, 분해) + lyein (풀다): "분석하다, 해체하여 연구하다"

 

catalyze → cata- (아래로, 완전히) + lyein (풀다): "촉진하다, 분해하다" (화학 반응을 빠르게 하는 과정)

 

electrolyze → electro- (전기) + lyein (분해하다) "전기 분해하다"

 

비슷한 어근 "lysis"

"lysis"도 같은 어원에서 왔으며 "분해, 용해"의 뜻을 가짐.

예시:

hydrolysis (hydro- + lysis 분해) → "물로 분해하는 과정"

paralysis (para- /비정상적으로 + lysis 분해) → "마비" (신경이 끊어지는 것처럼 기능을 상실한 상태)

 

동사형이 “paralyze(미국식) / paralyse(영국식)”

"paralyze" "비정상적으로(para-) 신체 기능이 풀어지는(lyein) 상태", "마비시키다"라는 의미로 발전되었답니다.

 

1097. I extracted an ingredient.

-해석: 한 성분을 추출하였어요.

-분석: "Extract" "추출하다, 뽑아내다"라는 의미로, 주로 화학, 의학, 식품, 연구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Extract an ingredient" 자체로도 맞지만, 보통 "from ~"을 붙여 어디서 추출했는지 말할 수 있답니다.

 

응용:

 

I extracted an ingredient from the plant.
(
그 식물에서 한 가지 성분을 추출했어요.)

 

I extracted an ingredient from the mixture.
(
혼합물에서 한 가지 성분을 추출했어요.)

 

I extracted caffeine from coffee beans.
(
커피콩에서 카페인을 추출했어요.)

 

I extracted essential oil from lavender.
(
라벤더에서 에센셜 오일을 추출했어요.)

 

“extract” 어원은 아래와 같답니다.

 

어원:
라틴어: extrahere → ex- (밖으로) + trahere (끌다, 당기다)
라틴어: extractus (과거 분사형) → "끌어낸 것"
프랑스어: extrait → "추출된 것"
영어: extract (15세기경 도입)

 

어원적 의미:
"extract"
"밖으로(ex-) 끌어내다(trahere)"에서 유래했으며, "추출하다, 뽑아내다"라는 뜻으로 발전함.

 

관련 단어:

traction (trahere 끌다 + -tion 명사형) → "끌기, 견인"

tractor (trahere 끌다 + -or 명사형) → "트랙터" (땅을 끄는 기계)

detract (de- 아래로 + trahere 끌다) → "가치를 떨어뜨리다"

contract (con- 함께 + trahere 끌다) → "계약, 수축하다"

 

 

“ingredient” 어원도 한 번 살펴 볼게요!

 

어원:
라틴어: ingredī → in- (안으로) + gradī (걷다, 나아가다)
라틴어: ingredientem (현재 분사형) → "안으로 들어가는 것"
프랑스어: ingrédient → "구성 요소"
영어: ingredient (16세기경 도입)

 

어원적 의미:
"ingredient"
는 본래 "안으로 들어가는 것"이라는 뜻에서 출발했으며, 음식이나 약의 "재료, 성분"을 의미하게 됨.

 

관련 단어:

ingress (in- 안으로 + gress 걷다) → "입장, 들어감"

progress (pro- 앞으로 + gress 걷다) → "진행, 발전"

graduate (grad- 걷다, 단계적으로 나아가다) → "졸업하다, 학위를 받다"

 

gradually – “점차적으로라는 의미죠.

 

1098. I extracted an element.

-해석: 한 성분을 추출하였어요.

-분석: “element”요소, 원소, 성분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단어랍니다.

 

응용:

In the laboratory, I extracted an element from the compound using a chemical reaction.
(
실험실에서 화학 반응을 이용해 화합물에서 원소를 추출했어요.)

 

The archaeologist carefully extracted an element from the ancient artifact.
(
고고학자는 고대 유물에서 하나의 요소를 조심스럽게 추출했어요.)

