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928-944) 대학수능시험 영어로(a college entrance exam)

by 영어 낚는 어부 2025. 1. 16.
반응형

 

 

(928-944) 대학수능시험 영어로(a college entrance exam).mp3
3.05MB

 

 

928. I retook a college entrance exam.

 - 해석: 재수했어요. (수능시험을 다시 쳤어요)

- 분석: “a college entrance exam” '대학 입학시험'이니 이를 retake(다시 치르다)하니 '재수'라는 의미가 된답니다.

 

영국과 미국에서의 대학 입학을 위한 주요 시험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①영국

A-levels (Advanced Level):

영국에서 대학 입학을 위해 치르는 주요 시험입니다. 고등학교에서 두 번 째와 세 번째 학년 동안 진행되며, 대학 진학을 위한 성적을 제공합니다.

 

GCSE (General Certificate of Secondary Education):

A-levels에 앞서, 영국의 중등 교육에서 치르는 중요한 시험입니다. 대학 입학에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지는 않지만, A-levels로 진학하기 전에 중요한 과정입니다.

 

②미국

SAT (Scholastic Assessment Test):

미국의 대학 입학 시험으로, 수학, 읽기, 쓰기 능력을 평가합니다. 대학에 따라 ACT와 함께 선택 사항으로 제공되기도 합니다.

 

ACT (American College Testing):

SAT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시험으로, 대학 입학을 위한 중요한 시험 중 하나입니다. 영어, 수학, 읽기, 과학 문제 등을 다룹니다.

 

따라서, 영국에서는 A-levels GCSE, 미국에서는 SAT ACT가 대학 입학을 위한 주요 시험으로 사용됩니다.

 

929. I got enough credits to graduate from college.

- 해석: 학교에서 졸업학점을 충분히 이수 했어요.

- 분석: “credit” '신용'이라는 의미로 주로 사용되지만, 학교에서는 '학점'으로 사용된답니다. 그래서 3학점은 “3 credits”입니다. 3학점짜리 수업은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답니다.

 

It’s a 3-credit course. (이건 3학점짜리 강의입니다.)

 

“course”대신 “class”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course”를 사용하면 더 공식적이고 격식 있는 느낌을 줍니다. “3-credit”에 하이픈(-)을 추가하면 복합 형용사로 더 정확한 표현이고, 3학점은 “3 credits”로 복수를 표현하는 “–s” 를 붙이지만, 명사를 꾸미는 형용사로 사용할 경우에는 “a 3-credit course”처럼 “–s” 를 붙이지 않습니다.

 

2 3일 여행은 “a 3-day 2-night trip” 이지만, trip 이라는 명사를 꾸미는 경우가 아닌 경우는 3 days and 2 nights 라고 해야 합니다.  “I went on a trip for 3 days and 2 nights.” 입니다.  

 

유사한 표현은,

I earned enough credits to graduate from college.

"earned"는 학점을 "획득했다"는 뉘앙스를 강조하는 좀 더 정확한 표현입니다.

 

I have enough credits to graduate from college.

"I got" 대신 "I have"를 사용해 현재 상태를 강조합니다.

 

I’ve completed enough credits to graduate from college.

"completed"는 학점을 다 채웠다는 의미를 명확히 하며, 완료된 상태를 나타냅니다.

 

I fulfilled the credit requirements to graduate from college.

학점을 "충족했다"는 의미를 공식적으로 표현할 때 적합합니다.

 

"Got"은 일상적인 표현으로 괜찮지만, 더 구체적이고 격식 있는 뉘앙스를 원할 경우 "earned" "completed" 같은 동사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미국식 영어에서는 "college"가 흔히 사용되지만, 영국식 영어에서는 "university"가 더 일반적입니다. 사용자의 지역에 따라 적절히 사용하시면 된답니다.

 

 

Credit 의 어원을 한번 살펴 보겠습니다.

 

Credit은 라틴어 "credere"에서 유래했으며, 이 단어는 "to believe" (믿다, 신뢰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또한 "신뢰, 믿음"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발전한 단어입니다.

