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894-910) 종이에 베이다 영어로 (to get a paper cut)

by 영어 낚는 어부 2025. 1. 8.
반응형

 

(894-910) 종이에 베이다 영어로 (to get a paper cut).mp3
2.91MB

 

 

894. I folded a piece of paper in half.

- 해석: 종이를 한 장 반으로 접었어요.

- 분석: “in half”반으로라는 의미로, 정확히 절반이 되도록 접는 것을 나타냅니다.

 

응용:

"She folded the napkin in half and placed it on the table."
(
그 여잔 냅킨을 반으로 접어 테이블 위에 놓았어요.)

 

"The map was too big, so I folded it in half to fit in my pocket."
(
지도가 너무 커서 주머니에 넣기 위해 반으로 접었어요.)

 

Fold 접다라는 의미는 기초적인 단어라고 여겨집니다. 우리 생활주변에서 서류를 넣는 folder(폴더-컴퓨터 폴더, 파일을 정리해서 넣어 두는 장소)를 흔히 볼 수 있죠.

 

같은 어원에서,

Field 가 나왔습니다. 원래는 접힌 땅에서 유래 했는데, 땅이 구획되어 접혀 있는 모습에서 기원한 것입니다.

 

Manifold 많이 접힌이라는 의미로, 다양하고 복잡한 것을 나타낸답니다. 이건 딱 봐도 many 가 들어있죠.

Her talents are manifold; she is a singer, a dancer, and a skilled painter.
그 여자의 재능은 다양해요. 가수이자 댄서이며 뛰어난 화가입니다.

 

P f 변형되어 나타나기도 합니다. Papa(아빠) father(아버지)의 관계를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ply 접다는 의미입니다.

Imply = im(안으로) + ply(접다) = 암시하다, 함축하다.

 

895. I ripped a piece of paper.

- 해석: 종이를 한 장 찢었어요.

- 분석: “rip”찢다라는 뜻입니다. 쇼핑에서 바가지 씌우다라는 표현으로 “rip off”을 배웠죠. 바가지 쓰면 마음이 찢어지죠….

 

응용:

I ripped a piece of paper to write down the phone number.
(
전화번호를 적으려고 종이 한 조각을 찢었어요.)

 

I ripped a piece of paper out of her notebook.
(
노트에서 종이 한 장을 찢었어요.)

 

He accidentally ripped the paper while opening the envelope.
(
그 사람은 봉투를 열다가 실수로 종이를 찢었어요.)

 

896. I tore a piece of paper.

- 해석: 종이를 한 장 찢었어요.

- 분석: 위 문장 “I ripped a piece of paper.”와 동일한 의미입니다. Tear 눈물, 찢다두 가지 대표적 의미가 있는데, 발음이 다르답니다.

 

1. 눈물(Tear):

발음: /tɪr/ (티어)

의미: 눈에서 나오는 액체.

예문: She shed a tear. (그 여잔 눈물을 흘렸어요.)

 

2. 찢다(Tear):

발음: /ter/ (테어)

의미: 종이, 천 등을 찢는 행위.

예문: I will tear the paper. (내가 그 종이를 찢어 버릴 거야.)

 

897. I crumpled up a piece of paper.

- 해석: 종이를 한 장 구겼어요.

- 분석: “crumple up” "구기다" 또는 "뭉치다"라는 의미로, 보통 종이, , 혹은 부드러운 물체를 작게 뭉칠 때 사용합니다.

 

유사한 표현:

I balled up a piece of paper.
(
종이 한 조각을 동그랗게 말았어요.)

→ "crumple up"과 유사하지만, 동그랗게 구기는 이미지를 강조합니다.

 

I wrinkled a piece of paper.
(
종이를 구겼어요.)
→ "wrinkle"
은 얇은 표면에 주름을 만드는 동작을 묘사합니다.

 

응용:

She crumpled up the note and threw it away.
(
그 여자는 쪽지를 구겨서 버렸어요.)

 

He crumpled up the paper in frustration.
(
그 사람은 짜증이 나서 종이를 구겼어요.)

 

I crumpled up the wrapper and put it in the trash.
(
포장지를 구겨서 쓰레기통에 넣었어요.)

 

898. I rolled up a piece of paper.

- 해석: 종이를 한 장 말았어요.

- 분석: “roll up” "무언가를 둥글게 말다"라는 의미입니다. 보통 종이, , 양탄자 등 말 수 있는 물체에 사용됩니다.

 

She rolled up the poster and put it in the tube.
(
그 여자는 포스터를 말아서 튜브에 넣었어요.)