 

After analyzing the data, I extracted an element that was crucial for the study.
(
데이터를 분석한 후, 연구에 중요한 요소를 추출했어요.)

 

During the interview, I extracted an element of the candidate's experience that stood out.
(
면접 중에 후보자의 경험 중 눈에 띄는 요소를 끄집어냈어요.)

 

I extracted an element of the song's melody to create a new remix.
(
그 노래의 멜로디에서 요소를 추출해 새로운 리믹스를 만들었어요.)

 

"element"의 어원은 아래와 같답니다.

 

"element"의 어원:

라틴어 "elementum" "구성 요소" 또는 "기본적인 부분"을 의미합니다.

"elementum"은 더 오래된 "elea" (물질, 기초)에서 파생되었으며, 이는 "basic principles" (기본 원리) 또는 "rudiments" (기초)라는 뜻이었습니다.

 

"element"의 의미 변화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는 "4대 원소" (, , 공기, )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element"를 기본적인 구성 요소로 정의했습니다.

중세에는 "element"가 물리적 또는 화학적 기본적인 물질을 의미했으며, 현재는 "구성 요소" "부분"이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예문

The elements of the earth are fire, water, air, and earth.
(
지구의 원소는 불, , 공기, 흙이다.)

 

Water is an essential element for life.
(
물은 생명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The periodic table contains all the chemical elements.
(
주기율표는 모든 화학 원소를 포함하고 있다.)

 

"-ment"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접미사로, 명사를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주로 동사에 붙여 행위, 상태, 결과를 나타내는 명사를 형성합니다.

 

"-ment"의 어원

라틴어 "-mentum"에서 유래했으며, 행위, 상태, 결과를 의미하는 명사형 접미사입니다.

"-ment"가 붙은 단어는 일반적으로 어떤 행위나 과정의 결과를 나타냅니다.

 

"-ment"가 붙은 예시들:

 

enjoy → enjoyment
(
즐기다즐거움, 기쁨)
(
행위의 결과인 "즐거움"이라는 상태를 나타냄)

 

develop → development
(
발전하다발전)
(
발전하는 행위의 결과)

 

achieve → achievement
(
성취하다성취)
(
행위의 결과인 "성취"를 나타냄)

 

establish → establishment
(
설립하다설립, 창립)
(
설립 행위의 결과인 "설립"을 의미)

 

employ → employment
(
고용하다고용)
(
고용 행위의 결과인 "고용" 상태)

 

의미 변화

"-ment"가 붙은 단어는 동사에서 명사로 변화하면서 행위나 상태를 나타내는 추상적인 개념을 형성합니다.

예를 들어, "establish" "설립하다"라는 행위를 나타내고, "establishment"는 그 행위의 결과 또는 상태를 나타내는 명사가 됩니다.

 

결론적으로,

"-ment"는 동사의 행동이나 상태, 결과를 나타내는 명사를 만드는 접미사로, 라틴어에서 유래하여 많은 단어에 사용됩니다.

 

1099. I adjusted the magnifying power of the microscope.

-해석: 그 현미경 배율을 조절하였어요.

-분석: "adjust" "조정하다, 조절하다"라는 뜻으로, 특정한 것을 원하는 상태로 맞추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magnifying"은 현재분사(형용사 역할)의 역할을 하고, 의미는 "확대하는"이라는 의미로 "power"를 수식합니다. "power"는 명사로, 여기서는 "능력, "이 아닌 "배율"의 의미로 사용된답니다.

 

"the magnifying power""확대 배율"로 현미경의 배율 조절 기능을 의미한답니다.

 

유사한 표현으로는?

"I adjusted the magnification of the microscope."

"magnification" "magnifying power"와 같은 의미인데, magnification 이 과학적/기술적 문맥에서는 더 자주 사용을 한답니다. 여기서는 일단 magnifying power를 선택했답니다.

 

"I fine-tuned the magnification of the microscope."