 

어원 단계별 분석

라틴어: "credere"

의미: "to believe, to trust" (믿다, 신뢰하다)

구성:

cred-: 믿다 (root)

-ere: 동사형 어미

 

라틴어 명사형: "creditum"

의미: "a loan, something entrusted" (대출, 맡긴 것)

 

이 단어는 금전적 신뢰를 포함하여 "신뢰를 기반으로 한 대출"이라는 의미로 발전했습니다.

 

고대 프랑스어: "credit"

의미: "belief, trust, loan" (믿음, 신뢰, 대출)

14세기 경 영어로 유입되며 비슷한 뜻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중세 영어: "credit"

의미: "reputation for trustworthiness" (신뢰할 수 있는 평판)

금전적 거래 뿐 아니라, 사회적 신뢰, 평판이라는 개념으로 확대되었습니다.

 

현대적 의미

현대 영어에서 "credit"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의미로 사용됩니다:

 

①금전적 신뢰: 대출, 외상 거래

: "The store allowed him to buy goods on credit."

 

②학점: 교육 기관에서 수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한 결과로 얻는 단위

: "I need three more credits to graduate."

 

③칭찬, 공로: 누군가의 성취나 기여를 인정함

: "She deserves credit for her hard work."

 

④신뢰, 평판: 믿을 수 있는 자격이나 명성

: "He is a credit to his team."

 

같은 어근을 가진 단어

1. Credible: 믿을 수 있는

2. Credibility: 신뢰성

3. Credential: 신임장, 자격 증명서

4. Creed: 신념, 신조

5. Incredible: 믿기 어려운, 놀라운

6. Discredit: 신뢰를 떨어뜨리다, 불명예

 

Credit의 핵심은 신뢰와 믿음이라는 개념에서 시작해 금전적, 교육적, 그리고 사회적 맥락으로 의미가 확장된 것입니다.

 

930. I dropped out of school.

- 해석: 중퇴했어요.

- 분석: 학업을 중단하고 더 이상 학교에 다니지 않는 상황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drop out "중도에 포기하다" 또는 "그만두다"를 뜻한답니다. 참고로, “퇴학당했어요“I was expelled from school.”입니다.

 

drop: 떨어뜨리다, 버리다

out: 밖으로 (탈퇴나 중단의 의미를 강화)

of school: 전치사구 (중단한 대상이 "학교"임을 나타냄)

 

응용:

학업을 중단했을 때:

"I dropped out of school when I was 16."
(16
살 때 학교를 그만두었어요.)

 

특정 학교나 과정에서 중도 포기한 경우:

"I dropped out of college last year."
(
작년에 대학을 그만두었어요.)

 

"I dropped out of school to start my own business."
(
내 사업을 시작하려고 학교를 그만두었어요.)

더 구체적인 이유나 상황을 설명하면 더 자연스럽습니다.

 

비슷한 표현은,

I quit school.
(
학교를 그만두었어요.)
"drop out of school"
보다 덜 구체적이며 일반적으로 사용 가능.

 

I left school.
(
학교를 떠났어요.)
"drop out"
보다는 중립적이며 꼭 중도 포기를 의미하지 않을 수도 있음.

 

931. I got accepted to the school.

- 해석: 그 학교로부터 입학허가 받았어요.

- 분석: “got accepted” 수동형 구조를 사용하고, “got” "받았다"의 의미로 사용된 동사이고, “accepted” "받아들여지다" 또는 "합격하다"를 뜻하는 과거분사입니다. 수동형이므로 "내가 학교에 의해 받아들여진 것"을 의미합니다.

“to the school”는 전치사구로 받아들여진 대상이 특정 학교임을 나타냅니다.

 

비슷한 표현은,

I was accepted to the school.
(
그 학교에 합격했어요.)

더 공식적이고 표현입니다.
(
영어에서는 "get + 과거분사" 형태가 일상적인 표현으로 자주 사용되지만, "be + 과거분사"는 더 격식을 차린 느낌을 줍니다.)

 

I got into the school.
(
그 학교에 들어갔어요.)
좀 더 구어체적이고 비격식적인 표현이랍니다.

 

I received admission to the school.
(
그 학교에 입학 허가를 받았어요.)
더 격식 있는 표현.

 

"to" 대신 "into" 사용 가능한가요?

 

"I got accepted into the school."

