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61. I got a doctorate.
- 해석: 박사학위를 받았어요.
- 분석: "doctorate"는 박사 학위를 의미하며, 학문 분야의 가장 높은 학위를 가리킵니다.
이 문장에서 "I earned a doctorate."라고 하면 조금 더 공식적이고 학문적인 뉘앙스를 줄 수 있습니다.
응용:
I worked hard for years, and finally, I got a doctorate in physics.
(몇 년 동안 열심히 노력한 끝에, 물리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어요.)
After completing my thesis, I got a doctorate in psychology.
(논문을 완성한 후 심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어요.)
Doctor 는 의사 아닌가? 네. 의사가 맞습니다. Doctorate 는 왜 박사학위?
Doctor 의 어원부터 살펴 보겠습니다.
"Doctor"의 어원은 라틴어 "docere"에서 유래합니다. "Docere"는 "가르치다"라는 의미의 동사로, 이 단어는 고대 라틴어에서부터 "to teach"(가르치다)라는 개념을 포함하고 있었습니다.
라틴어 원어:
"Docere" (가르치다): 라틴어에서 "docere"는 "가르치다", "알리다" 또는 "교육하다"라는 의미의 동사입니다. 이 동사는 지식이나 정보를 전달하는 행위와 관련이 있습니다.
"Doctor": "docere"에서 파생된 "doctor"는 원래 "가르치는 사람" 또는 "학자"를 의미했습니다. 즉, 이 단어는 지식을 가르치거나 전달하는 사람을 지칭하는 명사로 사용되었습니다.
중세 라틴어:
"Doctor"는 중세 라틴어에서 "학문적으로 인정받은 가르치는 사람"을 의미하며, 특히 법학, 의학, 신학 분야에서 권위 있는 사람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고대 로마에서는 "doctor"라는 용어가 "지도자"나 "가르치는 사람"을 의미했지만, 중세 이후에는 교육이나 학문 분야에서 고급 학위를 가진 사람을 의미하게 되었습니다.
의미 발전:
처음에는 "doctor"가 단순히 "가르치는 사람" 또는 "학자"를 의미했지만, 점차 "고급 학문을 수행하는 전문가" 또는 "박사"를 의미하는 단어로 확장되었습니다.
현대에는 "doctor"가 "의사"를 의미하는 경우도 있지만, 원래의 의미인 "학자"나 "고급 학위 소지자"라는 의미를 여전히 가지고 있습니다.
그럼 doctorate 은?
Doctorate"의 형성:
"-ate" 접미사: "-ate"는 명사나 동사를 형성할 때 사용되는 접미사로, 이 경우 "doctor"에 접미사가 붙어 "doctorate"라는 명사가 만들어졌습니다.
"Doctorate"는 "박사학위"를 의미하게 되었으며, 고급 학문을 완료하고 가르칠 자격을 얻은 사람을 의미합니다.
중세 및 근대 의미 확장:
12세기 이후 유럽에서 "doctor"는 법학, 의학, 신학 등의 분야에서 고급 학위나 직위를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되었고, "doctorate"는 이러한 학위와 관련된 명사로 사용되었습니다.
의미 발전:
"Doctorate"는 원래 "가르치는 사람"을 의미하는 "doctor"에서 유래하였고, 점차 "박사학위"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대학의 학위는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이 나뉜답니다.
대학의 학위는 크게 학사, 석사, 박사로 구분되며, 각 단계는 학문적 깊이나 연구의 수준에 따라 다릅니다. PhD는 그 중 박사 학위를 의미하는 약어입니다.
대학 학위의 구분:
①학사 (Bachelor's Degree):
대학에서 첫 번째 단계로, 일반적으로 3~4년의 전공 학습을 완료한 후 수여됩니다.
예시: BA (Bachelor of Arts), BSc (Bachelor of Science)
②석사 (Master's Degree):
학사 학위를 취득한 후, 좀 더 깊이 있는 학문적 연구나 전문적인 교육을 받기 위한 과정입니다. 일반적으로 1~2년이 소요됩니다.
예시: MA (Master of Arts), MSc (Master of Science)
③박사 (Doctoral Degree):
가장 높은 학위로, 학문적 연구와 기여를 통해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수준에 도달해야 합니다. 보통 3~5년 정도의 연구 기간이 필요하며, 연구 논문(Dissertation)을 제출하고 심사를 거쳐 수여됩니다.