 

He rolled up his sleeves before starting to work.
(
그 사람은 일을 시작하기 전에 소매를 걷어 올렸어요.)

 

I rolled up the map and tied it with a string.
(
저는 지도를 말아서 끈으로 묶었어요.)

 

899. I got a paper cut.

- 해석: 종이에 베였어요.

- 분석: “paper cut”는 종이로 인해 손이나 피부가 가벼운 상처를 입은 상태를 가리킵니다.

 

유사한 표현:

I cut myself on a piece of paper.
(
나는 종이 한 조각에 베였다.)
→ "cut myself"
는 더 직접적으로 "자기 자신을 베다"를 의미합니다.

 

응용:

Be careful with that paper; I got a paper cut yesterday.
(
그 종이 조심해, 어제 종이로 베였어.)

 

She got a paper cut while sorting the documents.
(
그 여잔 서류를 정리하다가 종이로 베였어요.)

 

I got a paper cut on my finger from the envelope.
(
봉투에서 종이로 손가락을 베었어요.)

 

900. I held the sheets of paper together with a paper clip.

- 해석: 클립 하나로 그 종이를 철했어요.

- 분석: “hold” "잡다" 또는 "고정하다"는 의미로, 여기서는 종이를 고정하는 동작을 나타냅니다.

 

비슷한 표현:

I fastened the sheets of paper with a paper clip.
(
종이 몇 장을 종이 클립으로 고정했어요.)

→ "fasten"은 더 일반적으로 "고정하다"는 의미로 쓰입니다. 자동차 안전벨트를 매다라는 의미로도 사용한답니다. Fasten your seat belt, please!

 

I stapled the sheets of paper together.
(
종이 몇 장을 스테이플러로 고정했어요.)
→ "staple"
은 종이를 스테이플러로 고정할 때 사용됩니다.

 

응용:

He held the documents together with a binder clip.
(
그 여자는 문서들을 바인더 클립으로 고정했어요.)

 

I need to hold these papers together until I can file them.
(
이 종이들을 정리할 때까지 고정해 놓아야 합니다.)

 

He held the stack of papers together with a rubber band.
(
그 사람은 고무줄로 종이 더미를 고정했어요.)

 

901. I used a paper clip.

- 해석: 클립을 하나 사용했어요.

- 분석: “paper clip”은 종이를 함께 묶어 놓은 작은 클립을 의미합니다.

 

응용:

I used a paper clip to keep the documents together.

(문서를 함께 묶기 위해 종이 클립을 사용했어요.)

 

 

 

902. I used Scotch tape.

- 해석: 스카치 테이프로 붙였어요. (스카치 테이프를 사용했어요)

- 분석: "Scotch tape" 3M에서 제조하는 유명한 투명 접착 테이프를 가리키는 상표명입니다. 영어에서는 종종 브랜드명이 일반 명사처럼 사용되기도 합니다. 이 문장은 "스카치 테이프를 사용했다"는 의미입니다

 

 

 

 

 

 

903. I stapled it.

- 해석: 호치키스로 그것을 찍었어요.

- 분석: 호치키스(사람이름)도 상표이름으로 영어로 stapler(스테이플러라고 하며동사 형으로 staple 입니다. Staple 의 어원은 906번에서 상세하게 설명!

 

응용:

I used Scotch tape to seal the envelope.

(봉투를 봉인하기 위해 스카치 테이프를 사용했어요.)

 

 

 

904. I pasted it.

- 해석: 풀로 그것을 붙였어요.

- 분석: "Paste"는 주로 접착제를 사용해 무엇을 붙이는 행동을 나타내며, 보통 종이나 이미지, 스티커 등을 붙일 때 사용됩니다.

 

응용:

I pasted the picture on the wall. (그 사진을 벽에 붙였어요.)

 

I pasted the notes in my notebook. (노트에 메모를 붙였어요.)

 

"Paste"의 어원은 라틴어에서 유래하며, 시간이 지나면서 여러 의미로 확장되었습니다.

 

어원 분석

 

라틴어 "pasta"

"Paste"는 라틴어의 "pasta"에서 유래했습니다.

"Pasta" "반죽" 또는 "반죽물"을 의미하며, 이는 "부드러운 상태로 만들어지는 혼합물"을 나타냅니다.

"Pasta" "반죽하다" 또는 "밀가루와 물을 섞어 만들다"라는 의미의 "pascere"(먹이다, 기르다)에서 파생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탈리아어 "pasta"

"Pasta"는 이탈리아어에서도 "반죽" 또는 "파스타"로 사용되며, "반죽을 만든 것"이라는 뜻을 가집니다.