"fine-tune"을 사용하면 "세밀하게 조정했다"는 뉘앙스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adjust"의 어원은 아래와 같습니다. 어떤 관점으로 이 단어를 만들었는지 한번 살펴 볼까요.

 

"adjust"의 어원 분석

 

라틴어: "ad" (방향을 향하여) + "juxtare" (근처에 두다, 맞추다)

"ad" "~을 향하여"라는 뜻을 가진 접두사입니다.

"juxtare" "juxta"에서 유래하며, "근처에", "옆에", "맞추다"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Juxta 는 접두사로 사용되어 juxtaposition(병렬, 병치) 같은 단어들을 만들어 낸답니다.

 

중세 영어: "adjusten"에서 파생됨, 주로 "맞추다"라는 의미로 사용됨.

 

의미 변화

초기: "조정하다" 또는 "맞추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실제로 어떤 것이 다른 것과 잘 맞도록 조정하는 행동을 의미했습니다.

현대: 현재는 상황에 맞게 조정하다또는 적응하다라는 뜻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함께 가져 갈 수 있는 다른 단어들?

Adjustable (조절 가능한): "adjust"에서 파생된 형용사로, "조절할 수 있는"이라는 의미입니다. “able”“~할 수 있는이죠.

 

Adjustment (조정, 조절): "adjust"에서 파생된 명사로, "조정"이나 "수정"을 의미합니다. “-ment”는 명사형을 만드는 접미사이죠.

 

예문:

I need to adjust the chair for better comfort.
(
더 편안하게 앉기 위해 의자를 조정해야 해요.)

 

She had to adjust to the new environment after moving.
(
그 여잔 이사 후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 했어요.)

 

The temperature can be adjusted using the remote.
(
온도는 리모컨을 사용하여 조절할 수 있어요.)

 

결론적으로,

"adjust"는 라틴어 "adjuxtare"에서 유래한 단어로, "조정하다" 또는 "맞추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상황에 맞게 적응하다"라는 의미로 확장되었습니다.

 

 

"Magnify" 어원은 아래와 같답니다.

 

어원 구조

magnify = magn(i) + -fy

 

magn(i)- → "크다, 위대하다"라는 뜻을 가진 라틴어 "magnus"에서 유래

-fy → "~하게 만들다"라는 뜻의 라틴어 접미사 "-ficare"에서 유래 (동사를 만드는 역할)

 

따라서 "magnify" "크게 만들다", "확대하다, 증대시키다"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어원 단계별 변천

라틴어: magnificare → "크게 하다, 칭송하다"

고대 프랑스어: magnifier → "확대하다, 칭찬하다"

중세 영어: magnifien → "크게 보이게 하다, 찬양하다"

현대 영어: magnify → "확대하다", "칭찬하다"

 

의미 변화

초기 의미: "크게 하다, 확대하다"

추가된 의미: "칭찬하다, 과장하다" (비유적 의미로 발전)

예를 들어, "to magnify someone's achievements"라고 하면 "누군가의 업적을 과장하다" 또는 "극찬하다"라는 의미로 쓰입니다.

 

함께 주워 갈 수 있는 단어들?

magnificent (a.) → "웅장한, 장엄한"

magnitude (n.) → "규모, 크기"

magnanimous (a.) → "도량이 큰, 관대한" (magnus + animus[마음] – animal(동물 마음이 있다는 것에서 유래!)

magnet (n.) → "자석" (크게 끌어당기는 힘과 관련)

 

그럼, 온라인 강의 메가 스터디나 영화관 메가 박스? 아시겠죠. 큰 공부! 큰 상자!

 

예문

A microscope magnifies small objects.
(
현미경은 작은 물체를 확대해요.)

 

His influence was magnified by the media.
(
그 사람의 영향력은 언론에 의해 과장되었어요.)

 

The lens magnifies the image ten times.
(
그 렌즈는 이미지를 10배 확대해요.)

 

결론적으로,

"Magnify"는 라틴어 "magnus()" + "-fy(하게 만들다)"에서 유래했으며, "크게 만들다확대하다칭찬하다/과장하다"로 의미가 발전함.
"Magnification(
확대)", "Magnificent(장엄한)" 같은 단어와 어원이 연결된답니다.