예시: PhD (Doctor of Philosophy), DBA (Doctor of Business Administration)
PhD의 의미:
PhD는 "Doctor of Philosophy"의 약어로, "철학 박사"라고 번역되지만, 실제로는 특정 전공 분야와 관계없이 학문적 연구를 통한 지식의 창출을 의미합니다.
Philosophy는 여기서 "지식" 또는 "학문"을 의미하는데,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말로 "지혜를 사랑하는 자"를 뜻하는 "philosophia"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즉, "PhD"는 "철학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 연구와 학문적 기여를 통해 얻은 최고 수준의 학위"라는 뜻입니다.
PhD의 의미와 연구 방향:
PhD는 특정한 분야에서 독창적인 연구를 통해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연구 과정에서는 독립적이고 깊이 있는 연구 능력이 요구되며, 논문을 통해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이를 통해 학문적 기여를 해야 합니다.
그래서,
"I got a doctorate in economics."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I got a PhD in economics." (경제학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doctorate"는 박사 학위 자체를 의미하는 일반적인 용어이므로, 특정 전공 분야인 경제학과 함께 쓰여 박사 학위를 받은 분야를 나타냅니다.
"PhD" (Doctor of Philosophy)는 위 예문에서는 경제학 학문 분야에서의 박사 학위를 뜻합니다.
이 문장은 경제학에 대한 깊은 연구를 완료하고 박사 학위를 받았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PhD를 받는 과정은 대개 기초 연구, 이론적 기여, 그리고 독립적인 학문적 작업을 포함합니다.
Doctorate 은 박사 학위 취득이나 그 자체를 언급할 때 사용하고,
PhD 는 주로 기초 연구나 이론적 기여를 다루는 학문적 박사 학위를 의미합니다.
결론적으로,
"Doctorate"는 모든 박사 학위를 포괄하는 용어이고, "PhD"는 학문적 연구와 이론적 발전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구체적인 박사 학위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PhD는 Doctorate의 한 종류입니다.
학위에 대한 세부내용이 아닌 경우는 둘 다 구분 없이 사용해도 의미전달이 되겠죠.
962. My mark was based 70 % on the final test and 30% on the attendance record.
- 해석: 점수는 70%는 최종시험에, 30%는 출석률을 반영하여 매겨졌어요.
- 분석: Mark는 주로 시험이나 과제 점수를 나타내며, 영국식 영어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Grade는 전반적인 학업 성적을 나타내며, 미국식 영어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Attendance record를 attendance로 줄여도 자연스럽습니다.
참고로,
'개근상' 은 an award for perfect attendance 나 a perfect attendance award 이므로, I got a perfect attendance award 라고 하면 된답니다.
963. I sat up straight in the chair.
- 해석: 제 의자에 바로 앉았어요.
- 분석: "I sat up straight": 자세를 곧게 펴고 앉았다는 뜻입니다.
"in the chair": 의자 안에서, 즉 의자에 앉아 있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다른 해석은,
"나는 의자에서 자세를 똑바로 했다."
"나는 의자에 앉아 허리를 꼿꼿이 폈다."
Sit 의 3단변화는 sit – sat – sat 입니다.
비슷한 표현으로는,
"I sat upright in the chair."
"똑바로 앉았다"를 좀 더 격식 있게 표현한 문장입니다.
"I straightened up in the chair."
앉은 상태에서 자세를 바로 잡는 동작에 초점이 있는 표현입니다.
964. I checked the attendance.
- 해석: (교사의 입장에서) 출석을 불렸어요.
- 분석: 주로 교사나 관리자처럼 출석 상황을 확인해야 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사용됩니다. 주어를 my teacher로 바꾸어서 해보면 되겠죠. 그럼 선생님이 출석을 부른 것이 된답니다.
응용:
In a classroom:
"Before starting the class, I checked the attendance."
(수업을 시작하기 전에 출석을 확인했어요.)
At a meeting:
"I checked the attendance to see who was present at the meeting."
(회의에 누가 참석했는지 확인했어요.)
During an event:
"At the beginning of the workshop, I checked the attendance list."
(워크숍 초반에 참석자 명단을 확인했어요.)
965. I shared my book with my friend.
- 해석: 친구와 책을 같이 봤어요.
- 분석: 친구가 책을 가져오지 않았을 때 함께 보는 장면이죠.
966. I played hide and seek.
- 해석: 숨바꼭질을 했어요.
- 분석: hide 는 숨는 것이고, seek 는 찾는 것이니 '숨바꼭질'이라는 의미랍니다.
967. I played rock, paper, scissors.
- 해석: 가위바위보를 했어요.