이탈리아어에서 "paste" "진한 혼합물"을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밀가루나 물을 섞은 반죽을 의미합니다.

 

중세 영어 "paste"

중세 영어에서 "paste" "진한 반죽" 또는 "점착성 있는 물질"을 의미하는 단어로 사용되었습니다. 이는 "반죽 상태로 되어 있는 물질"을 나타내는 의미로 확장되었습니다.

 

또한 "paste"는 나중에 "붙이다", "점착성 있는 물질을 사용하여 고정하다"는 의미로도 사용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붙이는 물질"로서의 의미가 더욱 확고해 졌습니다.

현대 영어에서의 사용

현대 영어에서는 "paste" "점착성 있는 물질"을 의미하며, "붙이다" 또는 "반죽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to paste something on a wall" (벽에 붙이다) "glue paste" ()처럼 쓰입니다.

"paste"는 또한 "파스타"와 같은 음식과 관련하여 사용되기도 합니다.

 

의미의 진화

"Paste"는 원래 "반죽", "점착성 물질"을 의미하며, 현대에서는 "붙이다" 또는 "고정하다"라는 의미로도 확장되었습니다.

또한 "Paste" "파스타"와 같은 음식을 뜻하기도 하며, ""과 같은 점착제를 가리키기도 합니다.

 

한국의 된장은? Soybean paste (콩으로 만든 점착성 있는 물질)

그럼, 고추장은? Chili paste 또는 red pepper paste (고추로 만든 점착성 있는 물질)

 

Tooth paste ? 치약!

 

905. I glued it.

- 해석: 본드로 그것을 붙였어요.

- 분석: glue '아교'를 의미하는 단어입니다아교는 동물의 뼈나 피부에서 추출한 접착제로, 주로 고대와 중세 시대에 사용되었습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본드(synthetic adhesives – 합성 접착제)와 같은 다양한 현대적인 접착제가 아교를 대체하게 되었습니다.

 

"Glue"의 어원은 라틴어에서 비롯되었으며, 점착제나 접착제로서의 의미가 오래전부터 존재해 왔습니다.

 

어원 분석:

 

라틴어:

"Gluten": 라틴어에서 "gluten" "접착제" 또는 "끈적끈적한 물질"을 의미합니다.

이 단어는 동사 "gluere"(붙이다)에서 파생된 명사입니다.

 

"Gluten"은 오늘날에도 단백질의 한 종류(글루텐)로 사용되며, 끈적이는 성질을 연상시킵니다.

 

프랑스어:

라틴어에서 고대 프랑스어로 전파되어 "glu"라는 단어가 생겼습니다. 이 단어는 그대로 "접착제"를 의미합니다.

 

중세 영어:

프랑스어 "glu"가 중세 영어로 유입되어 "glew"로 나타났으며, 이후 철자가 현대 영어의 "glue"로 고정되었습니다.

 

의미 발전:

초기에는 동물성 접착제(: 가죽이나 뼈에서 추출한 물질)를 의미했으나, 오늘날에는 다양한 종류의 접착제(화학 접착제 포함)를 포괄적으로 가리키게 되었습니다.

 

예문:

I used glue to fix the broken vase. (깨진 화병을 고치기 위해 접착제를 사용했어요.)

 

The glue held the pieces together firmly. (접착제가 조각들을 단단히 붙들었다.)

 

주워 갈 수 있는 다른 단어들?

 

1. Gluten: 끈적이는 성질을 가진 단백질.

2. Agglutinate: (접합하다) 또는 (붙이다).

 

 

906. I removed the staple.

- 해석: 그 호치키스 알을 제거 했어요.

- 분석: "호치키스(Hotchkiss)"는 일본어에서 비롯된 표현으로, 스테이플러(stapler)를 가리킵니다. 이 단어는 스테이플러를 대량 생산한 미국 회사 E. H. Hotchkiss Company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여기 "Staple"은 종이를 함께 고정시키는 작은 금속 클립을 의미합니다.

“staple”은 동사와 명사로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명사로는 스테이플(호치키스 알), 주요 물품, 주식(주로 먹는 음식)을 의미하고,

동사로는 스테이플을 사용하여 고정하다”, “기본적인 요소로 삼다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Staple 명사 예문:

스테이플 (종이 고정용 핀):

I need to buy more staples for the stapler. (스테이플러용 스테이플을 더 사야 해요.)

