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1010-1026) 눈뜨고 자다 영어로(to sleep with my eyes open)

by 영어 낚는 어부 2025. 2. 13.
반응형

 

(1010-1026) 눈뜨고 자다 영어로(to sleep with my eyes open).mp3
3.44MB

 
 

1010. I slept with my eyes open.
- 해석: 눈뜨고 잤어요.
- 분석: 실제로 눈을 뜬 채로 잔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자연스러운 상황이 아니므로, 보통은 비유적인 의미로 사용된답니다. “with 명사(my eyes)+형용사(open)”의 문장구조를 가지고 있고, 한국문법책에서 흔히 찾을 수 있는 “부대상황-상황을 부연설명”을 표현하는 방식이랍니다.
 
예를 들어:
He looked like he was sleeping with his eyes open. (그 사람은 마치 눈을 뜬 채로 자는 것처럼 보였어요.)
 
I was so exhausted that I felt like I was sleeping with my eyes open. (너무 피곤해서 눈 뜬 채로 자는 기분이었어요.)
 
만약 의학적으로 실제로 눈을 뜨고 자는 것을 의미하고 싶다면, "I sleep with my eyes open. (난 눈뜨고 자)"처럼 일반적 습관을 나타내는 현재형으로 말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습니다.
 
좀 더 나아가서, “시작부터 끝날 때까지 내내 잤어요.”라고 하면,
 
"I slept through the whole thing." (처음부터 끝까지 내내 잤어요.)
"I slept the whole time." (내내 잤어요.)
"I slept through the entire class/movie/meeting." (수업/영화/회의 내내 잤어요.)
  

1011. I passed a note secretly.
- 해석: 몰래 쪽지 하나를 건 냈어요.
- 분석: "secretly"의 위치를 동사 앞으로 이동시켜 "I secretly passed a note." 라고 해도 된답니다. 일반적으로 부사는 동사 앞에 두는 것이 더 흔한 표현 방식이기는 합니다.
 
응용:
 
1. 학교에서 친구에게 중요한 정보를 전달할 때
"During class, I passed a note secretly to my friend, telling her about the surprise test."
(수업 중, 저는 몰래 친구에게 서프라이즈 시험에 대해 말하는 쪽지를 전달했어요.)
 
2. 조용히 속닥속닥 대화하는 상황
"At the party, I passed a note secretly to my friend, asking if she was ready to leave."
(파티에서 저는 몰래 친구에게 그 애가 떠날 준비가 되었는지 묻는 쪽지를 전달했다.
 
3. 시험 중 부정행위
"I passed a note secretly during the exam to help my friend with the answers."
(시험 중, 저는 내 친구에게 답을 도와주기 위해 몰래 쪽지를 전달했어요.)
 
4. 고백하거나 비밀스러운 감정을 전할 때
"At the school dance, I passed a note secretly to her, telling her I liked her."
(학교 춤 파티에서 난 몰래 그 애에게 내가 좋아한다고 쪽지를 줬어.)
 

1012. I sat back in a chair.
- 해석: 한 의자에 깊숙이 앉았어요.
- 분석: "sit back"은 “등을 기대고 편안하게 앉다”는 뜻이므로,"나는 의자에 등을 기대고 앉았다."라고 해석해도 된답니다.
"I sat back in the chair." → 특정한 의자를 의미할 경우 "the"를 사용하는 것이 자연스럽답니다.
"I leaned back in my chair." → "lean back"을 사용하면 등을 기대는 동작이 더 강조됩니다.
 
응용
1. 피곤하거나 휴식이 필요할 때.
"After a long day at work, I sat back in a chair and closed my eyes to relax."
(힘든 하루를 보낸 후, 저는 한 의자에 몸을 기댄 채 앉아서 눈을 감고 쉬었어요.)
 
2. 어떤 상황을 지켜볼 때
"As the two of them argued, I just sat back in a chair and watched the drama unfold."
(그들이 논쟁을 벌일 때, 저는 한 의자에 앉아서 그 드라마가 펼쳐지는 걸 지켜보았어요.)
 
3. 편안한 환경에서 독서를 할 때
"I sat back in a chair with a good book in my hands, enjoying the peaceful afternoon."
(저는 좋은 책을 손에 들고 한 의자에 몸을 기댄 채 앉아 평화로운 오후를 즐겼어요.)
 
4. 긴장된 상황에서 여유를 찾는 경우
"Before the interview started, I sat back in a chair and took a deep breath to calm my nerves."
(면접이 시작되기 전에 저는 한 의자에 앉아서 긴장을 풀기 위해 깊게 숨을 들이쉬었어요.)
 
5. 아이들과 함께 놀 때
"While the kids played outside, I sat back in a chair on the porch and enjoyed the view."
(아이들이 밖에서 놀고 있을 때, 저는 포치에 앉아서 경치를 즐겼어요.)
 
6. 자신의 생각에 잠길 때
"I sat back in a chair, letting my mind wander as I reflected on the past year."
(저는 의자에 앉아 지난 한 해를 되돌아보며 마음을 편히 두고 생각에 잠겼어요.)
 