"to" 대신 "into"를 사용해도 의미상 거의 동일합니다.

 

to: 학교로부터 합격 통지를 받은 것에 초점.

into: 학교의 구성원이 되거나 내부로 들어가는 뉘앙스.

 

따라서 "I got accepted to the school."은 자연스럽고 정확한 표현이지만, 상황에 따라 into를 사용해도 됩니다.

 

대학의 입관 사정관은?

An admissions officer.

 

The admissions officer reviewed my application carefully.
(
그 입학사정관이 내 지원서를 꼼꼼히 검토했어요.)

 

I had an interview with the admissions officer.
(
그 입학사정관과 인터뷰를 했어요.)

 

대학을 수시제도로 들어 가면?

Early action(일찍 행동) early decision(일찍 결정)

 

I got into university through early decision.

I was admitted to university through early decision.

(수시로 대학에 들어 갔어요.)

Get into 는 입학에 성공했다는 의미로 사용되고, be admitted 는 조금 더 공식적이고 정중한 표현입니다.

 

수시 제도의 2가지?

early action early decision:

 

Early action은 지원자가 특정 대학에 먼저 지원하고, 합격 여부를 빠르게 알게 되는 제도입니다. 다른 대학에도 지원할 수 있으며, 결과에 대한 압박이 적습니다.

 

Early decision은 지원자가 특정 대학에만 지원하고, 해당 대학에서 합격할 경우 그 대학에 반드시 입학해야 하는 제도입니다. 다른 대학에 중복 지원할 수 없으며, 합격 시 그 대학에 반드시 입학해야 합니다.

 

대학을 정시제도로 들어 가면?

Regular admission

 

I got into university through regular admission

I was admitted to university through regular admission.

(정시로 대학에 들어가 갔어요.)

 

위는 간단하게 일반적인 설명이고, 좀 더 구체적이고 절차적인 측면을 강조하면,

Process  를 추가하면 된답니다.

 

I got into university through the regular admission process.

I was admitted to university through the regular admission process.

 

932. I entered school at the top of my class.

- 해석: 학과에서 수석입학을 했어요.

- 분석: 미국과 영국의 교육 시스템에서는 학교 전체 수석(student ranked first in the entire school)을 뽑는 경우가 흔치 않으며, 주로 학과나 특정 프로그램 내에서 성취를 기준으로 수석(valedictorian)이나 우등 졸업(honors)을 지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국에서는 학교 전체 수석을 뽑는 경우가 흔하며, 입학/졸업 시 공식적으로 발표되곤 합니다. 하지만, 미국과 영국은 학업 성취도를 더 세분화하고 개별 학과 또는 프로그램 중심으로 평가합니다.

그래서,

I entered school at the top of “my school”. 은 문법적으로 맞지만, 내용적으로 어색한 표현이 된답니다. 물론, 한국적 상황에서는 가능한 일이지만, 영국이나 미국의 상황에서는 의미를 잘 이해 못 할 수도 있답니다.

 

미국과 영국의 수석(?)를 좀 더 세부적으로 이야기하자면,

 

1. 미국의 경우

 

Valedictorian:

주로 고등학교에서 졸업생 중 최고 성적을 받은 학생을 뜻하며, "수석 졸업생"으로 불립니다.

이 학생은 졸업식에서 축하 연설을 할 기회를 얻습니다.

Valedictorian은 일반적으로 학교나 졸업식에서 수석 졸업생을 의미하지만, 학교 전체에서 가장 우수한 성적을 받은 학생은 아닐 수 있습니다. Valedictorian은 졸업식에서 졸업생을 대표하여 연설을 하는 학생으로, 보통 학업 성적이 매우 우수한 학생이 선정됩니다.

그러나 Valedictorian의 선정 기준은 학교마다 다를 수 있으며, 일부 학교에서는 성적 외에도 리더십, 학교 활동 참여도 등을 고려하여 선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Valedictorian "학교 전체 수석 졸업생"으로 널리 이해될 수 있지만, 다른 기준들이 고려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Valedictorian의 어원은 라틴어에서 유래했습니다. 이 단어는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Vale"

의미: "Goodbye" 또는 "farewell" (작별, 이별)

어원: 라틴어 "valere"에서 유래하며, "힘이 있다" 또는 "잘 가다"라는 뜻을 가집니다. "Vale"는 라틴어에서 "farewell"을 의미하는 인사말로 사용되었습니다.