 

주요 품목 또는 기본적인 물품:

Rice is a staple food in many countries. (쌀은 많은 나라에서 주식이다.)

 

Staple 동사 예문:

스테이플을 사용하여 고정하다:

I stapled the papers together. (종이들을 스테이플로 고정했어요.)

 

기본적인 요소로 삼다:

The region staples its economy on agriculture. (그 지역은 경제를 농업에 의존한다.)

 

Staple 의 어원을 보면, “기본적인 요소를 삼다등의 좀 생뚱 맞은 표현이 왜 있는지 알 수 있답니다.

 

"Staple"의 어원은 고대 영어에서 유래한 단어로, 그 의미가 발전해 왔습니다.

어원 분석:

"Staple"은 고대 영어 "stapol"에서 유래한 단어로, 이 단어는 "기둥" 또는 "지지대"를 의미했습니다. “Stand(서다) + pole(기둥) = 서 있는 기둥을 상상해 보세요!!!

 

라틴어 "stabilis"에서 유래한 "stapol" "안정된" 또는 "고정된"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영어의 stable 안정된의 의미이죠.

 

이후 중세 영어에서는 "staple" "물건을 고정하는 금속 기계나 도구"를 의미하게 되었고, 그 후 "종이를 고정하는 작은 금속 클립"의 의미로 확장되었습니다. 큰 기둥이 작은 금속 클립이 되어버렸지만, 뭔가를 지탱해준다는 기본적인 느낌은 통하는 것 같습니다.

 

현대적 의미:

오늘날 "staple"은 종이를 고정하는 작은 금속 핀을 의미하며, 또한 "주요 제품"이나 "핵심적 요소"로도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staple food" "주식"이나 "기본적인 음식"을 의미합니다. 건물을 지탱하는 기둥처럼, 기본적으로 우리가 먹는 음식의 핵심 즉 주로 먹는 음식이라는 의미로 통하는 거죠.

 

예시:

I need a staple to hold the papers together. (종이를 함께 고정할 스테이플이 필요해요.)

 

Rice is a staple food in many countries. (쌀은 많은 나라에서 주식이다.)

 

결론적으로,

"staple"은 원래 "고정시키는 기둥"의 의미에서 발전하여 오늘날 "스테이플러의 핀"을 의미하게 되었습니다.

 

907. I punched holes in the paper to put it in a binder.

- 해석:  바인더에 철하기 위해서 그 종이를 펀치로 찍었어요.

- 분석: "punched holes"종이에 구멍을 뚫었다는 뜻으로, 펀치(paper punch)를 사용해 바인더에 끼울 수 있도록 만든다는 의미입니다.

"to put it in a binder"은 구멍을 뚫은 이유를 설명하며, 바인더에 넣기 위해서라는 뜻입니다.

 

유사한 표현은,

I used a hole punch to make holes in the paper for a binder.
(
바인더를 위해 종이에 구멍을 뚫기 위해 펀치를 사용했어요.)

 

I hole-punched the paper to store it in a binder.
(
바인더에 보관하기 위해 종이를 펀치로 구멍 냈어요.)

 

908. I used a 3-hole punch.

- 해석: 구멍 세 개짜리 펀치를 사용했어요.

- 분석: "3-hole punch"는 하나의 복합 명사이므로 하이픈(-)을 사용해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유사한 표현으로는,

I punched three holes in the paper with a 3-hole punch.
(3
홀 펀치를 사용해 종이에 세 개의 구멍을 뚫었어요.)

 

 

909. I filed the documents.

- 해석: 그 서류를 파일에 철했어요.

- 분석: "file"는 여기서 "서류를 정리하여 파일이나 폴더에 보관하다"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이 밖에도 "file"는 명사로는 "파일, 서류철"을 의미합니다. File 동사로 줄로 다듬다라는 의미도 있는데, 어원을 보면 쉽게 연관 시킬 수 있답니다.

 

일단,

 

유사한 표현은,

I organized the documents in a file.
(
문서들을 파일에 정리했어요.)

 

I stored the documents in a folder.
(
문서들을 폴더에 보관했어요.)

 

I put the documents in a file.
(
문서들을 파일에 넣었어요.)

 

"File"의 어원은 문서 정리나 데이터 저장과 관련된 현대적인 의미로 발전하기까지 여러 단계를 거쳤습니다.

 

어원 분석:

고대 노르드어 및 고대 영어

고대 영어: fēol

"문서 보관소" 또는 ""과 같은 물리적인 보관 도구를 의미.