1013. I sat on the edge of a chair.
- 해석: 한 의자에 걸쳐 앉았어요.
- 분석: "sit on the edge of ~"는 "~의 가장자리에 앉다"라는 뜻입니다.
"I sat on the edge of the chair." → 특정한 의자를 가리킬 경우 "the"를 사용하는 것이 자연스럽답니다.
 
"I perched on the edge of the chair." → "perch"를 사용하면 조심스럽게 걸터앉는 느낌이 강조됩니다. Perch는 “(새의) 횃대, (사람이)앉다, 자리 잡다”라는 의미입니다. 원래 프랑스어와 라틴어에서 “새가 앉는 막대기, 장대, 기둥”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지만, 현대에서는 “높은 곳에 자리 잡다, 걸터앉다”의 의미로 확장된 것이랍니다.
 

1014. I quoted an old saying.
- 해석: 속담을 하나 인용해서 말했어요.
- 분석: "quote"는 “인용하다”라는 의미이고, "an old saying"은 “오래된 속담, 격언”이랍니다.
 
“quote”의 어원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어원:
라틴어 quotare → "장부에 숫자를 매기다, 할당하다"
여기서 quot는 "얼마나 많은(how many)"을 의미
 
이 단어가 사용될 당시에는 양이나 소와 같은 가축의 숫자를 기록하는 일이 매우 중요했으며, 이는 경제적, 사회적 활동에 있어서 필수적이었습니다. 이와 같은 실용적인 필요가 언어에 반영되어, 숫자를 매기거나 할당하는 개념이 확립된 것입니다."
 
중세 라틴어 quotare → "책에서 특정 구절을 표시하다"
 
이탈리아어 quotare → "참조하다, 인용하다"
 
중세 프랑스어 quoter → "책에서 인용하다"
 
영어(14세기 후반) quote → "책에서 특정 부분을 따옴표로 표시하여 인용하다"
 
2. 의미 발전:
원래는 책이나 문서에서 특정 부분을 표시하다는 의미였음.
이후 누군가의 말을 직접 인용하다는 의미로 확장됨.
현대에는 가격을 매기다(quote a price)라는 의미도 추가됨.
 
3. 현대 영어에서의 사용:
 
동사(quote): "인용하다, 말을 따오다"
"She quoted Shakespeare in her speech." (그 여자는 연설에서 셰익스피어를 인용했어요.)
 
명사(quote): "인용문, 견적”
"That's a famous quote from the movie." (그건 영화에서 유명한 인용구야.)
"I got a quote for car insurance." (자동차 보험 견적을 받았어요.)
 
즉, quote는 장부에 숫자를 매기는 것에서 출발하여, 책에서 특정 구절을 표시하는 것으로 확장하여, “인용 및 견적”의 개념으로 발전한 단어입니다.
 
Quote 와 같은 어원을 가져 주워 갈 수 있는 단어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1. Quota(쿼터)
뜻: 할당량, 몫
예문: Each country has a quota on how many goods it can export.
(각 나라는 수출할 수 있는 상품의 할당량이 있다.)
 
2. Quotient(쿼션트 – 감성지수 EQ 나 지능지수IQ 아시죠? Emotional Quotient/Intelligence Quotient 이랍니다.)
뜻: 몫 (수학 용어), 비율
예문: In 10 ÷ 2, the quotient is 5.
(10 나누기 2에서 몫은 5이다.)
 
3. Quotation
뜻: 인용, 견적서
예문: She included a famous quotation in her essay.
(그 여자는 자신의 에세이에 유명한 인용구를 포함했어요.)
I requested a quotation from three different companies.
(세 개의 다른 회사에서 견적서를 요청했어요.)
 
참고: “견적”이라는 의미에서 구두로 견적을 받을 때는 "quote"를 더 자주 사용하고, 공식적인 서류로 된 견적서는 "quotation"을 더 많이 사용해요!
“quote”는 “동사/명사”가 다 사용하지만, “quotation”은 “명사”로만!
 
4. Quotation Marks (" ")
뜻: 따옴표
예문: Use quotation marks when citing someone’s words.
(누군가의 말을 인용할 때는 따옴표를 사용하세요.)
 
old saying, proverb, adage, maxim” 이 표현들은 기본적으로 모두 지혜나 교훈을 담은 짧은 문장을 뜻하지만, 미묘한 차이가 있습니다.
 
1. Old Saying(오래된 말, 속담)
의미: 오래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말. 속담이나 격언이 될 수 있지만, 종종 일상적으로 쓰이는 구어적인 표현을 포함할 수도 있습니다.
특징: 매우 일반적이고 덜 공식적인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때로는 "속담"이라고만 하면 고유한 의미가 있지만, 구어체에서 흔히 사용됩니다.
 
예시:
"An old saying goes, 'What goes around comes around.'"
(오래된 속담에 '자기가 한 대로 돌아온다'고 한다.)
참고: “go” 는 여기서 “속담이나 이야기 등이 이라고 하다, 문구 등이 이라고 되어 있다.”의 의미랍니다. 직역하면, “옛말이 이르기를 가는 것은 돌아온다”입니다.
 