 

2. "-dictorian"

의미: "말하다" 또는 "연설하다"를 뜻하는 "dictate"에서 유래합니다.

어원: 라틴어 "dicere"에서 유래, "말하다"를 의미합니다.

 

결합 의미

Valedictorian "farewell speaker" 또는 "작별 인사를 하는 사람"이라는 의미로, 졸업식에서 학생을 대표해 작별 인사 연설을 하는 최고 성적을 받은 졸업생을 의미합니다.

 

Salutatorian:

Valedictorian 다음으로 성적이 높은 졸업생을 뜻합니다.

 

Salutatorian의 어원도 Valedictorian과 비슷하게 라틴어에서 유래했으며,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Salut" – 군인이 경례하다라는 표현으로 salute 라고 한답니다.

의미: "인사", "안녕", 또는 "축하"

어원: 라틴어 "salutare"에서 유래하며, 이는 "건강"이나 "안녕을 기원하다"라는 뜻을 가집니다. "Salus" "건강" 또는 "안전"을 뜻하는 단어에서 파생되었습니다.

 

2. "-torian"

의미: "말하다" 또는 "연설하다"

어원: 라틴어 "dicere"에서 유래, "말하다"를 의미하는 접미사입니다. 이는 -dictorian에서 "말하다"와 관련이 있습니다.

 

결합 의미

Salutatorian "인사하는 사람" 또는 "환영의 연설을 하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졸업식에서 Salutatorian은 졸업생들을 환영하며 축하하는 연설을 맡는 역할을 합니다. 주로 Valedictorian 다음으로 성적이 높은 학생이 이 역할을 맡습니다.

 

결론적으로,

Salutatorian"인사""말하다"의 결합으로, 졸업식에서 졸업생들을 환영하거나 축하하는 연설을 하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Valedictorian과 달리 "작별 인사" 대신 "환영" 또는 "축하"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미국 College/University:

대학에서는 "전체 수석" 개념이 거의 없으며, 주로 학과(department)별로 수석을 지정합니다.

Summa Cum Laude (최우등), Magna Cum Laude (우등), Cum Laude (우수 졸업) 등으로 학업 성취를 표시합니다.

 

Summa Cum Laude, Magna Cum Laude, Cum Laude는 모두 라틴어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주로 대학 졸업 시 학업 성취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이 표현들은 학위 수여식에서 졸업생들의 학업 성적에 따른 우수성을 강조하는 데 사용됩니다. 각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1. Summa Cum Laude (최우등)

: "최고의 찬사와 함께"

설명: 졸업생 중에서 가장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는 뜻입니다. 이 표현은 학문적 성취가 탁월하고 예외적인 경우에 사용됩니다. 보통 전체 성적이 4.0 만점에 가까운 경우에 수여됩니다. 한국은 만점이 4.5 이니, 참고 비교하세요.

 

2. Magna Cum Laude (우등)

: "큰 찬사와 함께"

설명: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음을 의미합니다. 전체 성적이 Summa Cum Laude보다는 낮지만 여전히 매우 우수한 성적을 기록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대체로 성적이 3.7 이상일 때 주어집니다.

 

3. Cum Laude (우수 졸업)

: "찬사와 함께"

설명: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음을 나타내는 용어로, Magna Cum Laude보다는 조금 낮은 수준입니다. 이 표현은 성적이 3.5 이상인 경우에 수여됩니다.

 

라틴어의 의미:

Laude: "찬사" "영예"를 의미하는 라틴어 단어입니다.

Cum: "함께" 또는 "과 함께"라는 뜻입니다.

Summa: "최고" 또는 "가장 높은"을 의미합니다.

Magna: "" 또는 "훌륭한"을 의미합니다.

Cum Laude: 학위 수여식에서의 우수성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성적이 뛰어난 졸업생에게 사용됩니다.

 

2. 영국의 경우

Honors Degree:

영국 대학에서는 1st Class (First), 2nd Class Upper Division, 2nd Class Lower Division, 3rd Class 등으로 학위 성취도를 구분합니다.