이는 독일어계 언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초기에는 조직적으로 물건을 정렬하거나 정리하는 것을 가리켰습니다.

 

라틴어

"filum": "" 또는 "실처럼 연결된 것"을 뜻함.

서류를 정리하거나 묶는 모습이 실로 연결된 것처럼 보인다는 데서 비롯됨.

이 단어는 중세 프랑스어를 통해 영어에 유입되었습니다.

 

중세 프랑스어

"file": "", "행렬", 또는 "정리된 형태"를 의미.

문서나 물건을 정렬하거나 보관하는 도구로 발전.

 

현대적 의미:

15세기 이후: 문서나 물건을 정렬하거나 저장하는 도구를 가리키는 명사로 정착.

19세기: 동사로 사용되어 "서류를 철하다" 또는 "정리하다"는 뜻으로 확장.

20세기: 컴퓨터 기술이 발달하면서, "데이터 파일"이라는 의미로 사용.

 

함께 주어 담을 수 있는 단어는?

 

1. Filament(전구의 필라멘트): "가느다란 실 " (라틴어 filum- “에서 유래).

 

2. Profile: 사람의 프로필(특정 정보를 정리한 것), 옆 모습, 개요, 윤곽 등.  “Pro-“앞으로, 앞에를 의미하고, file 선을 긋다또는 실을 꿰다를 의미하는 라틴어 filum()에서 유래하여 앞으로 그린 선 사물의 윤곽이나 형상을 묘사하는 개념이라, “윤곽, 옆모습(앞 모습은 다 동그라미..니깐 옆 모습을 보면 윤곽이 드러나니…), 사물이나 사물의 개요, 특징의 의미로 확대 되었다고 합니다.

:

The report profiles the company's achievements over the past decade.
보고서는 지난 10년간의 회사 성과를 개괄하고 있다.

 

The detective profiled the suspect based on the evidence.
형사는 증거를 토대로 용의자의 특성을 분석했다.

 

He profiled the mountain range with a few quick strokes of his pencil.
그 사람은 연필로 몇 번의 빠른 선을 그어 산맥의 윤곽을 표현했어요.

 

3. Defile: ~을 더럽히다, ~을 모독하다, 좁은 길, 일렬 종대 행진

 

이 단어는 의미들이 어떻게 연결되었길래 서로 너무 생뚱맞을까요?

 

이 단어는,

 

"de-": 부정적인 의미를 가진 접두사로, "아래로", "떨어지게" 또는 "없애다"의 뜻이 있습니다.

"filum": "" 또는 ""을 의미하는 라틴어 단어입니다.

 

따라서, "defilare"라는 라틴어 동사는 "de-" + "filum"이 결합된 형태로, 원래 의미는 "줄을 없애다" 또는 "정리되지 않게 하다"였습니다. 이 의미는 점차 "더럽히다", "오염시키다"라는 뜻으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Defile"은 중세 영어로 들어오면서 "더럽히다", "손상시키다" 또는 "침범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이는 물리적으로 또는 비유적으로 무언가를 "정리되지 않게 하거나 깨뜨리는" 행위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훼손하다", "불결하게 하다", "불명예스럽게 하다"로 해석됩니다.

 

Defile 좁은 통로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군대나 행령이 대형을 갖추어 행진하다, 좁은 통로를 만나면, 대형을 없애고, 일렬로 지나가야 했기에 자연스럽게, “좁은 통로, 좁은 길의 의미를 가지게 된 것입니다. 그래서, “일렬 종대 행진의 의미도 있는 것입니다. 단어가 만들어진 과정을 보면, 그 당시 사람들의 생각을 알 수 있고, 단어의 의미도 잘 이해할 수 있답니다.

 

예문:

The forest was defiled by illegal logging and pollution.

그 숲은 불법 벌목과 오염으로 더럽혀졌다.

 

The soldiers had to march through a narrow defile to reach the enemy camp.

군인들은 적 캠프에 도달하기 위해 좁은 협곡을 지나야 했다.

 

The troops were forced to defile through a narrow pass between the mountains.

군대는 산들 사이의 좁은 통로를 일렬로 지나가야 했다.

  

910. I put it in the filing cabinet and organized it.

- 해석: 그것을 서류함에 넣고 정리 했어요.

- 분석: “organize” 대신에 “file”을 넣어도 자연스럽 표현이 된답니다. 앞에 filing 이 있으니, organize 로 사용하였답니다.

 

 

 

 

 

 

 

Thank you for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