- 분석: scissors 의 ~s 는 생략해서는 안되면. 항상 복수형이랍니다. 가위는 두 개의 날이 있으니까요. 문법적으로 “rock, paper, and scissors”라고 and 을 붙이지만, 구어상으로는 그냥 없이 간편하게 간답니다.
응용:
"We played rock, paper, scissors to decide who goes first."
(우리는 누가 먼저 할지 정하기 위해 가위바위보를 했어요.)
"Let’s play rock, paper, scissors!"
(가위바위보 하자!)
비슷한 표현
영어권에서 이 게임은 종종 "Rock, paper, scissors"라고 불리며,
"Rochambeau(로쉠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예: "Let’s play Rochambeau!"
Rochambeau는 영어권에서 "Rock, Paper, Scissors"(가위바위보) 게임을 가리키는 또 다른 이름입니다. 이 표현은 특히 미국에서 종종 사용됩니다.
어원 및 유래
프랑스 장군의 이름
Jean-Baptiste Donatien de Vimeur, comte de Rochambeau라는 프랑스 장군에서 유래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미국 독립전쟁 중 프랑스군을 이끌고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그의 이름이 어떻게 가위바위보 게임과 연결되었는지에 대한 명확한 기록은 없지만, 언어적 변형이나 역사적 유머가 관여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미국에서의 사용
이 이름은 미국에서 특히 20세기 초에 "Rock, Paper, Scissors" 게임의 대체 명칭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언어적 변형 가능성
"Rochambeau"가 구어체로 쉽게 발음되고, 리듬감이 있어 게임의 구호로 채택되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사용 예문
"Let’s settle this with a game of Rochambeau."
(이걸 Rochambeau 게임으로 정하자.)
"In Rochambeau, paper beats rock, rock beats scissors, and scissors beat paper."
(Rochambeau에서는 종이가 바위를 이기고, 바위가 가위를 이기며, 가위가 종이를 이긴다.)
재미있는 점
"Rochambeau"는 특히 구호로 자주 사용되며, 게임 시작 전에 "1, 2, 3, shoot!" 같은 리듬을 붙일 때 사용되기도 합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Rock, Paper, Scissors"와 "Rochambeau"를 별개의 게임으로 인식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동일한 게임을 의미합니다.
Rochambeau의 발음은 프랑스 이름에서 유래했기 때문에 영어식 발음과 프랑스식 발음이 조금 다릅니다.
영어식 발음
[roh-sham-BOH]
첫 음절 "roh"는 "로"처럼 발음합니다.
두 번째 음절 "sham"은 "쉠"처럼 발음되며, "a"는 짧은 소리입니다.
마지막 음절 "boh"는 "보"처럼 발음합니다.
“보”에 강세를 강하게 두어, 로쉠보~! "Let’s play Rochambeau!"
968. I made fun of a friend.
- 해석: 한 친구를 놀렸어요.
- 분석: 누군가를 조롱하거나 놀렸다는 의미입니다.
응용:
1. 사람을 웃음거리로 만들다
She made fun of my accent, but I didn’t mind.
(걔가 내 억양을 놀렸지만 난 개의치 않았어.)
2. 유머로 다루다 (긍정적 의미)
He makes fun of everything, but in a way that makes people laugh.
(걔는 모든 것을 웃음거리로 만들지만, 사람들을 웃기게 만드는 방식으로 해.)
3. 누군가를 비웃다
Stop making fun of him! He's trying his best.
(걔 더 이상 비웃지 마! 걘 최선을 다하고 있어.)
4. 상대방을 놀리며 친근감을 표현하다
We make fun of each other all the time, but it’s all in good fun.
(우리는 항상 서로를 놀리지만, 그건 다 재미로 하는 거야.)
5. 강하게 놀리다 (모욕적인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음)
She made fun of my clothes in front of everyone, which embarrassed me.
(그 여잔 모든 사람 앞에서 내 옷을 놀려서 나는 창피했었다.)
상대방의 특정한 행위나 모습을 놀렸다고 할 때는?
"Make fun of" 뒤에 "about"을 붙여서 사용할 때, "about"은 보통 조롱이나 놀림의 주제를 나타냅니다.
1. 외모에 대해 놀리다
I made fun of him about his appearance.
(그의 외모에 대해 놀렸어요.
)
2. 행동에 대해 놀리다
She made fun of him about his clumsiness.
(그 여자애는 걔의 서투름에 대해 놀렸어요.)
3. 성격에 대해 놀리다
They made fun of her about being too shy.