"There is an old saying, 'Be careful when drinking a sip of soda in front of kids.'" (“애들 앞에서는 숭늉도 못 마신다.”는 옛말이 있어요.)
참고: 숭늉 대신에 soda 라는 “탄산수”를 사용. 말을 그대로 옮기는 것이 아닌 의미를 옮긴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2. Proverb(속담, 격언 – 문어체)
의미: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오랫동안 경험을 통해 얻은 교훈이나 진리를 표현하는 짧고 간결한 말.
특징: 공식적이고 전통적인 의미가 강합니다. "proverb"는 대개 문화나 지역에서 널리 알려진 교육적이고 철학적인 교훈을 담고 있는 말입니다.
 
Pro-(앞에, 앞서)+verbum(말, 단어)은 “앞서 말한 것, 자주 말해지는 표현” – 원래는 “널리 퍼진 말”이라는 뜻이었고, 시간이 지나면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지혜나 교훈을 담은 속담, 격언을 뜻하게 됐어요.
 
예시:
"A stitch in time saves nine." – 적절한(in time) 하나의 바느질(a stitch)가 9 바늘 을 대신한다.
(어떤 일을 미리 하면 더 큰 문제를 피할 수 있다는 속담.)
 
3. Adage(격언, 금언-문어체)
의미: 주로 오랜 시간 동안 널리 사용되며, 보편적인 진리나 원칙을 담고 있는 표현.
특징: "proverb"와 비슷하지만, "adage"는 더 오래된, 더 권위 있는, 또는 문학적인 성격이 강한 경우가 많습니다. 격언이나 속담보다 더 고풍스러운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Adage는 라틴어 "adagium"에서 왔어요.
ad- (향하여, ~쪽으로)
agere (하다, 행하다)
➡ "adagium" = "자주 하는 말" → "격언, 속담"
 
같은 어원의 단어들은 agent(행동하는 자, 대리인), agile(빠르게 움직이는, 민첩한), agenda(해야 할 일들, 의제), act(행동하다) 등이 있답니다.
 
예시:
"An old adage says, 'You can’t judge a book by its cover.'"
(오래된 격언에 '겉모습으로 사람을 판단할 수 없다'고 한다.)
 
4. Maxim(행동 원칙, 좌우명)
의미: 일반적으로 도덕적 원칙이나 행동 지침을 나타내는 짧은 말.
특징: "maxim"은 주로 윤리적이거나 철학적인 교훈을 담고 있는 말로 사용됩니다. 이 단어는 특정한 행동이나 원칙을 강조합니다.
Maxim은 라틴어 "maxima"에서 왔어요.
maximus → "가장 큰, 가장 중요한" (magnus의 최상급)
maxima → "가장 중요한 원칙"
즉, "가장 중요한 말 → 격언"이라는 의미가 되었어요.
 
같은 어원을 가진 단어들?
Maximum (최대, 최고)
Maximize (극대화하다)
Maximal (최대한의, 최고의)
Max (최대, 최고 – 구어체에서 많이 사용됨)
 
예시:
"A maxim to live by is 'Do unto others as you would have them do unto you.'"
(살면서 지켜야 할 원칙은 '자신이 당하고 싶은 대로 남에게 해라'라는 것이다.)
참고: 여기서 unto 는 to 의 옛날식 표현!
 
"Honesty is the best policy." (정직이 최선의 방책이다.)
 
속담 같은 대중적인 표현은 proverb/adage, 윤리적 가르침이 강조되면 maxim, 단순히 오래된 표현이면 old saying이 적절합니다.
 

1015. I quoted him.
- 해석: 그 사람을 인용하여 말했어요.
- 분석: "I quoted him."은 "나는 그 사람을 인용했다." 또는 "나는 그의 말을 인용했다."라는 의미가 됩니다. 여기서 quote 는 동사로 활용하였답니다.
 
문맥에 따라 아래와 같이 바꿀 수 있답니다.
"I quoted what he said." → "나는 그가 한 말을 인용했다." (보다 명확한 표현)
"I quoted his words." → "나는 그의 말을 인용했다."
"I quoted from his book." → "나는 그의 책에서 인용했다."
 
“인용하다”라는 의미로는 “cite”도 있답니다. 하지만, “quote”와는 쓰임이 조금 다르답니다.
"cite" vs. "quote" 차이점
두 단어 모두 어떤 말이나 글을 가져와서 언급하는 것과 관련이 있지만, 사용 방식이 다릅니다.
 
1. "Cite" – 출처를 밝히며 언급하다
출처를 명확하게 밝히면서 참고하거나 인용할 때 사용
책, 논문, 기사, 법률, 연설 등에서 정보를 가져올 때
직접 인용이 아니라 요약(간접 인용)일 수도 있음
예문
She cited several studies in her research paper.
(그 여자는 연구 논문에서 여러 연구를 인용했어요.)
He cited a famous historian to support his argument.
(그 사람은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유명한 역사가를 인용했어요.)
The lawyer cited a legal precedent in his case.
(그 변호사는 판례를 인용했어요.)
 