"학교 전체 수석"을 공식적으로 뽑는 경우는 드물고, 특정 학과(department) 내에서 성적이 가장 높은 학생이 비공식적으로 인정받는 정도입니다.

 

Medal or Prize:

가끔씩 학과나 특정 프로그램 내에서 성적이 가장 뛰어난 학생에게 상을 수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영국에서는 졸업식에서 "Valedictorian" (작별 인사 연설을 하는 학생)과 같은 명확한 수석 역할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대신, 졸업생 대표로 연설을 맡는 사람은 대개 학생회장이나 특정 학과의 대표가 되며, 그들은 종종 우수한 성적을 가진 학생이지만 "수석"이라는 타이틀을 공식적으로 부여 받지는 않습니다.

 

주의할 점!

 

"enter" "get into"는 모두 "들어가다" 또는 "입학하다"를 의미할 수 있지만, 어감과 사용 상황에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에서 두 표현의 차이를 자세히 설명합니다.

 

1. Get into

주된 의미:
"
어떤 학교에 합격하거나 입학 허가를 받는 과정"에 초점이 있습니다.
, 학교에서 입학을 승인 받는 단계를 강조합니다.

 

예시:

"I got into Harvard!"
(
하버드에 합격 했어!)
입학 허가를 받은 사실을 알릴 때 사용.

"She tried hard to get into medical school."
(
그 여자는 의대에 합격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 했어.)
합격하기 위한 노력과 결과를 강조.

 

2. Enter

주된 의미:
이미 입학 허가를 받은 후, 학교 생활을 처음 시작하는 실제 입학에 초점이 있습니다.
학교에 발을 들여놓는 시점을 묘사합니다.

 

예시:

"He entered college last fall."
(
그 애는 지난가을에 대학에 입학 했어.)
학기가 시작된 후 실제로 학교 생활을 시작했음을 나타냄.

 

"Students enter middle school at the age of 13."
(
학생들은 13살에 중학교에 입학한다.)
중학교로 진학하는 시점을 묘사.

 

결론적으로,

합격 vs 실제 입학

 

Get into:
학교에 합격하거나 입학 허가를 받는 과정을 강조.
(
승인받은 단계)

 

Enter:
입학이 확정된 후, 학기를 시작하고 학교 생활을 시작하는 시점을 강조.
(
실제로 학교에 다니는 단계)

 

비슷한 상황에서 두 표현 비교하면,

 

합격을 이야기할 때 (get into):

"I got into Stanford!"
(
스탠포드에 합격 했어!)
입학 허가를 받은 순간.

 

학기를 시작할 때 (enter):

"I entered Stanford in 2023."
(2023
년에 스탠포드에 입학 했어.)
학교에 다니기 시작한 시점.

 

933. I enrolled in the school.

- 해석: 학교에 등록을 했어요.

- 분석: “enroll"은 공식적으로 학교나 프로그램에 등록하거나 입학하는 행위를 나타냅니다.

 

응용:

"I enrolled in the school last year."
(
작년에 그 학교에 등록했어요.)

 

"She enrolled in a new school this semester."
(
그 여자애는 이번 학기에 새로운 학교에 등록했어요.)

 

 

934. I attended school

- 해석: 학교 다녔어요.

- 분석: "Attended" attend(참석하다, 다니다)의 과거형으로, 학교에 다닌 경험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I attended school"은 과거에 학교에 다닌 경험을 간단하게 표현한 문장입니다.

 

응용:

I attended school in New York for five years.
(5
년 동안 뉴욕에서 학교에 다녔어요.)

She attended school regularly, but never really enjoyed it.
(
그 여자애는 학교에 규칙적으로 다녔지만, 정말 즐기지는 않았어요.)

 

He attended school in London before moving to Paris.
(
그 사람은 파리로 이사하기 전에 런던에서 학교에 다녔어요.)

 

I attended school with many talented students.
(
많은 재능 있는 학생들과 함께 학교에 다녔어요.)

 

They attended school online during the pandemic.
(
그 아이들은 팬데믹 동안 온라인으로 학교에 다녔어요.)

 

935. I started a new semester.

- 해석: 새 학기를 시작했어요.

- 분석: “a new semester”는 새로운 학기를 뜻한답니다.