(걔들은 그 여자애가 너무 수줍어하는 것에 대해 놀렸어요.)
4. 말투나 억양에 대해 놀리다
He made fun of me about my accent.
(걔가 내 억양에 대해 놀렸어요.)
이러한 예문들처럼 "about"을 사용하면, 놀림이나 조롱의 주제를 더 구체적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969. I betrayed a friend.
- 해석: 한 친구를 배반했어요.
- 분석: “betray"는 신뢰를 저버리거나 의도적으로 믿음을 깨는 행동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친구의 비밀을 다른 사람에게 말하거나, 약속을 어기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신뢰를 저버리는 심각한 행위를 나타내므로, 보통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됩니다.
응용:
I betrayed a friend by sharing her secret.
(저의 그 여자애의 비밀을 공유함으로써 배신했어요.)
He felt betrayed when I didn't support him.
(걔는 내가 자기를 지지하지 않았을 때 배신당한 기분이 들었다.)
"Betray"의 어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어원 분석
어원: betray는 고대 영어 betraian에서 유래되었습니다.
betraian은 다시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be- (전치사 또는 접두사): '주위에', '향해'라는 의미를 가진 접두사입니다.
trāian (동사): '배신하다', '속이다'를 의미합니다. 이는 라틴어 tradere에서 유래한 것으로, '넘기다', '전달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2. 관련 언어
고대 영어 betraian (배신하다)
중세 영어 betrayen (배신하다)
라틴어 tradere (주다, 넘기다, 배신하다) -> 여기서 tradere는 'trans' (넘어가다)와 'dare' (주다)의 결합어입니다.
3. 형성 과정
be- 접두사: 이 접두사는 보통 동사나 명사의 의미를 강화하거나, 방향성을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betray에서 be-는 '어떤 것을 향해' 또는 '어떤 방식으로'를 의미합니다.
trāian은 라틴어에서 '전달하다' 또는 '전해주다'의 의미에서 발전하여, 누군가에게 신뢰나 비밀을 전달하던 사람을 배신자로 만들어줍니다.
4. 의미의 변화
원래의 의미인 '전달하다' 또는 '넘기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배신의 의미로 변형되었습니다. 이 변화는 배신자가 신뢰를 넘기거나 전하는 것처럼 보이는 상황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결론
Betray 에서 -er 를 붙여 “배신자 – betrayer”를 파생시켰답니다. 그런데, 배신자에는 “traitor”와 “betrayer” 로 두 단어가 있습니다.
"Traitor"와 "Betrayer"는 모두 배신자를 의미하지만, 뉘앙스와 사용되는 상황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1. Traitor
품사: 명사
의미: 반역자 또는 배신자. 주로 국가나 정부에 대한 배신을 가리킵니다.
법적, 정치적 맥락에서 사용되며, 반역죄를 저지른 사람을 의미합니다.
"Traitor"는 국가, 정부, 조직에 대한 심각한 배신을 지칭합니다.
일반적으로 반역자라고 해석되며, 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예문
The king sentenced the traitor to death for his attempt to overthrow the kingdom.
(왕은 왕국을 전복하려 한 반역자에게 사형을 선고했다.)
He was labeled a traitor after he joined the enemy forces during the war.
(그 사람은 전쟁 중 적군에 합류한 후 반역자로 낙인 찍혔다.)
2. Betrayer
품사: 명사
의미: 배신자. 신뢰나 약속을 배반한 사람을 지칭합니다.
"Betrayer"는 보다 일반적인 배신을 의미하며, 개인적 관계에서 약속을 저버리거나 신뢰를 깨트린 사람을 지칭합니다.
주로 개인적인 배신을 강조하는 단어로 사용됩니다.
예문
She felt betrayed by her best friend when she discovered the secret.
(그 여자는 가장 친한 친구가 비밀을 숨기고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 배신감을 느꼈어요.)
The betrayer of her trust was someone she had known for years.
(그 여자의 신뢰를 배반한 사람은 그녀가 수년간 알고 지낸 사람이었어요.)
결론적으로,
"Traitor"는 국가나 정부에 대한 배신을 의미하며 반역자로 해석됩니다. 주로 법적이고 정치적인 맥락에서 사용됩니다.
"Betrayer"는 개인적인 배신을 의미하며, 주로 신뢰를 깨트린 사람을 가리킬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Traitor"는 심각하고 법적인 배신을, "Betrayer"는 보다 일상적이고 개인적인 배신을 지칭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Traitor 가 국가에 대한 그런 배신행위를 한 사람이라면, treason 은 “배신”이라는 의미의 단어입니다.