2. "Quote" – 직접 인용하다
누군가 한 말을 그대로 가져와서 직접 인용할 때 사용
인용부호(“ ”)를 써서 원문 그대로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
대화에서 누군가의 말을 직접 반복할 때도 사용
예문
He quoted Shakespeare: "To be or not to be, that is the question."
(그 사람은 셰익스피어를 인용했어요: "사느냐 죽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She quoted her professor in the essay.
(그 여자는 에세이에서 교수님의 말을 직접 인용했어요.)
"Don't give up," she quoted her mother.
("포기하지 마." 그 여자는 자기 엄마의 말을 인용했어요.)
 
"cite"는 출처를 밝히며 참고하는 것, "quote"는 직접 인용하는 것
"quote"는 인용부호(“ ”)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음
논문에서는 "quote"보다 "cite"를 더 자주 사용 (출처 명시 목적)
 
예를 들어, 논문에서는 "According to Smith (2020)..."처럼 "cite"를 쓰고,
셰익스피어나 유명한 말은 "quote"로 정확히 인용하는 거예요!
 
cite 는 그 내용을 언급하는 것이고, quote 는 말을 그대로 가져다 사용하는 것이랍니다.
  

1016. I handed in a report.
- 해석: 리포트를 하나 제출했어요.
- 분석: "hand in"은 "제출하다"라는 뜻입니다. 공식적인 제출이나 평가를 위한 문맥에서 사용됩니다. 주로 과제, 보고서, 신청서, 사직서 등을 제출할 때 씁니다.
 
 
상황에 따라 아래와 같이 바꿀 수 있답니다.
"I submitted a report." → "submit"을 사용하면 더 공식적인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I turned in a report." → "turn in"도 "hand in"과 비슷하게 제출하다는 뜻입니다.
 
응용:
I handed in my homework.
(숙제를 제출했어요.)
She handed in her resignation.
(그 여잔 사직서를 제출했어요.)
 
We have to hand in the application by Friday.
(우리는 금요일까지 신청서를 제출해야 한다.)
 
비슷한 표현과 차이점?
hand in → (과제, 보고서, 공식 문서를) 제출하다. 영국식 영어(British English)에서 더 많이 사용됩니다. 하지만 미국식 영어(American English)에서도 이해는 됩니다.
turn in → (과제 등을 제출하다) (미국식 영어에서 더 흔함)
submit → (더 격식 있는 표현) "제출하다"(영국, 미국 모두 사용)
 
선생님이나 더 나아가 직장의 상사에게 제출 했다고 하면?
I handed in a report to my teacher.
I handed in a repot to my boss.
 

1017. I turned in a report.
- 해석: 리포트를 하나 제출 했어요.
- 분석: "turn in"은 "제출하다"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위에서 설명 드렸듯이 미국에서 더 흔한 표현이랍니다.
 
응용:
I turned in my assignment before the deadline.
(마감 기한 전에 과제를 제출했어요.)
She turned in her resignation letter last week.
(그 여자는 지난주에 사직서를 제출했어요.)
Did you turn in your tax forms?
(세금 신고서를 제출했나요?)
 
 

1018. I got back my report.
- 해석: 제 리포트를 돌려 받았어요.
- 분석: "get back"은 "되찾다" 또는 "돌아오다"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나는 내 보고서(리포트)를 되찾았다."라는 의미가 됩니다.
 
상황에 따라 아래와 같이 변형시킬 수 있답니다.
"I received my report back." → "received"를 사용하면 더 공식적이고 정중한 표현이 됩니다.
"I got my report back." → "my report"을 get 과 back 사이에 넣어 사용하면 일상적인 대화에서 더 자연스럽습니다. My report 를 it 이라는 대명사를 말을 바꿀 때, I got it back.(O)은 되지만, I got back it. (X)은 안된답니다.
 
이 표현은 시험지나 과제 등의 결과물을 받은 상황에서 자주 쓰입니다.
 
응용:
I got back my report from the teacher.
(선생님에게서 보고서를 돌려받았어요.)
 
She got back her lost phone.
(그 여자는 잃어버린 휴대폰을 되찾았어요.)
 
He finally got back his money.
(걔는 마침내 돈을 돌려받았어요.)
 

1019. I got an F.
- 해석: F를 하나 받았어요.
- 분석: "F"는 /ɛf/로 “에프” 발음되어, 모음 소리로 간주되어, 모음 앞에 오는 an 을 사용한답니다.
 
상황에 따라 아래와 같이 말해도 된답니다.
"I received an F." → "receive"를 사용하면 조금 더 공식적이고 정중한 표현이 됩니다.
"I failed the test." → 시험에서 F학점을 받았다면, "failed"를 사용해 "시험에 실패했다"는 표현을 쓸 수도 있습니다.
“I flunked the exam.” → (시험을 망쳤다, 낙제했다.) (비격식)
 
응용:
I got an F on my math test.
(수학 시험에서 F 받았어.)
 
She was so disappointed when she got an F in history.
(그 여잔 역사 과목에서 F를 받아서 엄청 실망했어요.)
 
I can't believe I got an F even after studying all night.
(밤새 공부했는데도 F를 받았다니 믿을 수가 없어.)
 
If I get another F, I might have to retake the class.
(또 F 받으면 그 과목 다시 들어야 할지도 몰라.)
 
