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484-499) 영어로 자동차 똥침? (tailgate)

by 영어 낚는 어부 2024. 11. 2.
반응형

 

(484-499) 영어로 자동차 똥침 (tailgate).mp3
2.91MB

 
 

484. I stayed in the lane.
-해석: 제 차선을 유지했어요.
-분석: 주로 차선을 벗어나지 않고 주행 규칙을 잘 지켰다는 의미로 쓰이며, 예를 들어 차선 변경이 금지된 도로, 도로 상태가 복잡한 구간에서 안정적으로 운전했음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응용:
There was heavy traffic, but I stayed in the lane to avoid any issues.
(차가 많았지만, 문제를 피하기 위해 한 차선을 유지했어.)
 
또한 비유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데, 업무나 일상생활에서 본인의 역할을 벗어나지 않고 맡은 바를 충실히 수행한다는 뜻으로 쓰이기도 합니다.
 
During the meeting, I stayed in my lane and only discussed the topics within my expertise.
(회의 중에 내 전문 분야에 한해서만 이야기했어.)
  

485. I left enough room between my car and the car in front.
-해석: 앞차와의 간격을 충분히 남겨 뒀어요.
-분석: “room” 은 '방'이라는 의미도 있지만, '공간'이라는 말로도 많이 사용한답니다.
 
응용:
In rainy weather, I always leave extra room between my car and the car in front to avoid accidents.
(비 오는 날에는 사고를 피하기 위해 앞차와 더 많은 거리를 유지해.)
 
이 표현도 비유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황에서 충분한 여유를 두어 다른 사람이나 일에 무리하지 않고 여유를 두고 대비한다는 의미로 쓰일 수 있습니다.
 
He left enough room in his schedule to handle any unexpected tasks that might come up.
(그는 예상치 못한 업무에 대처할 수 있도록 일정에 여유를 두었어.)
 

486. I tailgated the car in front.
-해석: 앞차를 바짝 따라 갔어요.
-분석: 보통 안전한 주행거리보다 훨씬 가까운 거리에서 따라가는 행동을 뜻하며, 이는 위험한 운전 습관이죠.
 
응용:
The driver behind me was tailgating, so I changed lanes to let them pass.
(뒤에 있던 운전자가 바짝 따라와서 내가 차선을 바꿔 지나가도록 했어.)
I accidentally tailgated the car in front during rush hour, which made the other driver uncomfortable.
(출퇴근 시간에 실수로 앞차에 바짝 붙어서 따라가서 상대 운전자가 불편해했어.)
It’s illegal to tailgate other cars on the highway because it can lead to serious accidents.
(고속도로에서 다른 차를 바짝 따라가는 것은 불법이며 심각한 사고를 초래할 수 있어.)
 
"Tailgate"의 어원은 두 가지 단어의 결합에서 나왔습니다: "tail" (꼬리)와 "gate" (문).
 
1. "Tail"은 고대 영어 tægel에서 유래하여 동물이나 물체의 끝부분, 즉 꼬리를 의미했습니다.
2. "Gate"는 고대 영어 geat에서 유래하여 문이나 개구부를 의미했습니다.
 
초기 의미: 이 단어는 원래 마차나 차량 뒤쪽에 있는 문이나 개구부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으며, 특히 트럭이나 밴 뒷부분에 있는 내리거나 접을 수 있는 문을 뜻했습니다.
 
현대적 의미: 1950년대 이후, "tailgate"는 특히 차량 주행 시 앞차에 너무 가까이 붙어서 운전하는 행동을 의미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차량의 "꼬리" 부분(즉, 뒤)을 바짝 따라간다는 비유에서 온 것입니다. 
 

487. I maintained a safe distance between my car and the car ahead.
-해석: 앞차와의 간격을 충분히 유지 했어요.
-분석: “maintain” 은 “유지하다”이고, “distance” 는 “거리, 간격” 입니다.
 
응용:
Even on the highway, I always maintained a safe distance between my car and the car ahead.
(고속도로에서도 항상 앞차와 안전 거리를 유지했어.)
In foggy conditions, it’s especially important to maintain a safe distance between your car and the car ahead to avoid collisions.
(안개가 낀 상황에서는 충돌을 피하기 위해 앞차와 안전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특히 중요해.)
I maintained a safe distance to ensure I had enough time to react if the car ahead stopped suddenly.
(앞차가 갑자기 멈추더라도 충분히 반응할 수 있도록 안전 거리를 유지했어.)
 
비유적으로는 타인과의 관계에서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며 간섭하지 않고 존중하는 태도를 나타낼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개인적인 경계를 지키면서도 협력하는 상황을 표현할 때 적합합니다.
 
In my new job, I try to maintain a safe distance from colleagues to respect their boundaries.
(새로운 직장에서 동료의 경계를 존중하기 위해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려고 해.)
 
"maintain"이라는 단어는 다음과 같은 어원적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어원 분석
1. 어원: "maintain"은 라틴어 "manu tenere"에서 유래했으며, 여기서 "manu"는 "손으로"라는 의미를, "tenere"는 "잡다" 또는 "유지하다"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이 두 단어가 결합하여 '손으로 잡고 유지하다'는 뜻이 형성되었습니다.
 