Treason 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품사: 명사
의미: 반역죄, 국가나 정부에 대한 배신을 의미합니다.
국가, 군주, 또는 정부를 배신하는 행위를 뜻하며, 법적이고 심각한 범죄입니다.
예문
He was charged with treason for attempting to overthrow the government.
(그 사람은 정부를 전복하려 한 혐의로 반역죄로 기소되었어요.)
어원적 관계
Treason은 국가에 대한 배신을 의미하는 명사이고, Traitor는 반역자 또는 배신자를 뜻하는 명사입니다.
두 단어 모두 라틴어 tradere에서 유래하였고, 이는 '넘기다' 또는 '전달하다'의 의미에서 변형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배신의 의미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Treason은 반역죄 자체를 의미하는 명사이고, Traitor는 그 반역죄를 저지른 사람을 지칭하는 명사입니다.
그럼 “반역죄를 저지르다”라는 말은?
Treason 과 어울리는 동사는 commit 을 사용하여, to commit treason 이라고 하면 된답니다. Commit 는 “저지르다”라는 의미로 “to commit suicide(자살 하다”라는 표현과 종종 볼 수 있죠.
“He committed treason.”
(그 사람은 반역을 저질렀다.)
"He was arrested for committing treason."
(그 사람은 반역을 저질러서 체포되었다.)
970. I had a big fight with my friend.
- 해석: 한 친구랑 크게 싸웠어요.
- 분석: 이 문장은 주로 언쟁이나 감정적인 다툼을 의미합니다.
비슷한 표현은,
I had an argument with my friend.
(친구와 말다툼을 했어요.)
We got into a big fight over something trivial.
(우리는 사소한 일로 크게 싸웠어요.)
I had a disagreement with my friend, but we resolved it quickly.
(친구와 의견 충돌이 있었지만, 빨리 해결했어요.)
뉘앙스
"Fight": 말싸움뿐 아니라 물리적인 싸움도 포함할 수 있는 강한 표현입니다. 다만, 문맥에 따라 일반적인 언쟁으로 이해될 때가 많습니다.
"Argument": "Fight"보다 더 구체적으로 언쟁(말다툼)을 가리키는 표현입니다.
따라서, 문맥에 맞게 "fight"나 "argument"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I had a big fight with my friend"는 보통 말다툼으로 이해되지만, 필요하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그럼, 주먹다짐은?
I had a physical fight with my friend, Tom.
(친구 Tom 과 주먹다짐을 했어요.)
Physical “신체의, 육체의”를 사용하여 주먹다짐을 표현.
I had a fist fight with my friend, Tom.
(친구 Tom 과 주먹다짐을 했어요.
Fist “주먹”을 사용하여 주먹다짐 표현.
We fought with our fists.
(우리는 주먹으로 싸웠어요.)
971. I told on my friend.
- 해석: 제 친구를 고자질 했어요.
- 분석: '친구에 대해서 말을 하였다'라는 의미가 되어 '고자질 하다' 라는 의미가 된답니다. 친구의 잘못이나 비밀을 다른 사람(보통 권위자나 부모님, 선생님 등)에게 알렸다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누구에게 이야기 했다는 말은 문장에 따로 주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로 아이들 사이에서 사용되거나 누군가를 고자질했다는 뉘앙스를 전달할 때 사용됩니다.
응용:
She told on her brother for breaking the vase.
(그 여자애가 동생이 꽃병을 깼다고 일렀어요.)
I can’t believe you told on me to the teacher!
(네가 선생님한테 나를 일렀다니 믿을 수 없어!)
누군에게 일렀다고 언급 하고자 한다면, “to 사람”의 형식을 취하시면 된답니다.
If you tell on me, I’ll never trust you again.
(네가 날 고자질하면, 다시는 널 믿지 않을 거야.)
비슷한 표현
"Snitch on someone": 좀 더 비격식적이고 부정적인 뉘앙스의 표현으로, "누군가를 고자질하다"라는 의미입니다.
예: Don’t snitch on your friends! (친구를 고자질하지 마!)
"He’s such a snitch! He told the teacher about our prank."
(걔 완전 고자질쟁이야! 우리 장난을 선생님한테 말했어.)
"Report someone": 좀 더 공식적이고 중립적인 뉘앙스입니다.
예: He reported his coworker to HR. (그 사람은 동료를 인사팀에 보고했어요.)