 

 

"Microscope" 어원을 한번 볼게요.

 

어원 구조

microscope = micro- + -scope

micro- → "작은"을 뜻하는 그리스어 "mikros (μικρός)"에서 유래

-scope → "보다"를 뜻하는 **그리스어 "skopein (σκοπεν)"에서 유래

따라서 "microscope" "작은 것을 보는 기구", "현미경"이라는 의미가 됩니다.

 

어원 단계별 변천

고대 그리스어: μικρός (mikros, 작은) + σκοπεν (skopein, 보다)

라틴어: micro- + -scopium (작은 것을 보는 장치)

이탈리아어(17세기): microscopio

영어(17세기 초): microscope

 

"microscope"라는 단어는 **1625년 이탈리아 과학자 조반니 파베르(Giovanni Faber)가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답니다.

 

함께 주워 갈 수 있는 다른 단어들?

microscopic (a.) → "미세한, 현미경으로만 볼 수 있는"

microscopy (n.) → "현미경학"

microscopist (n.) → "현미경을 다루는 사람"

telescope (n.) → "망원경" (tele-[멀리] + -scope[보다])

 

예문

A microscope allows us to see tiny organisms.
(
현미경은 우리에게 미세한 생물체를 볼 수 있게 해줘요.)

 

Bacteria are too small to be seen without a microscope.
(
박테리아는 현미경 없이 볼 수 없을 정도로 작아요.)

 

He studied the sample under a high-powered microscope.
(
그 사람은 고배율 현미경 아래에서 샘플을 연구했어요.)

 

I increased the magnification of the microscope.

(그 현미경의 배율을 늘렸어요.)

 

I decreased the magnification of the microscope.

(그 현미경의 배율을 줄었어요.)

 

1100. I put an object under the microscope.

-해석: 한 물질을 현미경()에 놓았어요.

-분석: "나는 현미경으로 관찰하기 위해 물체를 놓았다." 라는 의미랍니다.

 

"Under the microscope"는 문자 그대로 "현미경 아래에"라는 뜻이지만, "세밀하게 조사하다"라는 비유적인 의미로도 사용됩니다.

 

응용:

She placed the sample under the microscope.
(
그 여자는 샘플을 현미경 아래에 놓았어요.)

 

The scientist put a tiny insect under the microscope.
(
그 과학자는 작은 곤충을 현미경 아래에 놓았어요.)

 

His actions are now under the microscope. (비유적 표현)
(
그 사람의 행동은 현재 면밀히 조사받고 있어요.)

 

 

1101. I picked it up with tongs.

-해석: 그것을 집게로 집었어요.

-분석: "Tongs"는 항상 복수형(-s)으로 쓰이며, "한 쌍의 집게"를 의미합니다.

 

응용:

(I picked up the hot pan with tongs.
(
뜨거운 팬을 집게로 집어 올렸어요.)

 

Use tongs to handle the charcoal.
(
숯을 다룰 때는 집게를 사용하세요.)

 

I grabbed the ice cube with tongs.
(
얼음 조각을 집게로 집었어요.)

 

tong의 어원을 한번 살펴 볼까요?

 

어근:
고대 영어: tange (집게, 족집게)
고대 노르드어: tǫng (집게)
게르만어: tangō (붙잡다, 집다)

결국, tong "무언가를 집거나 쥐는 도구"를 뜻하는 게르만계 단어에서 유래했어요.

 

관련 단어

tongs (집게, 부젓가락) → tong의 복수형

tongue () → 비슷한 어원을 가짐, 혀도 음식이나 말을 "집고, 다루는" 역할을 함

 

재미있는 점은 tongue() tongs(집게)가 어원적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혀도 말이나 음식을 다루는 기능을 하므로, 같은 조작 기능에서 의미가 발전했을 수 있어요!