 

응용:

I started a new semester with excitement and hope for a fresh beginning.
(
새로운 학기를 기대와 희망으로 시작했어요.)

 

I started a new semester at university after taking a year off.
(1
년의 휴학 후 대학에서 새로운 학기를 시작했어요.)

 

I started a new semester and already have a lot of assignments to complete.
(
새로운 학기를 시작했고 이미 할 일이 많아요.)

 

I started a new semester with a goal to improve his grades.
(
성적을 향상시키겠다는 목표로 새로운 학기를 시작했어요.)

 

Semester 의 어원은?

 

Semester의 어원은 라틴어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어원:

Semester는 라틴어 "semestre"에서 유래한 단어로, "sex"(여섯) "mensis"()의 결합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여기서 한달을 의미하는 month 가 왔답니다.

"Sex"는 여섯을 의미하고,

"Mensis"는 월을 의미합니다.

Semester 6개월을 의미하는 "6개월 동안" 또는 "6개월 주기"라는 뜻에서 발전했습니다.

 

의미:

Semester는 이제 학기를 의미하며, 특히 대학이나 학교에서 한 학년을 반으로 나눈 기간을 나타냅니다. 대개 6개월(봄 학기와 가을 학기) 정도의 기간을 나타내므로, 어원과 잘 연결됩니다.

따라서, semester는 원래 6개월 동안의 기간을 나타내던 단어에서 발전하여 학교나 대학의 학기를 의미하게 되었습니다.

 

 

936. I finished the semester.

- 해석: 그 학기를 끝냈어요.

- 분석: semester 대신에 term 을 사용할 수도 있답니다.

두 단어는 모두 학교나 대학에서 학기를 나타내지만, 사용하는 국가나 교육 시스템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Semester:

일반적으로 6개월 정도의 기간을 나타내며, 봄학기와 가을학기로 나누어집니다.

미국, 캐나다, 한국 등의 국가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Term:

Term "학기"를 의미하는 더 일반적인 용어로, 영국, 호주, 뉴질랜드 등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Term은 대개 1학기를 나타내지만, 이 기간은 3개월 정도로 짧을 수 있습니다.

Term "Semester"처럼 학기 단위로 나누어지는 경우에도 사용되며, 더 넓은 의미로 "기간"을 지칭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I finished the semester." 대신 "I finished the term."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문맥에 따라 적절한 표현을 선택하면 됩니다.

 

응용:

 I finished the semester with excellent grades in all my subjects.
(
모든 과목에서 우수한 성적으로 학기를 마쳤어요.)

 

I celebrated the end of the semester with my friends at a party.
(
학기가 끝남에 따라 친구들과 파티에서 축하를 했어요.)

 

937. I signed up for class.

- 해석: 수강신청을 했어요.

- 분석: "I signed up for class this semester."에서 "for class"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수업을 의미하는 표현입니다. 하지만 문맥에 따라 여러 수업을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

 

왜 그런가?

영어에서 "class"가 복수로 사용되지 않으면 일반적으로 하나의 수업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class"가 일반적인 의미로 사용될 때, 특히 여러 수업을 등록한 상황에서 "classes" 대신 "class"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시:

"I signed up for class this semester.": 이 문장은 하나의 수업에 등록했다는 의미일 수도 있지만, 전체적인 수업 등록을 의미할 때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표현은 여러 수업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I signed up for classes this semester.": 이 문장은 명확하게 여러 수업에 등록했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I signed up for class this semester."는 문맥에 따라 하나의 수업 또는 여러 수업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지만, "classes"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정확하게 여러 수업을 의미하는 표현입니다. 하지만, 구어에서는 간단하게 표현하는 것이 더 선호되어 진답니다.

 

같은 표현으로 “register(등록하다)”를 사용하여 “I registered for class.”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Sign up”의 차이는 아래와 같습니다.

 

1. I register for class:

"Register"는 공식적이고 공식적인 절차를 거쳐 수업에 등록한다는 느낌이 강합니다.

일반적으로 학교나 학기 시작 전에 제도적이고 행정적인 등록 절차를 의미합니다.

: "I register for class every semester." (저는 매 학기마다 수업에 등록해요.)