"Tell on"은 일반적으로 아이들 간의 고자질에 더 많이 사용되는 표현이지만, 맥락에 따라 성인들도 가벼운 농담이나 비유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972. I recorded the lecture.
- 해석: 그 강의를 녹음 했어요.
- 분석: "Record"는 명사일 때와 동사일 때 강세가 다르게 발음됩니다. 각각의 강세 변화를 아래와 같이 설명할 수 있습니다.
1. 명사 (Record: /ˈrek.ɔːrd/ 또는 /ˈrek.ərd/)
강세: 첫 음절(레)에 강세가 있습니다.
발음: "레코드" (strong stress on the first syllable)
의미: 기록, 음반 등
예: "I bought a new record." (새로운 음반을 하나 샀어요.)
예: "This is a world record." (이것은 세계 기록이다.)
2. 동사 (Record: /rɪˈkɔːrd/ 또는 /rɪˈkɔːrd/)
강세: 두 번째 음절(코)에 강세가 있습니다.
발음: "리코드" (strong stress on the second syllable)
의미: 녹음하다, 기록하다
예: "I need to record this meeting." (이 회의를 녹음해야 한다.)
예: "She recorded the song yesterday." (그 여자는 어제 그 노래를 녹음했어요.)
결론적으로,
명사일 때는 첫 음절에 강세가, 동사일 때는 두 번째 음절에 강세가 옵니다.
이런 강세 변화는 영어에서 자주 나타나는 패턴으로, 명사와 동사의 의미 차이를 구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973. I wrote the answer on the board with chalk.
- 해석: 분필로 칠판에 답을 썼어요.
- 분석: 여기서 “board”는 주로 “chalkboard(칠판)”을 의미한답니다. "Chalk"는 일반적으로 불가산 명사로 취급되며, "a chalk"처럼 관사 "a"를 붙이지 않습니다. 하나의 분필은 a piece of chalk 입니다.
"Chalk"는 밝은 색을 띠는 석회질 물질이라는 인도유럽어 어근에서 출발하여, 고대 그리스어와 라틴어를 거쳐 고대 영어로 정착한 단어입니다. 분필로 쓰이는 이유는 그 질감과 색 때문입니다. 같은 어원에서 나온 것이 calcium(칼슘), chalky(석회질의) 등의 단어가 있답니다.
974. I erased the board with a blackboard eraser.
- 해석: 칠판지우개로 칠판을 지웠어요.
- 분석: 간단하게는 “I erased the board with an erase.”라고 하면 된답니다.
Erase 는 영국식과 미국식 발음은 아래와 같이 다르답니다.
영국식: /ɪˈreɪz/ → "이-레이즈"
미국식: /ɪˈreɪs/ → "이-레이스"
그럼, 당연히 eraser(지우개)도 아래와 같이 다르답니다.
영국식: /ɪˈreɪzə/ → "이-레이-즈어"
미국식: /ɪˈreɪsɚ/ → "이-레이-써r"
975. I doodled.
- 해석: 낙서했어요.
- 분석: “doodle”은 동사로 "낙서를 하다" 또는 "멍하니 그림을 끄적이다"라는 뜻입니다.
이 표현은 주로 종이나 여백에 아무 생각 없이 그리는 행동을 가리킵니다.
응용:
I doodled on my notebook during the meeting.
(회의 중에 공책에 낙서를 했어요.)
She loves to doodle when she's bored.
(그 여자는 심심할 때 낙서하는 걸 좋아해요.)
He doodled a cat on the corner of the page.
(걔는 페이지 구석에 고양이를 낙서로 그렸어요.)
Doodle의 어원은 아래와 같답니다.
독일어 "dudeln"에서 "멍청하게 행동하다"라는 의미로 유래.
16세기 중세 영어에서 "멍청이"라는 뜻으로 사용.
18세기경 "의미 없이 끼적거리다"는 현대적 의미로 발전.
오늘날 "Doodle"은 "의미 없이 자유롭게 낙서하다" 또는 "무심코 그린 그림"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Doodle 와 관련된 재미있는 표현들?
Doodlebug: "게으름뱅이" 또는 미국에서 2차 세계대전 당시 사용된 독일의 V-1 로켓을 가리키는 별명.
Yankee Doodle: 미국 독립전쟁 당시 영국군이 미국 식민지 주민을 놀리기 위해 사용한 노래.
976. I scribbled.
- 해석: 갈겨서 적었어요.
- 분석: “I doodled."와 비슷한 맥락에서 사용되지만 약간의 뉘앙스 차이가 있습니다.
"I scribbled."의 의미
나는 휘갈겨 썼다 / 대충 끄적였다.
