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1073-1088) 시험을 망쳤어요 영어로? (I messed up the test.)

by 영어 낚는 어부 2025. 3. 13.
반응형

 

(1073-1088) 시험을 망쳤어요 영어로 (I messed up the test.).mp3
3.12MB

 

 

1073. I accidentally missed a question on the English exam.

-해석: 그 영어시험에서 실수로 문제 하나를 풀지 않았어요.

-분석: "Miss"는 실수로 놓친 경우에, "Skip"은 고의적으로 건너뛰었다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아래의 예문에서 뉘앙스를 더 느껴보세요.

 

1. "I missed the school."

"Miss"는 놓쳤다 또는 못 갔다는 의미로, 학교에 가지 못했다는 뜻입니다. 주로 예기치 않은 상황이나 실수로 학교에 가지 못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아파서 학교에 못 갔거나, 학교 가는 버스를 놓쳤을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시:

"I missed the school because I was sick."
(
아파서 학교에 못 갔어요.)

"I missed the school bus."
(
학교 버스를 놓쳤어요.)

 

2. "I skipped the school."

"Skip"고의로 빠지다또는 건너뛰다라는 의미입니다. 이 표현은 학교에 일부러 가지 않거나, 빠졌다는 의미입니다. 예를 들어, 학교에 가는 것을 고의로 피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예시:

"I skipped the school today because I wanted to relax."
(
오늘 쉬고 싶어서 학교를 일부러 빠졌어요.)

"I skipped the school to go on a trip."
(
여행을 가려고 학교를 빠졌어요.)

 

차이점:

"I missed the school."은 예기치 않게 또는 실수로 학교에 가지 못한 경우를 의미합니다.

"I skipped the school."은 고의적으로 학교에 가지 않은 경우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miss"는 주로 우연히 못 갔을 때 사용되고, "skip"은 의도적으로 빠졌을 때 사용됩니다.

 

"문제 하나를 실수로 틀렸다."라고 하려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어요.

I accidentally got a question wrong on the English exam.

I made a mistake on a question in the English exam.

I messed up one question on the English exam. (좀 더 캐주얼한 표현)

 

"in" vs "on" (시험에서 사용될 때)

 

1. "In the English exam":

"In"은 시험의 범위나 내용 안에서를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시험의 전체적인 맥락이나 시험에서 일어난 일에 대해 말할 때 보통 "in"을 사용합니다.

"In"은 보통 내부를 의미하므로, 시험이라는 사건이나 과정 내에서 실수를 했다는 느낌을 줍니다. 영어라는 과목의 시험에서!

:

"I made a mistake in the English exam."
(
영어 시험과목에서 실수를 했어요.)

 

2. "On the English exam":

"On"은 시험 문제지 위나 시험을 보는 대상을 언급할 때 더 자주 사용됩니다. 특정 시험의 문제에 대해서 이야기할 때는 "on"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영어 시험 문제지에서!

:

"I got a question wrong on the English exam."
(
영어 시험의 문제지에 있는 한 문제를 틀렸어요.)

 

 

참고로, “miss” 그리워 하다라는 의미로도 자주 사용되죠.

 

“miss” 그리워하다 (Feel sad about someone's absence) 사람이나 어떤 것이 없어져서 아쉬울 때 사용됩니다.

 

예문:
I really miss my hometown.
(
정말 고향이 그리워요.)

 

She misses her old friends from school.
(그 여잔 학교 시절의 친구들을 그리워해요.)

 

I miss you so much!
(
네가 너무 보고 싶어!) – I am missing you, (X) 진행형 안됨!

 

"I miss you"는 맞고 "I am missing you"는 이상할까?

"miss"는 일반적으로 상태 동사(state verb)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상태 동사는 감정, 소유, 인식, 존재 등을 나타내는 동사로, 일반적으로 진행형(~ing)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miss"는 감정을 나타내는 동사이므로 일반적으로 진행형이 아니라 단순 현재형을 씁니다.

I miss you. (자연스러움)

I am missing you.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음)

 

다른 상태 동사의 예:

like, love, hate, know, understand, believe, need, want, remember

 

예문:

I love this song. (X I am loving this song.)

I need your help. (X I am needing your help.)

 

"I am missing you"가 가능할 수도 있을까?

보통 사용하지 않지만, 일부 문맥에서는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I am missing you a lot these days."

평소에는 안 그립지만, 요즘 특별히 보고 싶은 감정을 강조할 때 가능할 수도 있음.

 

 

1074. I checked the answers.

-해석: 그 답들을 체크해 봤어요.