 
"F"의 의미
미국식 학점 시스템에서 A, B, C, D, F가 있으며, F는 Fail(낙제)을 의미합니다.
 
미국식 학점 시스템에서 A, B, C, D, F는 각기 다른 성취도를 나타내며, 주로 학점(Grade)으로 표현됩니다. 각 학점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1. A (Excellent)
의미: 매우 뛰어난 성적을 얻었을 때 부여됩니다.
성적: 90% 이상 (일반적으로 90~100%)
해석: 우수한 성취, 최고의 수준
 
2. B (Good)
의미: 좋은 성적을 얻었을 때 부여됩니다.
성적: 80% 이상 90% 미만
해석: 양호한 성취, 좋은 수준
 
3. C (Average)
의미: 평균적인 성적을 얻었을 때 부여됩니다.
성적: 70% 이상 80% 미만
해석: 중간 수준, 통상적인 성취
 
4. D (Below Average, Passing)
의미: 통과는 했지만, 기준을 겨우 넘은 성적을 얻었을 때 부여됩니다.
성적: 60% 이상 70% 미만
해석: 평균 이하, 겨우 합격
 
5. F (Fail)
의미: 과목을 통과하지 못한 성적을 부여받을 때 사용됩니다.
성적: 60% 미만
해석: 낙제, 불합격
정리
A는 뛰어난 성적, B는 좋은 성적, C는 평균적인 성적, D는 겨우 통과한 성적을 의미하며, F는 낙제한 성적을 의미합니다.
 

1020. I was a cut above the other students.
- 해석: 다른 학생들보다 뛰어났어요.
- 분석: "a cut above"는 "다른 사람들보다 뛰어난" 또는 "한 단계 위인"이라는 의미의 표현입니다. 따라서 "나는 다른 학생들보다 뛰어났다."라는 뜻입니다.
 
상황에 따라 아래와 같이 사용해도 된답니다.
"I was better than the other students." → "better than"을 사용하면 더 간단하고 직설적인 표현이 됩니다.
"I was superior to the other students." → "superior to"는 더 공식적이고 강한 느낌의 표현입니다.
"a cut above"는 비유적인 표현으로, 상대방보다 더 뛰어난 사람을 묘사할 때 자연스럽게 사용됩니다.
 
응용:
She was a cut above the rest of the competitors.
(그 여자는 나머지 경쟁자들보다 훨씬 뛰어났어요.)
His performance was a cut above the others.
(그 사람의 성과는 다른 사람들보다 한 단계 위였어요.)
The restaurant is a cut above the others in this area.
(그 레스토랑은 이 지역 다른 곳들보다 훨씬 뛰어나요.)
 
비슷한 표현은?
a step above → "한 단계 위"
Her skills are a step above everyone else's in the class.
(그 여자의 기술은 반에서 다른 모든 사람들보다 한 단계 위야.)
This restaurant is a step above the one we went to last week.
(이 식당은 우리가 지난주에 갔던 식당보다 한 단계 위네.)
 
head and shoulders above → "머리와 어깨가 다른 사람들보다 뛰어나다"
His performance in the competition was head and shoulders above the rest.
(그 사람의 대회에서의 성과는 나머지 사람들보다 월등히 뛰어났어요.)
She’s head and shoulders above the other candidates for the job.
(그 여자는 그 직위의 다른 후보자들보다 훨씬 뛰어나요.)
 
그렇다면 "한 수준 낮다"를 표현하는 데는 다음과 같은 표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a cut below"
의미: "한 단계 아래" 또는 "다른 사람들보다 부족한"을 의미합니다.
예: His performance was a cut below the rest of the team.
(그 사람의 성과는 팀의 나머지 선수들보다 한 수준 낮았어요.)
 
"a step behind"
의미: "뒤처진", "한 발 늦은"을 의미합니다.
예: She is a step behind her colleagues in terms of experience.
(그 여자는 경험 면에서 동료들보다 한 단계 뒤처져 있어요.)
두 표현 모두 "한 수준 낮다" 또는 "뒤처지다"의 의미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a cut below"는 더 직접적이고 객관적인 차이를 강조하는 반면, "a step behind"는 상대적으로 시간적 또는 발전 정도의 차이를 더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한가지 표현을 더 첨부한다면,
“cutting edge”최첨단 기술, 가장 혁신적인 기술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답니다. 이 표현은 일반적으로 최신 기술이나 가장 발전된 기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됩니다.
"cutting edge"에서 "cutting"은 "자르다"라는 의미지만, 여기서 "cutting edge"는 "칼날의 가장 날카로운 부분"을 비유적으로 사용한 것입니다.
 
예시 문장
The company is working on cutting-edge technology in artificial intelligence.
→ 이 회사는 인공지능 분야에서 최첨단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She is known for her cutting-edge research in medicine.
→ 그 여자는 의학 분야에서 가장 혁신적인 연구로 유명합니다.
 