2. 형성: 중세 영어의 "maintain"은 고대 프랑스어 "maintenir"에서 파생된 것으로, 이 또한 라틴어 "manu tenere"에서 온 것입니다. 이 단어는 14세기 중반부터 영어에 도입되었습니다.
 
3. 의미 변화: 처음에는 물리적으로 어떤 것을 '유지하다'는 의미로 사용되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지속하다', '지키다', '주장하다' 등 더 넓은 의미로 확장되었습니다.
 
현대적 의미
- Maintain는 '어떤 것을 지속하거나 계속하다', '유지하다', '보호하다', '관리하다' 등의 뜻으로 사용됩니다.
 
예문
1. It is important to maintain a balanced diet for good health. 
   (좋은 건강을 위해 균형 잡힌 식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Tain”은 “잡다, 유지하다”라는 의미로, 이 어근을 포함하는 다른 단어들을 주워 가시죠^^.
 
1. Obtain
- 어원: 라틴어 "obtenere"에서 유래. "ob-"는 "앞에", "tenere"는 "잡다"의 의미.
- 의미: 얻다, 획득하다.
 
2. Detain
- 어원: 라틴어 "detinere"에서 유래. "de-"는 "아래로", "tenere"는 "잡다"의 의미.
- 의미: 구금하다, 붙잡다.
 
3. Sustain
- 어원: 라틴어 "sustinere"에서 유래. "sus-"는 "위에서", "tenere"는 "잡다"의 의미.
- 의미: 지탱하다, 유지하다.
 
4. Contain
- 어원: 라틴어 "contenere"에서 유래. "con-"은 "함께", "tenere"는 "잡다"의 의미.
- 의미: 포함하다, 담다.
 
5. Retain
- 어원: 라틴어 "retinere"에서 유래. "re-"는 "다시", "tenere"는 "잡다"의 의미.
- 의미: 유지하다, 기억하다.
 
6. Attain
- 어원: 라틴어 "attingere"에서 유래. "ad-"는 "향하여", "tingere"는 "닿다"의 의미.
- 의미: 달성하다, 이르다.
 
7. Pertaining
- 어원: 라틴어 "pertinere"에서 유래. "per-"는 "완전히", "tenere"는 "잡다"의 의미.
- 의미: 관련된, 속하는.
 
이 단어들은 "tenere"의 기본 의미와 관련되어 있으며, 각각의 단어가 시간이 지나면서 다른 의미로 확장되었습니다.
 
 
"distance"라는 단어의 어원 분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어원 분석
1. 어원: "distance"는 라틴어 "distantia"에서 유래하였으며, 이 단어는 "distantem"의 명사형입니다. 여기서 "distantem"은 "멀리 떨어져 있는"이라는 의미를 가진 "distant-"의 변형입니다.
 
2. 형성: 라틴어 "distantia"는 "dis-"(떨어져)와 "stare"(서다)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dis-"는 분리 또는 멀리 떨어짐을 의미하고, "stare"는 '서다'라는 뜻입니다. 즉, "distance"는 본래 '멀리 서 있다'는 의미에서 유래되었습니다.
 
3. 중세 영어: "distance"는 14세기 중반에 중세 영어로 도입되었으며, 당시의 의미는 주로 물리적인 거리뿐만 아니라, 비유적으로도 사용되었습니다.
 
현대적 의미
- Distance는 '거리', '간격', '사이'를 의미하며, 물리적인 거리뿐만 아니라 시간적, 감정적 거리에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예문
1.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ities is about 100 miles.
   (두 도시 사이의 거리는 약 100마일이다.)
 
2. He maintained a distance from his colleagues to avoid getting too involved in office politics. 
   (그는 사무실 정치에 너무 얽히지 않기 위해 동료들과의 거리를 유지했다.)
 

488. I turned sharply.
-해석: 급 회전을 했어요.
-분석: 도로 주행 중에 핸들을 급격하게 꺾었다는 의미로, 방향을 빠르고 강하게 바꿨을 때 사용합니다. 이 표현은 흔히 급회전이나 위급 상황에서의 순간적인 방향 전환을 묘사할 때 쓰입니다.
 
응용:
I had to turn sharply to avoid hitting the car that suddenly stopped in front of me.
 (앞에서 갑자기 멈춘 차를 피하려고 급하게 핸들을 꺾었어.)_
 
When I missed the exit, I turned sharply to get back on the right road.
 (출구를 놓쳐서 다시 제대로 된 도로로 가려고 급히 방향을 틀었어.)_
 
The driver turned sharply at the last moment to avoid a pothole.
 (운전자가 마지막 순간에 구덩이를 피하려고 급하게 방향을 틀었어.)_
 
비유적으로는, 사람의 의견이나 계획, 생각이 갑작스럽게 바뀌었을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 가지 결정을 고수하다가 갑작스러운 전환이나 변화가 있을 때 쓰일 수 있습니다.
             