-분석: “the” 대신에 “my”을 사용하면 자신이 작성한 답을 확인했다는 의미가 더 명확해 진답니다.

 

응용:

I checked my answers before submitting the exam.
(
시험을 제출하기 전에 내 답을 확인했어요.)

 

After finishing the test, I checked my answers to make sure there were no mistakes.
(
시험을 끝낸 후, 실수가 없는지 내 답을 점검했어요.)

 

I checked my answers against the answer key.
(
정답표와 내 답을 대조했어요.)

 

1075. I received my report card.

-해석: 제 성적표를 받았어요.

-분석: 성적표를 받았다는 뜻으로, 공식적이고 격식 있는 표현입니다.

응용:

일상적인 대화에서
"I got my report card." → (
가장 자연스러움) "나 성적표 받았어."
"I got my grades." → "
나 성적 받았어."

"I checked my report card online." → "온라인에서 성적표를 확인했다."

"I showed my report card to my parents." → "부모님께 성적표를 보여드렸다."

 

1076. I got my transcript.

-해석: 성적 증명서를 받았어.

-분석: "report card" vs. "transcript" 차이?

 

“report card” → ··고등학교에서 정기적으로 받는 성적표

“transcript” → 고등학교나 대학교에서 전체 학업 기록을 포함하는 공식 성적 증명서

, "report card"는 주로 한 학기나 한 학년 동안의 성적을 나타내는 반면, "transcript"는 더 공식적인 문서로 졸업이나 편입, 유학, 취업 등의 목적으로 제출하는 성적 증명서입니다.

 

응용:

I got my transcript from the school office.
(
학교 사무실에서 성적 증명서를 받았어.)

I requested my transcript online and received it by email."
(
온라인으로 성적 증명서를 신청해서 이메일로 받았어.)

I need my transcript to apply for college.
(
대학 지원하려면 성적 증명서가 필요해.)

 

1077. I aced the test.

-해석: 그 시험을 잘 쳤어요.

-분석: “나는 시험에서 만점을 받았다 또는나는 시험을 잘 치렀다는 의미로, 시험에서 매우 좋은 성적을 거두었음을 나타냅니다.

 

응용:

I studied hard, and I aced the test!
(
열심히 공부해서 시험을 완전 잘 봤어!)

 

I was so nervous before the exam, but I actually aced it!

(시험 전에 엄청 긴장했는데, 사실 완전 잘 봤어!)

 

대화형 예문:

A: How was your math test? (수학 시험 어땠어?)
B: I aced it! (
완전 잘 봤어!)

Back in high school, I always aced my English tests.
(
고등학교 때 난 항상 영어 시험을 잘 봤어.)

 

시험 외 다른 상황에서도 사용 가능?

She aced the interview and got the job.
(
걔는 면접을 완벽하게 봐서 바로 합격 했어.)

 

이렇게 ace는 시험 뿐만 아니라 면접, 발표, 경기 같은 상황에서도 "완벽하게 해내다"라는 뜻으로 쓸 수 있답니다.

 

1078. I passed the test with a low score.

-해석: 낮은 성적으로 그 시험을 통과 했어요.

-분석: 시험에서 요구되는 최소 점수를 넘었지만 성적이 높지 않았음을 나타냅니다.

 

응용:

I didn’t do well, but at least I passed the test with a low score.
(
잘 보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낮은 점수로 통과했어요.)

 

I barely studied, but somehow I passed the test with a low score.
(
거의 공부를 안 했는데도, 어찌해서 낮은 점수로 통과했어요.)

 

1079. I did well on the test.

-해석:  시험을 잘 쳤어요.

-분석: 비슷한 표현:

I performed well on the test. (좀 더 격식 있는 표현)

I did great on the test. (더 강한 긍정)

I aced the test. (완벽하게 잘 봤다는 의미)

 

주의할 점?
"I did good on the test."
은 문법적으로 틀린 표현입니다.
"good"
은 형용사이고, 여기서는 부사 "well"을 써야 합니다.

 

참고로, “I am well.” 에서 “well”은 형용사입니다.

 

1. (건강이) 괜찮다, 아프지 않다 → "I am healthy."와 비슷한 의미하죠.

 

예문

A: How are you?
B: I am well, thank you. (
저는 잘 지내요, 감사합니다.)

이 경우 "I am good."보다 "I am well."이 더 자연스럽습니다.

 

2. (상황이) 좋다문맥에 따라 가능하지만 흔한 표현은 아님

보통 "I am doing well."을 더 많이 사용합니다. 여기서는 well 부사이죠.