 

2. I signed up for class:

"Sign up"은 가입하다 또는 신청하다라는 더 캐주얼하고 비공식적인 느낌이 있습니다.

수업이나 이벤트에 참가 의사를 밝히는 행동을 말할 때 사용됩니다.

: "I signed up for class online." (온라인으로 수업에 신청했어요.)

 

결론적으로,

"Register for class": 공식적인 등록 (학교에서 제공하는 공식적인 수업 등록 절차)

"Sign up for class": 참여 의사 표현 (조금 더 비공식적이고, 개인적으로 신청하는 경우)

따라서 두 표현 모두 "수업에 등록하다"는 의미를 가질 수 있지만, "register"는 더 공식적이고 제도적인 절차를, "sign up"은 비공식적이고 개인적인 신청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938. I packed my school bag.

- 해석: 가방을 챙겼어요.

- 분석: "나는 내 학교 가방을 쌌다" 또는 "학교 갈 준비로 가방을 챙겼다"는 뜻입니다.

 

응용:

"I packed my school bag last night to save time in the morning."
(
아침 시간을 절약하려고 어젯밤에 가방을 챙겼어요.)

 

"After finishing my homework, I packed my school bag with books and supplies."
(
숙제를 끝낸 후, 책과 학용품으로 가방을 챙겼어요.)

 

"Don’t forget to pack your school bag before going to bed."
(
자기 전에 학교 가방 챙기는 거 잊지 마.)

자연스러운 표현:

이 문장은 가방을 정리하거나 필요한 물건을 넣는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사용됩니다.

 

만약 일반적인 "가방을 들고 갔다"는 표현을 말하고 싶다면 "I grabbed my school bag" 또는 "I took my school bag"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939. I registered for class.

- 해석: 수강신청을 했어요.

- 분석: "register for"는 무엇에 등록하거나 신청할 때 사용하는 일반적인 동사구입니다. 여기서 register 는 자동사이며, 타동사로 사용될 때는 바로 뒤에 목적어를 사용해야 한답니다. I registered my son’s birth at the district office. (구청에 아들의 출생신고를 했어요.)

"class"는 보통 한 수업이나 일반적인 수업의 개념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940. I went to school with my friends.

- 해석: 친구랑 학교에 같이 갔어요.

- 분석: "go to school"은 보통 학교에 다니다 또는 학교에 가는 일상적인 활동을 의미합니다. 이 문장은 특정 상황(한 번의 사건)이나 일상적인 행위를 모두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응용:

"I went to school with my friends every morning last year."
(
작년에 매일 아침 친구들과 함께 학교에 갔어요.)

 

"We went to school with our friends on the bus."
(
우리는 친구들과 함께 버스를 타고 학교에 갔어요.)

 

"I went to school with my friends because we live in the same neighborhood."
(
같은 동네에 살아서 친구들과 함께 학교에 갔어요.)

 

941. I was late for class.

- 해석: 수업에 늦었어요.

- 분석: 10 분 늦었다고 하면, I was 10 minutes late for class. 라고 하면 된답니다.

직장은? I was 10 minutes late for work.

 

그럼, 약속 장소에 늦었다고 하면?

영어에서도 약속 장소에 늦었다는 표현을 사용하지만, 구체적으로 "약속 장소"를 나타내는 표현이 한국어처럼 자주 사용되지는 않습니다. 대신 상황에 따라 약속(appointment, meeting)이나 장소(meeting spot, place)와 같은 단어를 사용하여 표현합니다.

 

주요 표현:

"I was late for the appointment."

"약속에 늦었다"라는 일반적인 표현.

"appointment"는 병원, 비즈니스 업무약속에 적합합니다.

 

"I was late to our meeting spot."

"우리가 만나기로 한 장소에 늦었다"는 의미.

캐주얼한 약속 장소를 나타낼 때 적합합니다.

 

"I arrived late at the place we agreed to meet."

약간 길지만 정확하게 "우리가 만나기로 한 장소에 늦게 도착했다"는 의미.

 

"I was late for our meetup."

친구나 지인과의 약속에 더 가볍게 사용할 수 있는 표현.