"scribble"은 동사로, 주로 글씨나 그림을 대충 쓰거나 그린다는 뜻입니다.
낙서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글씨를 서둘러 알아보기 힘들게 쓰는 행동을 더 강조합니다.
"doodle"과 "scribble"의 차이
①doodle
의도 없이 그림을 끄적이는 행동에 초점.
주로 여가나 지루할 때 하는 행동.
예: "I doodled a flower on the edge of the paper."
(종이 끝에 꽃을 낙서했어요.)
②scribble
글이나 그림을 마구잡이로 휘갈겨 쓰거나 그리는 행동에 초점.
주로 서둘러 적거나 알아보기 힘든 글씨를 묘사.
예: "I scribbled a note before leaving."
(떠나기 전에 메모를 휘갈겨 썼어요.)
응용:
I scribbled down her phone number.
(그녀의 전화번호를 급하게 적었어요.)
The child scribbled all over the wall.
(그 아이가 벽에 온통 낙서를 했어요.)
He scribbled something in his notebook during the lecture.
(걔는 강의 중에 공책에 무언가를 휘갈겨 썼어요.)
"Scribble"의 어원은 라틴어에서 유래되었으며, 글쓰기와 관련된 행동을 표현하는 단어입니다. 아래는 자세한 어원 분석입니다.
1. 어원의 기원
라틴어:
"Scribble"은 "scribere"(쓰다, 기록하다)에서 비롯되었습니다.
"Scribere"는 라틴어로 "쓰다(to write)"라는 기본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에 -ble(작고 반복적인 행동을 나타내는 접미사)가 붙으면서 "scribillare"라는 형태가 만들어졌습니다.
"Scribillare"는 "빠르고 대충 쓰다" 또는 "휘갈기다"를 뜻합니다.
중세 라틴어:
"Scribillare"는 중세 라틴어에서도 사용되었으며, 후에 여러 유럽 언어로 확산되었습니다.
2. 영어로의 도입
중세 영어:
중세 영어 시기에 고전 라틴어 "scribere"의 파생어들이 유입되었습니다.
15세기경 "scribble"이 영어에 도입되며, "대충 쓰다", "읽기 힘들게 휘갈기다"라는 의미를 얻게 되었습니다.
3. 의미의 진화
"Scribble"은 처음에는 글씨를 대충 쓰거나 휘갈기는 행동에만 국한되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의미 없이 쓰거나 그리다"라는 뉘앙스가 추가되었습니다.
이는 아이들이 글씨를 배울 때 대충 쓰거나 낙서를 하는 행동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어근 "scribere"는 라틴어로 "쓰다(write)"를 뜻하며, 이 어근에서 파생된 단어들은 다양해서 많이 주워 갈 수 있답니다.
scribere에서 파생된 주요 단어들?
1. Script
뜻: 글자, 대본, 필적
설명: 기본적으로 "쓰여진 것"을 의미하며, 영화나 연극의 대본 등으로 사용됨.
2. Manuscript
어원: manu (손) + script (쓰다)
뜻: 손으로 쓴 원고
설명: 컴퓨터 이전 시대에는 손으로 직접 쓴 글을 의미했으나, 현재는 타이핑된 원고도 포함.
3. Subscribe
어원: sub (아래에) + scribe (쓰다)
뜻: 구독하다, 서명하다
설명: 원래는 "아래에 서명하다"라는 의미에서 발전하여, 특정 서비스를 정기적으로 받는 행위를 의미. 계약서 오른쪽 맨 밑에 서명하는 곳이 주로 있죠. 그것을 생각해 보면 왜 아래쪽에 쓰는 것이 “서명하다, 구독하다”인지 알 수 있겠죠.
4. Describe
어원: de (완전히) + scribe (쓰다)
뜻: 묘사하다, 설명하다
설명: 무언가를 글로 완전히 써서 전달하는 행위.
5. Prescribe
어원: pre (미리) + scribe (쓰다)
뜻: 처방하다, 규정하다
설명: 의사가 환자에게 미리 약이나 치료법을 지정하는 행위를 뜻함.
6. Proscribe
어원: pro (앞에) + scribe (쓰다)
뜻: 금지하다, 추방하다
설명: 원래는 누군가의 이름을 리스트에 써서 법적으로 금지하거나 추방을 알리는 것에서 유래. 우리나라의 블랙리스트를 생각해 보시면 이해가 되시겠죠. 명단을 써서 대중이 보는 앞에 붙여 놓는 장면을 생각해 보세요.