1020. I got hands-on experience.
- 해석: 실습을 했어요.
- 분석: “hands-on experience"는 "직접적인 경험" 또는 "실습 경험"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나는 직접적인 경험을 얻었다." 또는 "나는 실습 경험을 쌓았다."라는 의미가 됩니다. "hands-on experience"는 특히 직업 훈련이나 실제 작업을 통해 쌓은 경험을 강조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상황에 따라 아래와 같이 해도 된답니다.
"I gained hands-on experience." → "gained"를 사용하면 "얻다"보다는 "경험을 쌓았다"는 뉘앙스를 줄 수 있습니다.
"I got practical experience." → "practical experience"는 "실용적인 경험"을 의미하는 표현으로, 비슷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experience"는 경험이라는 의미로 사용할 때 불가산 명사로 쓰입니다. 예를 들어, "I gained hands-on experience."에서처럼, "경험"은 셀 수 없기 때문에 "hands-on experience"는 "직접적인 경험" 또는 "실습 경험"으로 해석됩니다.
 
그럼 가산 명사로 사용될 때?
"experience"는 특정한 경험을 의미할 때 가산 명사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I had many interesting experiences during my trip."
여기서 "experiences"는 여러 개의 특정 경험을 나타내므로 가산 명사로 쓰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experience"는 불가산 명사로 사용됩니다.
 
“그 분야에서 경험이 많아요.”라고 하면?
I have a lot of experience in this area.
I have a lot of experience in the field.
 
응용:
I got hands-on experience during my internship.
(저는 인턴십 동안 실습 경험을 얻었어요.)
The project gave me valuable hands-on experience.
(그 프로젝트는 저에게 귀중한 실습 경험을 제공했어요.)
She learned a lot through hands-on experience.
(그 여자는 실습 경험을 통해 많은 것을 배웠어요.)
 
비슷한 표현
practical experience → 실용적인 경험
real-world experience → 실제 세계에서의 경험
on-the-job training → 직장 내 실습 훈련 – 보통 OJT 라고 하죠.
 

1021. I received practical training.
- 해석: 실습을 했어요.
- 분석: “practical training"은 "실습 훈련" 또는 "실용적인 훈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나는 실습 훈련을 받았다."라는 뜻입니다.
 
상황에 따라 아래와 같이 사용해도 된답니다.
 
"I received hands-on training." → "hands-on training"은 "직접적인 훈련" 또는 "실습 훈련"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I got practical training." → "got"을 사용하면 조금 더 일상적인 표현이 됩니다.
 
"practical training"은 직업 교육이나 특정 기술을 배우는 과정에서 자주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응용:
I received practical training during my internship.
(인턴십 동안 실습 훈련을 받았어요.)
The program offer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training.
➡ (그 프로그램은 이론적인 훈련과 실용적인 훈련을 모두 제공해요.)
He received practical training on how to operate the machines.
(그 사람은 기계를 작동하는 방법에 대한 실습 훈련을 받았어요.)
 
참고로, 직업 훈련은 vocational training!
 
그럼 vacation 과 혼돈?
 
Vocation(직업, 천직, 사명)과 vocational(직업의, 직업 교육의)은 voice(목소리)와 연관이 있습니다.
중세 시대 사람들은 직업을 신의 소명(calling)으로 여겼고, "vocational"과 "voice"는 어원적으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중세 사람들은 직업을 신으로부터 부여 받은 소명으로 생각했습니다. 예를 들어, 수도사나 사제는 신의 부름에 따라 그 직업을 수행한다고 여겼죠.
이 시기에는 사람들이 자신의 직업적 역할을 신의 뜻에 따라 정해진 소명(calling)이라고 믿었습니다.
Voice와 Vocational:
"Voice"는 "소리" 또는 "목소리"**를 의미하지만, "vocare"에서 나왔기 때문에 "부름"이나 "소명"을 뜻하기도 합니다.
"Vocational"도 "부름"을 기반으로 하여, "직업적 소명"이라는 의미로 발전했습니다.
 
그럼 vacation 과 혼돈될 일 없겠죠?
 
"Vacation"의 어원은 라틴어 "vacatio"에서 유래합니다.
"Vacatio"는 "비어 있음, 휴식, 빈 상태"를 의미했으며, 이는 "vacare"라는 동사에서 파생됩니다.
"Vacare"는 "비다, 비어 있다" 또는 "자유롭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라틴어에서 "vacatio"는 "휴식", "휴가", "자유 시간"의 의미로 발전했고, 영어로 넘어오면서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vacation"이라는 단어가 형성되었습니다.
초기에는 "휴가"뿐만 아니라 "일에서 벗어나는 시간"이라는 넓은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점차 휴식과 여행의 의미로 좁혀졌습니다.
같은 어근의 단어들은?
진공 청소기(Vacuum cleaner) 아시죠? 이것도 “비우다”이니 va-를 사용하는 것이죠.
 
빈 방 없어요? No vacancy!
 
어려운 단어들도 눈으로만 한번 익혀 보세요.
 