 

3. "I am well." vs. "I am good." 차이점

I am well. → 주로 건강 상태가 좋다는 의미한답니다.

I am good. → 건강 뿐만 아니라 기분, 상황이 괜찮다는 의미로 더 널리 사용!

 

"I'm good."은 일상 회화에서 더 일반적인 표현입니다.

결론적으로,
"I am well."
은 문법적으로 맞지만, 일상적으로는 "I'm good."이나 "I'm doing well."이 더 자연스러울 때가 많습니다.

“I am well.”건강한 중점을 둘 때 사용하면 더 좋겠죠.

 

그리고,

"I am well." → 형용사 well (건강하다)
"I am doing well." →
부사 well (잘하고 있다)

 

1080. I messed up the test.

-해석: 그 시험을 망쳤어요.

-분석: "시험을 망쳤어요."  "시험을 완전 엉망으로 봤어요." 라는 의미랍니다.

“mess up”은 동사구로 망치다, 실수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답니다. “mess up”보다 더 심각하게 망친 상황 즉 소의 폭망“screw up”이라고 사용하면 된답니다.

 

비슷한 표현:

I screwed up the test. (시험을 완전히 망쳤어요.)

I failed the test. (시험에서 떨어졌어요.)

I blew the test. (blow는 실수로 기회를 날려버린다는 뉘앙스)

I didn’t do well on the test. (시험을 잘 못 봤어요.)

 

응용:

I was so nervous that I messed up the test.
(
너무 긴장해서 시험을 망쳤어요.)

 

A: How did your exam go? (시험 어땠어?)
B: I totally messed it up. (
완전 망쳤어.)

I should have studied harder. I really messed up the test.
(
더 열심히 공부할 걸. 시험을 정말 망쳤어요.)

 

"mess up"은 시험 뿐만 아니라 일, 프로젝트, 관계 등에서도 실수하거나 망쳤을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1081. I got an A in the class.

-해석: 그 수업에서 A을 받았어요.

-분석: "get an A"“A 등급을 받다라는 의미로, 학업에서 좋은 성적을 얻었을 때 사용됩니다.

 

비슷한 표현:

I received an A in the class. (조금 더 격식 있는 표현)

I earned an A in the class. (노력으로 얻었다는 뉘앙스)

I aced the class. (수업을 완벽하게 해냈다는 의미)

 

응용:

I studied really hard, and I got an A in the class.
(
정말 열심히 공부해서 그 수업에서 A를 받았어요.)

 

A: How did you do in the exam? (시험 어땠어?)
B: I got an A in the class. (
그 수업에서 A를 받았어요.)

1082. I got the best score on the English exam.

-해석: 그 영어시험에서 1등을 했어요

-분석: “get the best score"는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는 뜻입니다.

 

비슷한 표현:

I scored the highest on the English exam.

I got the top score on the English exam. (비슷한 의미, "top score"는 최고의 점수라는 의미)

 

응용:

I studied really hard, and I got the best score on the English exam.
(
정말 열심히 공부해서 영어 시험에서 최고의 점수를 받았어요.)

 

A: How did you do on the test? (시험 어땠어?)
B: I got the best score on the English exam. (
영어 시험에서 최고의 점수를 받았어요.)

1083. I scored 900 on the TOEIC.

-해석: 토익에서 900점을 받았어요.

-분석: “score"점수를 받다또는 얻다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응용:

I studied for months, and I scored 900 on the TOEIC.
(
몇 달 동안 공부한 끝에 TOEIC에서 900점을 받았어요.)

 

A: How did you do on the TOEIC? (TOEIC은 어땠어?)
B: I scored 900. (900
점을 받았어요.)

 

1084. My score was 900 on the TOEIC.

-해석: 토익시험에서 900점을 받았어요.

-분석: "point"는 보통 포인트라는 개념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시험 점수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oint"는 점수 대신 토픽이나 논의의 중요한 점을 나타내거나 경기에서의 점수에 사용됩니다.

 

: "He made an important point during the meeting." (그 사람은 회의 중에 중요한 의견을 제시했어요.)

따라서, TOEIC 같은 시험에서는 "score"를 사용하는 것이 맞습니다.

 

결론적으로,

"My score was 900 on the TOEIC." (자연스럽고 정확한 표현)

"My point was 900 on the TOEIC." (부자연스럽고 틀린 표현)

 

1085. I got a certificate.

-해석: 한 자격증을 받았어요.