7. Inscribe
어원: in (안에) + scribe (쓰다)
뜻: 새기다, 기록하다
설명: 돌이나 금속 안에 무언가를 새겨 넣는 행위를 의미.
8. Ascribe
어원: ad (에게) + scribe (쓰다)
뜻: (원인, 책임 등을) ~에게 돌리다
설명: 어떤 일의 원인을 특정한 대상을 "기록하여" 연결 짓는 것. 예문을 한번 볼게요. I ascribed my success to my hard work. “나의 성공을 나의 열심히 일함에게 돌렸다.”라고 직역할 수 있습니다. 어원을 바탕으로 세밀하고 분석해 보면, “나의 열심히 일함”에게 “성공”이라고 “이름”을 써놓은 것입니다. 이 문장은 “I attributed my success to my hard work.”랑 같은 의미인데, 여기서 attribute 는 “at(방향으로)+tribute(주다)” 로 직역하면, “성공”을 “나의 열심히 일함”에게 주다”라는 의미입니다. 의역해 보니, “나의 성공은 내가 열심히 일한 덕분이다.”라고 되는 것입니다. 이 단어들은 수능문제에 종종 출제가 된답니다.
우리나라 말 중에, “~라고 써놓고, ~라고 읽는다.”라는 말이 있죠.
“노력이라고 적어놓고, 성공이라고 읽는다.”라고 하면, 이들의 말하는 방식이 이해되나요?
9. Transcribe
어원: trans (넘어서) + scribe (쓰다)
뜻: 베껴 쓰다, 필사하다, 녹취하다
설명: 한 형태의 텍스트나 말소리를 다른 형태로 옮기는 작업.
10. Circumscribe
어원: circum (주위에) + scribe (쓰다)
뜻: 제한하다, 경계를 긋다
설명: 글로 경계를 정해 어떤 것을 제한하거나 둘러싸는 행위.
11. Superscribe
어원: super (위에) + scribe (쓰다)
뜻: 위에 쓰다, 주소를 쓰다
설명: 봉투나 문서 위에 주소나 이름을 쓰는 것.
12. Postscript (P.S.)
어원: post (뒤에) + script (쓰다)
뜻: 추신, 추가적인 글
설명: 편지나 글의 마지막에 추가로 쓰는 내용.
13. Nondescript
어원: non (아니다) + descript (묘사된 것)
뜻: 별 특징 없는, 평범한
설명: 묘사하기 힘들 정도로 두드러진 특징이 없는 상태.
14. Conscription
어원: con (함께) + script (쓰다)
뜻: 징병, 강제 징집
설명: 병역 의무를 위해 이름을 명부에 쓰는 것에서 유래.
추가로 참고할 만한 단어들,
Rescript (re + script): 다시 쓰다, 법령의 재발행.
Conscribe (con + scribe): 동료로 묶다, 모으다.
Scriptorium (script + orium): 중세 수도원에서 필사 작업을 하던 방.
참 많죠. 외우기 보다는 참고 하세요. 여기서 제일 중요한 단어는 scribble 을 아는 것입니다.
977. I wrote hastily.
- 해석: 급히 적었어요. 서둘러 적었어요.
- 분석: hastily: 부사로, "서둘러서" 또는 "급하게"라는 뜻이랍니다.
비슷한 표현과 차이점?
①"I scribbled."
마구잡이로 글씨를 휘갈겨 쓴다는 뉘앙스.
글씨가 알아보기 어렵거나 대충 쓴 느낌.
②"I doodled."
주로 의도 없이 그림을 낙서한 행동. 글보다는 그림에 가까움.
③"I wrote hastily."
글씨는 썼지만, 급하게 서두르거나 시간이 부족해 대충 썼다는 점에 초점.
응용:
I wrote hastily to finish the assignment before the deadline.
(마감 전에 과제를 끝내려고 서둘러 썼어요.)
She wrote the address hastily on a piece of paper.
(그 여잔 종이 조각에 주소를 급히 적었어요.)
He wrote the note so hastily that it was barely legible.
(그 사람은 메모를 너무 서둘러 써서 거의 알아볼 수 없었다.)
명확하게 글을 썼다는 것은 “I wrote clearly.” 이고, 글씨가 깔끔하거나 내용이 잘 이해될 정도로 썼다는 의미입니다.
깔끔하게 글을 썼다는 것은 “I wrote neatly.” 이고,글씨가 정돈되어 있거나 잘 정리된 느낌을 주는 표현입니다.
Thank you for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