1. Vacant
의미: 비어 있는, 사람이 없는
예: "The room is vacant." (그 방은 비어 있다.)
 
2. Vacuous
의미: 빈, 텅 빈, 공허한
예: "His comments were vacuous." (그의 말은 공허했다.)
 
3. Vacuum
의미: 진공, 공백, 아무것도 없는 상태
예: "The room was a vacuum of sound." (그 방은 소리가 없는 공백 상태였다.)
 
4. Evacuate
의미: 비우다, 대피시키다
예: "We need to evacuate the building." (우리는 건물을 비워야 한다.)
 
5. Vacate
의미: 떠나다, 비우다
예: "They had to vacate the premises." (그들은 그 장소를 떠나야 했다.)
 
이들 모두 "vacare"에서 유래하여 비어 있음이나 빈 상태와 관련된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1022. I handed out printed material.
- 해석: 프린트 물을 나누어 줬어요.
- 분석: "hand out"은 "나눠주다" 또는 "배포하다"라는 뜻입니다.
"printed material"은 "인쇄된 자료" 또는 "배포용 인쇄물"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나는 인쇄된 자료(프린트 물)를 나눠주었다."라는 뜻입니다.
 
상황에 따라 아래와 같이 표현해도 된답니다.
"I distributed printed materials." → "distribute"는 "배포하다"는 의미로 조금 더 공식적이고 격식 있는 표현입니다.
 
"I handed out brochures." → "brochures"는 "소책자"를 의미하며, 특정한 자료를 언급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They gave out free samples at the store.”
(그들은 가게에서 무료 샘플을 나누어 주었다.) → ”give out” 는 “나누어 주다”라는 표현으로 좀 더 구어적인 표현하고 있습니다.
 
응용:
I handed out flyers at the event.
(저는 행사에서 전단지를 나눠줬어요.)
 
She handed out the invitations to all the guests.
(그 여자는 모든 손님에게 초대장을 나눠줬어요.)
 
They handed out free samples at the store.
(그 사람들은 가게에서 무료 샘플을 나눠줬어요.)
 
"Material"은 대부분 불가산 명사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상황에 따라 가산 명사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1. 불가산 명사(셀 수 없는 명사)로 사용되는 경우:
"material"은 "재료"나 "자원", "자료" 등의 일반적인 의미로 사용할 때 불가산 명사로 쓰입니다.
예: "This material is important." (이 자료는 중요해요.)
예: "We need more material for the project." (우리는 프로젝트를 위한 재료가 더 필요해.)
 
2. 가산 명사(셀 수 있는 명사)로 사용되는 경우:
"material"은 "특정한 자료"나 "아이템"을 말할 때 가산 명사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 "These materials are necessary for the task." (이 자료들은 그 작업에 필요하다.)
예: "I have three materials for the report." (보고서를 위한 자료가 세 개 있어요.)
 
따라서, “I handed out printed material."에서 "material"은 불가산 명사로 사용되며, "인쇄된 자료"를 의미하는 일반적인 용도로 쓰였습니다. "printed materials"로 복수형을 사용하면 "여러 종류의 자료"를 나타내는 것이 됩니다.
 

1023. I distributed handouts.
- 해석: 프린트 물을 나누어 줬어.
- 분석: "distribute"는 "배포하다" 또는 "나누어주다"라는 의미입니다.
"handouts"는 "배포용 자료"나 "나눠주는 인쇄물"을 의미합니다.
"handouts"는 보통 회의, 수업, 세미나 등에서 나눠주는 인쇄된 자료를 의미합니다. 이 표현은 "material"과 비슷한 의미지만, "handout"은 더 구체적으로 나누어 주는 자료를 지칭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Handouts" = 배포되는 자료, 전단지, 유인물 (주로 사람들이 받을 수 있도록 나누어 주는 작은 자료)
 
응용:
I distributed handouts to the participants.
(전 참가자들에게 유인물을 나누어줬어요.)
 
The teacher distributed handouts at the beginning of the class.
(선생님은 수업 시작 시 유인물을 나누어줬어요.)
 
They distributed handouts with important information.
(그 사람들이 중요한 정보가 담긴 유인물을 나눠줬어요.)
 
유사한 표현?
Give out handouts → "Give out"도 유사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지만, "distribute"는 조금 더 공식적이고 조직적인 느낌을 줍니다.
 
"Handout"은 가산 명사(셀 수 있는 명사)입니다.
"Handout"은 개별적인 자료나 전단지, 유인물을 의미할 때 사용되며, 셈할 수 있는 물건이기 때문에 가산 명사로 취급됩니다.
 
예문
I handed out three handouts during the meeting.
(회의 중에 세 개의 유인물을 나눠줬어요.)
She received several handouts at the conference.
(그 여잔 회의에서 여러 개의 유인물을 받았어요.)
 
Distribute 는 앞에서도 여러분 언급된 단어이지만, 처음 하는 것처럼 다시 보겠습니다. 언어는 무조건 반복! 단어는 반복과 스토리!
 
"Distribute"는 라틴어 "distribuere"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dis-"(분리, 분산)와 "tribuere"(주다, 할당하다)로 나뉩니다. 쉽게 말하면 tribute 는 “give(주다)”이죠.
 
"Dis-": "떨어져, 분리되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Tribuere": "주다, 할당하다"라는 뜻입니다.
 