 

1102. I picked it up with tweezers.

-해석: 그것을 집게로 집었어요.

-분석: “Tweezers" "핀셋, 족집게"를 의미하며, 항상 복수형(-s)으로 사용됩니다. 하지만 단수 취급하여 "a pair of tweezers"라고도 표현할 수 있습니다.

 

"핀셋"은 한국어에서 사용되는 "tweezers"의 번역어로, "pin""set"을 결합한 형태로 보입니다. 영어에서 "pinset"이라는 단어는 없지만, 한국에서 "핀셋""tweezers"와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관련 예문

I picked up the tiny splinter with tweezers.
(
작은 파편 가시를 핀셋으로 집어 올렸어요.)

 

Use tweezers to remove the hair.
(
털을 제거할 때 핀셋을 사용하세요.)

 

I carefully handled the insect with tweezers.
(
곤충을 핀셋으로 조심스럽게 다뤘어요.)

  

"Tongs" "tweezers"는 둘 다 무언가를 집을 때 사용하는 도구이지만, 용도와 형태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1. Tongs

큰 물체를 집는 도구
두 개의 긴 손잡이와 집는 부분이 연결된 구조
주방, 바비큐, 실험실 등에서 사용

 

예문:

I used tongs to flip the steak.
(
집게로 스테이크를 뒤집었어요.)

 

Use tongs to pick up the ice cubes.
(
얼음 조각을 집을 때 집게를 사용하세요.)

 

주요 용도:
요리용 집게 (고기, 샐러드, 빵 등을 집을 때)
실험용 집게 (뜨거운 물건을 다룰 때)
바비큐 집게

 

2. Tweezers

작은 물체를 집는 도구
작은 핀셋 형태, 손가락으로 눌러 사용
미용, 의학, 공예, 정밀한 작업에 사용

 

예문:

I plucked her eyebrows with tweezers.
(
핀셋으로 눈썹을 뽑았어요.)

The doctor used tweezers to remove the splinter.
(
의사가 핀셋으로 가시를 제거했어요.)

 

주요 용도:
미용 (눈썹 정리, 속눈썹 붙이기)
의학 (수술, 상처 치료)
세밀한 작업 (전자 부품 조립, 공예)

 

"Tweezer"의 어원 아래와 같답니다.

 

어원 분석

"Tweezer" "tweeze"에서 유래한 단어입니다.

"Tweeze" 16세기 네덜란드어에서 유래한 단어 "twijzer"에서 파생되었습니다. 이 단어는 "쥐다, 집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었으며, 원래 "" 또는 "두 개"의 의미를 나타냈습니다. 따라서, "tweezer" "두 개의 작은 물건을 집는 도구"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어원 발전

Tweeze → twijzer (네덜란드어) → tweezer (영어)

이 단어의 발전은 쌍을 이루는 도구의 개념에서 나온 것으로, "두 개의 물건을 잡는 도구"로 해석됩니다.

 

관련 단어

"Twee": 네덜란드어로 "두 개"를 의미합니다. 이와 관련된 단어가 "tweezer"로 발전하여 작은 집게 도구를 의미하게 되었습니다.

 

영어의 두개를 나타내는 “two” “twice” 때문에 “twee”가 낯설지는 않죠.

 

1103. I dissected a frog.

-해석: 개구리 한 마리를 해부했어요.

-분석: “dissect” "분해하다", "해부하다"라는 의미의 동사랍니다.

 

응용:

The students dissected a frog in biology class to study its internal organs.

(생물학 수업에서 학생들이 개구리를 해부하여 내부 장기를 연구했어요.)

 

The scientist carefully dissected the specimen to understand its structure.

(과학자는 샘플을 신중하게 해부하여 그 구조를 이해했어요.)

 

In the lab, we dissected various animals to learn about their anatomy.

(실험실에서 우리는 다양한 동물들을 해부하여 그들의 해부학에 대해 배웠어요.)

 

The detective dissected the case in great detail to find clues.

(탐정은 단서를 찾기 위해 사건을 철저히 분석했어요.)