 

"meetup"을 명사로 사용한 표현입니다. 주로 사람들이 모여서 만나거나 특정 활동을 하기 위해 모인 모임을 의미합니다. "meetup"은 특히 비공식적인 모임이나 사람들의 집합을 나타낼 때 자주 사용됩니다.

 

예시:

"We have a meetup this Saturday."
(
우리는 이번 토요일에 모임이 있어요.)

 

"I’m going to a book club meetup."
(
저는 독서 모임에 갈 거예요.)

 

"The meetup was really fun!"
(
그 모임은 정말 재미있었어요.)

"Meetup"은 이벤트, 모임, 그룹 등을 가리킬 때 자주 사용되며, 특히 온라인 커뮤니티나 취미를 공유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영어에서는 "약속 장소"를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는 이유:

영어에서는 "meeting"이나 "appointment"라는 단어 자체에 "약속 장소"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추가로 "약속 장소(meeting place)"를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아도 의사소통이 가능합니다.

 

결론적으로 영어에서도 약속 장소에 늦었다는 표현은 사용되지만, "약속 장소(meeting place)"를 굳이 강조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상황에 따라 적절한 단어를 선택하면 됩니다.

 

"I was late to the meeting place." "I was late for the meeting place."는 둘 다 문법적으로 맞습니다. 그러나 영어에서는 맥락과 뉘앙스에 따라 더 자연스러운 표현이 결정됩니다. “For the meeting place”는 의미적으로는 어색하답니다.

 

"late to" "late for"의 차이점:

"late to the meeting place"

"to"는 물리적인 장소나 특정 지점을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이 표현은 "약속 장소로 가는 도중에 늦었다"거나 "그 장소에 늦게 도착했다"는 물리적 도착을 강조합니다.

자연스러운 일상 표현으로 자주 사용됩니다.

 

예문:

"I was late to the meeting place because my car broke down."
(
차가 고장 나서 약속 장소에 늦었어요.)

 

"late for the meeting place"

"for"는 약속(행사, 목적 등)에 늦은 상태를 나타냅니다.

이 표현은 장소 자체보다는 약속이나 활동에 늦었음을 더 강조합니다.

"meeting place"와 같이 장소를 구체적으로 말할 때는 다소 어색하게 들릴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I was late to the meeting place"가 더 자연스러운 표현입니다.

장소에 물리적으로 늦게 도착했다는 뉘앙스를 전달합니다.

"I was late for the meeting place"는 엄밀히 말하면 맞지만, 덜 일반적이며 어색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추천 표현:

"I was late to the meeting spot."

"I was late to the place we agreed to meet."

"I arrived late at the meeting place."

 

약속장소에 늦었다라는 우리나라 말을 그대로 번역하기 보다는 그냥 약속에 늦었다는 말을 더 선호한답니다. I was late for the meetup.

 

942. I was in the seventh grade.

- 해석: 7학년이었어요.

- 분석: 미국의 학제는 12년제이며, 각 학년의 구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체로 Elementary School (초등학교), Middle School (중학교), High School (고등학교) 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고등학교에서도 대학처럼 "Freshman" (9학년), "Sophomore" (10학년), "Junior" (11학년), 그리고 "Senior" (12학년)와 같은 용어가 사용됩니다.

 

학년을 "grade"라는 용어로 지칭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9th grade, 10th grade).

 

그래서, 7학년이면 우리나라의 중학교 2학년 정도가 됩니다. 주마다 조금씩 다르므로 현지의 학제를 정확하게 알아야 하겠죠.

 

943. I met my homeroom teacher for the first time.

- 해석: 담임선생님을 처음으로 만났어요.

- 분석: "homeroom teacher"는 담임 선생님을 의미하며, 주로 학교에서 한 반의 학생들을 담당하는 교사를 지칭합니다.

"for the first time"처음으로라는 의미로, 어떤 일을 처음 경험했을 때 사용합니다.

 

 

 

 

 

 

944. I got a syllabus.

- 해석: 한 교과목 안내서를 받았어요.

- 분석: 보통 "syllabus"는 학생이 수업을 시작할 때 교사로부터 받는 "교과목 안내서"입니다.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하면,

"I got the syllabus for my class." — "내 수업의 교과목 안내서를 받았어요"

  

 

 

 

 

Thank you for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