"Distribuere"는 원래 "나누다, 분배하다"라는 의미였으며, 이 뜻이 발전하여 "distribute"라는 영어 단어로 변형되었습니다.
"Distribute"는 오늘날 "배포하다, 나누어 주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 단어는 각종 영어 시험에 자주 나오는 단어입니다. 특히 대학수학능력에 빠짐없이 나오는 필요 단어죠. 이 단어와 함께 잘 나오는 단어들 더 주워 가실까요!
 
"Tribuere"에서 유래한 단어들은 "주다", "할당하다", "분배하다"라는 의미와 관련이 있습니다. "Tribuere"의 어근을 가진 몇 가지 주요 단어들을 소개합니다.
 
1. Contribute – con(함께)+tribute(주다)
의미: 기여하다, 공헌하다
예: "They contributed money to the charity." (그 사람들은 자선단체에 돈을 기부했어요.) – 주다의 의미가 있으니 전치사 to 을 사용하여 “to the charity”입니다.
 
2. Attribute – at(방향으로 to, toward)+tribute(주다)
의미: ~의 탓으로 돌리다, ~에게 속성으로 귀속시키다
예: “He attributed his success to his hard work.”
(그 사람은 자신의 성공을 자신의 노력 덕분으로 돌렸다.)
 
이 단어는 어원은 “~방향으로 주다”인데, 의미는 “~의 탓으로 돌리다”라서 서로 상관이 있나 하는 의문이 생깁니다.
 
위 문장을 직역하면, “그는 주었다.. 그의 성공을, 그의 노력에게”입니다.
“성공에게 노력을 주었다”라는 말은 “노력은 성공을 받았다”입니다.
“노력하니 성공이 주어졌다.” 여기서 한국으로 의역해 보니 “~의 탓으로 돌리다”라는 의미가 되어있습니다.
 
같은 방식의 표현법이 ascribe 입니다. a(방향으로)+scribe(쓰다)
He ascribed his success to his hard work.
(그 사람은 자신의 성공을 자신의 노력 덕분으로 돌렸다.)
 
이 단어는 어원이 “~방향으로 쓰다”인데, 의미는 왜 “~에 원인을 돌리다”인가?
“노력”에게 “성공”이라는 이름을 써붙여 준다고 생각해 보세요. 흔히 사용하는 말로 “노력이라고 써놓고 성공이라고 읽는다”정도로 생각하시면, 좀더 쉽게 이해가 쉽게 될 것이라고 생각해요.
 
둘 다 “주다 – give”의 의미가 있으니, 방향의 전치사 to 을 사용하여 “to his hard work”가 되어 있는 것이랍니다.
 
3. Retribute – 말 그래도 re(다시) 주는 것이죠.
의미: 보복하다, 응징하다
예: "They sought to retribute the injustice." (그 사람들은 불의를 응징하려 했어요.)
 
4. Tribute
의미: 조세, 헌사, 기념비적인 바침
예: "The statue was a tribute to the fallen heroes." (그 동상은 전사들에게 바쳐진 헌사였다.)
 
이들 단어는 모두 "tribuere"에서 유래하며 "주다", "할당하다", 또는 "귀속시키다"와 관련된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1024. We did presentations in turn.
- 해석: 우리는 돌아가면서 발표를 했어요.
- 분석: "in turn"은 "차례로" 또는 "순서대로"라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차례대로 발표를 했다."라는 뜻입니다.
 
응용:
We did presentations in turn during the meeting.
(우리는 회의 중에 차례대로 발표를 했어요.)
 
Each team member answered the questions in turn.
(각 팀원은 차례대로 질문에 답했어요.)
 
The students took turns speaking in turn.
(학생들은 차례차례 말했어요.)
 
유사한 표현으로는,
"We took turns giving presentations." → "take turns"는 "차례로 하다"라는 표현으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We did presentations one by one." → "one by one"은 "하나씩" 또는 "순차적으로"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in order”라는 표현은 “순서 대로”입니다. “Order”는 “주문”의 의미도 있지만, “질서”의 의미도 있어, “in order”라고 하면, “순서 대로”의 의미가 된답니다.
 
미국의 유명한 법정 드라마 시리즈 “Law & Order(법과 질서)"가 있답니다. 1990년에 첫 방영되었으며, 범죄 사건을 다룬 법률적 및 수사적 내용을 중심으로 진행됩니다. 주로 범죄와 법정 절차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며, 경찰과 검찰이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을 그립답니다.
 

1025. We read one sentence each in turn.
- 해석: 한 문장씩 돌아가면서 읽었어요.
- 분석: "one sentence each"는 "각자 한 문장씩" 읽는다는 의미입니다.
 
다른 표현은?
"We took turns reading one sentence each." → "take turns"를 사용하면 차례로 한다는 의미를 조금 더 자연스럽게 강조할 수 있습니다.
 
"We read one sentence at a time in turn." → "at a time"을 사용하면 각 문장을 차례대로 읽었다는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1026. We made presentations in turn.
- 해석: 우리는 돌아가면서 발표를 했어요.
- 분석: "made presentations"는 "발표를 했다"라는 의미입니다.
 
응용:
We made presentations in turn during the meeting.
(우리는 회의 중에 차례대로 발표를 했어요.)
 
Each team member answered the questions in turn.
(각 팀원은 차례대로 질문에 답했어요.)
 
 
Thank you for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