 

I had to dissect the problem into smaller parts to solve it effectively.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그것을 더 작은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야 했어요.)

 

"Dissect"의 어원?

 

"Dissect"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단어입니다.

 

라틴어: dissectus (자른, 쪼갠)

이 단어는 "dis-" + "secare"에서 파생되었습니다.

"dis-" "떨어져, 분리하여"라는 뜻을 가지며,

"secare" "자르다"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dissect" "분리하여 자르다" 또는 "조각내다"라는 의미로 발전하였고, 현재는 "자세히 분석하거나 해부하다"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결론적으로,

Dissect "dis-" (떨어져) + "secare" (자르다)에서 유래한 단어로, 원래 "자르다"라는 의미에서 "해부하다" 또는 "분석하다"라는 의미로 확장되었습니다.

 

함께 주워 갈 수 있는 단어들!

Section (절단, 구획)

Segment (조각, 부분)

 

참고로,

"Anatomy"(해부학)의 동사형은 "anatomize"입니다.

 

anatomize 뜻과 용법:

(의학적) 해부하다

"The scientist anatomized the specimen to study its structure."
(
그 과학자는 표본을 해부하여 구조를 연구했다.)

(비유적으로) 상세히 분석하다

"The critic anatomized the novel, breaking down its themes and characters."
(
그 비평가는 그 소설을 상세히 분석하며 주제와 캐릭터를 분해했다.)

"anatomize"는 학술적이거나 문어적인 느낌이 강하며, 일상적인 대화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아요.

 

해부하다라는 의미로는 "dissect"가 더 일반적으로 쓰입니다.

"The students dissected a frog in biology class."
(
학생들은 생물 수업에서 개구리를 해부했어요.)

 

결론적으로,

"anatomize"는 해부학적 맥락에서 더 전문적이고 문어적인 느낌이 강하며, 비유적으로 개념·사상 등을 분석할 때 자주 사용된답니다.

"dissect"는 실제 신체·사물을 절개할 때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며, 비유적 분석에도 자연스럽게 쓰인답니다.

일상적으로는 "dissect"가 훨씬 많이 사용된답니다.

 

dissect의 발음은 두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미국식 발음: /dɪˈsɛkt/ → -셕트 (강세가 두 번째 음절)
영국식 발음: /ˈdaɪ.sɛkt/ → 다이-셕트 (강세가 첫 번째 음절)

미국에서는 "디셕트"라고 많이 발음하며, 영국에서는 "다이셕트"라고 발음하는 경우도 있답니다.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지역에 따라 다르니 참고 하세요. 여기서는 /다이셕트/라고 발음을 한답니다. 

 

1104. I tested the medicine on a lab rat.

-해석: 한 실험용 쥐에 약을 실험 했어요.

-분석: I tested a medicine on a lab rat. (어떤 특정한 약을 실험했다면 "a" 추가)
I tested the medicine on a lab rat. (
이미 언급된 특정한 약이라면 "the" 사용)

 

응용:

The scientists tested the new drug on a lab rat before conducting human trials.
(
과학자들은 인간 실험을 하기 전에 실험용 쥐에게 새로운 약물을 테스트했어요.)

 

Before approving the vaccine, they tested it on several animals, including lab rats.
(
백신을 승인하기 전에 여러 동물들, 실험용 쥐를 포함해 그것을 테스트했어요.)

 

She was the first to test the innovative treatment on a lab rat.
(
그 여자가 혁신적인 치료법을 실험용 쥐에게 처음으로 테스트한 사람이었어요.)

 

The results from testing the medicine on a lab rat showed promising signs of effectiveness.
(
실험용 쥐에게 약물을 테스트한 결과는 효과가 있을 가능성을 보였어요.)

The lab technician tested the new chemical compound on a lab rat to observe its effects.
(
실험실 기술자는 새로운 화학 화합물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관찰하기 위해 실험용 쥐에게 테스트를 진행했어요.)

 

 

 

 

Thank you for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