-분석: "나는 자격증을 받았어요." 또는 "나는 증명서를 받았어요." 의미로 사용할 수 있답니다.

 

응용:

After completing the course, I got a certificate.
(
그 과정을 마친 후 자격증을 받았어요.)

 

A: Did you complete the training? 훈련 완료했어?
B: Yes, I got a certificate.
, 자격증을 받았어요.

Certificate 어원은? “확신함을 만들다입니다. 이 자격증을 가진 사람이 그런 일정한 시험을 통과하여 그 실력을 갖추고 있다고 확실히 만들어주는 증서이죠. 그런 관점을 가지고 만든 단어이랍니다.

 

어원:
certificate
는 라틴어 "certificare"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certus" (확실한, 확정된) + "facere" (만들다, 수행하다)가 결합된 형태입니다.

, "certificare" "확실하게 만들다" 또는 "확인하다"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이후, 중세 라틴어 "certificatum" (확인된 것, 서류)을 거쳐 프랑스어 "certificat"을 통해 영어로 유입되었습니다.

 

어원별 구성:

certus (확실한, 확정된) → certainty (확실성), ascertain (확인하다) 등의 단어와 연결된답니다.

facere (만들다-make, 수행하다) → factory (공장), manufacture (제조하다), facilitate (용이하게 하다) 등의 단어와 연결됩니다.

 

현대적 의미:
현재 certificate는 공식적인 문서, 증명서, 자격증 등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birth certificate (출생 증명서)

training certificate (훈련 수료증)

certificate of completion (완료 증명서)

"certificate"는 무언가가 공식적으로 인정되었음을 증명하는 문서라는 개념에서 발전한 단어입니다.

 

 

1086. I prepared for the exam.

-해석: 그 시험을 치를 준비를 했어요.

-분석: “prepare for + 명사"~을 준비하다"라는 의미랍니다.

 

응용:

She is preparing for the interview. (그 여자는 면접을 준비하고 있어요.)

We need to prepare for the trip. (우리는 여행을 준비해야 해.)

 

"prepare for"는 시험, 면접, 행사 등 미래에 있을 특정한 일을 준비할 때 사용됩니다.

그러나,

"I prepared the exam."이라고 하면 "내가 시험을 직접 출제했다"는 의미가 되어 틀립니다! 물론 선생님 입장에서는 “I prepared the exam.” 해도 되겠죠.

 

“prepare + 목적어 → "~을 준비하다"

 

I prepared dinner. (저녁을 준비했어요.)

She prepared the report. (그 여자는 보고서를 준비했어요.)

 

“prepare + 목적어 + for + 대상 → "~ (누구를 위해) 준비하다"

 

I prepared the exam for the students. (학생들을 위해 시험을 준비했어요.)

She prepared a presentation for the meeting. (그 여자는 회의를 위해 발표 자료를 준비했어요.)

 

그래서, "I prepared the exam for the students."시험을 직접 출제하거나 준비했다는 의미입니다.

 

같은 맥락으로,

"I studied for the test." vs. "I studied the test." 차이점?

 

"I studied for the test." →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공부했다.

 

“study for + 시험시험 대비 공부

 

: I studied for the math test all night. (밤새 수학 시험을 대비해 공부했어요.)

시험을 보기 전에 시험 범위나 관련 내용을 공부하는 것을 의미함.

 

"I studied the test." → 시험지를 직접 연구했다.

 

“study + 시험시험지를 직접 분석하는 느낌

 

: I studied the test carefully to find any mistakes. (시험지를 꼼꼼히 분석해서 실수를 찾았어요.)

시험 자체를 검토하거나, 출제된 문제를 분석하는 상황에서 사용됨.

 

결론적으로,

"study for the test" → 시험을 준비하는 공부

"study the test" → 시험지를 직접 연구하거나 검토

 

일반적으로 시험을 치르는 학생의 입장에서 시험을 준비한다는 의미에서는 "study for the test"가 맞답니다.

 

그래서, I studied for the TOEIC. (토익을 공부했어요. – 토익 시험을 위해 공부를 했다는 의미죠.)

 

참고로,

TOEIC, SAT, IELTS 등에 항상 "the"가 붙는 이유

TOEIC, SAT, IELTS 같은 시험 이름 앞에는 보통 "the"가 붙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시험이 특정한 것이기 때문

"the"는 보통 특정한 대상을 가리킬 때 사용됩니다.
TOEIC, SAT, IELTS
같은 시험은 특정한 형식과 규칙을 가진 고유한 시험이므로 "the TOEIC," "the SAT," "the IELTS"라고 말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예문:

I’m taking the TOEIC next month. (다음 달에 TOEIC 시험을 봐요.)

She scored high on the SAT. (그 애는 SAT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어요.)

 

약어(acronym) 앞에 "the"가 붙는 경우

TOEIC(Test of English for International Communication), SAT(Scholastic Assessment Test), IELTS(International English Language Testing System)처럼 시험의 정식 명칭을 축약한 약어(Acronym)의 경우, 원래 문장에서 "the"가 포함되는 경우가 많아 그대로 유지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The International English Language Testing System → The IELTS

The Scholastic Assessment Test → The SAT

The Test of English for International Communication → The TOEIC

 

약어의 원래 의미를 풀어보면 "the"가 붙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관습적으로 "the"를 붙여 사용해 온 경우

영어권에서는 TOEIC, SAT, IELTS 같은 시험 이름을 말할 때 오랫동안 "the"를 붙여 사용하는 것이 관습적이었습니다.
그래서 원어민들도 자연스럽게 "the"를 붙여 말하고 쓰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the"를 붙이지 않는 경우도 있음

어떤 시험은 "the" 없이 사용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I’m taking TOEFL next week. ("the"
없이 사용 가능)
I’m taking the TOEFL next week. ("the"
를 붙여도 가능)

TOEFL(Test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the" 없이도 자연스럽게 사용되는 경우가 많지만, TOEIC, SAT, IELTS는 거의 항상 "the"가 붙습니다.

 

일반적인 규칙:
the TOEIC, the SAT, the IELTS (
대부분 "the"를 붙여 사용)
TOEFL / the TOEFL (
둘 다 가능)
I’m taking an English test. (
막연한 시험은 "the" 없이)

 

결론적으로,

TOEIC, SAT, IELTS는 특정한 시험이므로 "the"를 붙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약어의 원래 풀네임에도 "the"가 포함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유지된다.

관습적으로 영어권에서 "the"를 붙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TOEFL 같은 일부 시험은 "the" 없이도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I studied for the TOEIC."처럼 "the"를 붙여야 한답니다.

 


1087. I put him off when he was trying to concentrate.

-해석: 그 애가 집중하려고 할 때 방해했어요.

-분석: "I put him off when he was trying to concentrate."영국식 영어에서 자주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put off"는 주로 "방해하다", "흥미를 잃게 하다", "미루다" 등 여러 가지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 문장에서 사용된 "put off""방해하다" 또는 "집중을 흐트러뜨리다"는 뜻입니다.

 

영국식 vs 미국식

영국식에서는 "put off""방해하다" 또는 "집중을 흐트러뜨리다"의 의미로 자주 사용됩니다.

 

미국식 영어에서는 이 의미를 표현할 때 "distract""interrupt" 같은 단어를 더 자주 사용합니다.

 

예시:

영국식: "I put him off when he was trying to concentrate."
→ "
그 애가 집중하려 할 때 내가 방해했다."

미국식: "I distracted him when he was trying to concentrate."
→ "
그 애가 집중하려 할 때 내가 방해했다."

따라서 "put off"는 영국식 영어에서 더 자연스럽고, 미국식 영어에서는 "distract" "interrupt"가 더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1088. I studied all night.

-해석: 밤새워 공부했어요.

-분석: “all night” "밤새 내내" (밤 전체를 의미)를 의미한답니다.

 

비슷한 표현:

I stayed up all night studying.
(
밤새 공부하느라 잠을 안 잤어요.)
(
밤을 새웠다는 뉘앙스가 강조됨)

 

I pulled an all-nighter to study.
(
공부하느라 밤을 새웠어요.)
("pull an all-nighter"
는 밤을 새워 공부하거나 일을 했다는 뜻)

 

"pull": 여기서 "pull" "어떤 행동을 하다"라는 의미로 쓰입니다. 특히 "pull an all-nighter" "밤을 새우다"라는 구어체 표현입니다.

"pull"은 어떤 활동을 의도적으로 하거나 완료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an all-nighter"

"all-nighter": 밤을 새워서 어떤 활동을 끝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로 공부, 작업, 프로젝트 등이 밤새 계속 이루어질 때 쓰입니다.

"all": 전체적인 시간()을 뜻합니다.

"nighter": "night"에서 유래된 표현으로, 밤을 새우는 행위 자체를 나타냅니다.

 

I was up all night studying.
(
밤새 공부하고 있었어요.)
(
밤새 깨어 있었다는 뉘앙스)

 

 

 

 

 

 

Thank you for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