After months of planning, the company turned sharply on its strategy and adopted a completely new approach.
   (몇 달 동안 계획을 세운 후, 회사는 전략을 갑작스럽게 전환하여 완전히 새로운 접근 방식을 채택했어.)
 
Her mood turned sharply when she heard the disappointing news. 
  (실망스러운 소식을 듣고 그녀의 기분이 급격히 변했어.)
 

489. I made a sharp turn.
-해석: 급회전했어요.
-분석: 도로에서의 급격한 회전을 나타냅니다. 이 표현은 예상치 못한 장애물을 피하거나, 좁은 도로나 곡선이 많은 길에서 흔히 사용됩니다.
 
응용:
When I saw the deer on the road, I made a sharp turn to avoid it.
(도로에 사슴이 있는 걸 보고 피하려고 급하게 방향을 틀었어.)
 
Driving through the mountains required making a lot of sharp turns. 
  (산길을 운전하다 보니 급하게 방향을 바꾸는 회전이 많았어.)
 
I made a sharp turn to get back on the right road after missing the exit.
  (출구를 놓쳐서 올바른 길로 돌아가려고 급하게 방향을 틀었어.)
 

490. I looked in the rearview mirror.
-해석: 백미러를 봤어요.
-분석: 운전 중에 후방을 확인하기 위해 백미러를 봤다는 뜻입니다.
"Back mirror"라는 표현은 일반적으로 영어에서 사용되지 않으며, 영어로 자동차의 후면 거울을 지칭할 때 "rearview mirror"라는 표현이 더 적절합니다. "Back mirror"는 정확한 용어가 아니며, 영어 사용자는 이를 "rearview mirror" 또는 단순히 "mirror"라고 표현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응용:
Before changing lanes, I looked in the rearview mirror to make sure it was safe.
(차선을 바꾸기 전에 안전한지 확인하려고 백미러를 봤어.)
As I was reversing, I kept looking in the rearview mirror to avoid any obstacles.
(후진하면서 장애물을 피하려고 계속 백미러를 봤어.)
When I saw the flashing lights in my rearview mirror, I realized there was an emergency vehicle approaching.
(백미러에 깜빡이는 불빛이 보여서 응급차가 접근하고 있다는 걸 알았어.)
 

491. I looked at the side view mirror.
-해석: 사이드 미러를 봤어요.
-분석: 자동차의 측면 거울을 보았다는 뜻으로, 보통 주변 상황이나 다른 차량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응용:
Before changing lanes, I looked at the side view mirror to check for any cars beside me.
   (차선을 바꾸기 전에 옆에 있는 차가 있는지 확인하려고 측면 거울을 봤어.)
 
I adjusted the side view mirror to get a better view of the traffic behind me.
   (뒤의 교통 상황을 더 잘 보기 위해 측면 거울을 조정했어.)
 
As I parked the car, I frequently looked at the side view mirror to avoid hitting the curb. 
   (차를 주차할 때 연석에 부딪히지 않도록 측면 거울을 자주 봤어.)
 
비유적으로는 주변 사람이나 상황을 관찰하고 확인하는 상황을 표현할 때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In making decisions, it's important to look at the side view mirror and consider how your choices affect those around you.
   (결정을 내릴 때, 주변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측면 거울을 보는 것이 중요해.)
 

492. I turned my head and looked behind.
-해석: 고개를 돌려 뒤를 봤어요.
-분석: 몸을 돌려서 뒤쪽을 쳐다보았다는 의미로, 일반적으로 주변 상황이나 뒤에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이 문장은 자동차 운전 중이나 다른 상황에서 뒤를 확인하는 동작을 묘사할 때 쓰입니다.
 
응용:
I turned my head and looked behind to see if anyone was following me.
   (내가 따라오는 사람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머리를 돌려 뒤를 봤어.)
 
2. While walking in the park, I turned my head and looked behind to catch a glimpse of the sunset.  
   (공원에서 걷다가 석양을 보기 위해 머리를 돌려 뒤를 봤어.)
 
3. Before making a U-turn, I turned my head and looked behind to ensure it was safe. 
   (유턴을 하기 전에 안전한지 확인하기 위해 머리를 돌려 뒤를 봤어.)
 
비유적으로는 과거를 되돌아보거나 자신의 선택이나 행동에 대해 반성하는 상황을 표현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In my career, I've often turned my head and looked behind to learn from my mistakes.
 (내 경력에서 나는 종종 내 실수에서 배우기 위해 과거를 되돌아봤어.)
 
As we move forward in life, it's important to turn our heads and look behind to understand how we've grown. 
  (우리가 인생을 살아가면서 얼마나 성장했는지 이해하기 위해 과거를 돌아보는 것이 중요해.)
 

493. I rolled up the window.
-해석: 창문을 올렸어요.
-분석: 일반적으로 창문을 닫거나, 바람이나 소음으로부터 보호받기 위해 창문을 올리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응용:
As it started to rain, I quickly rolled up the window to keep the inside of the car dry.
(비가 오기 시작하자, 차 안이 젖지 않도록 창문을 재빨리 올렸어.)
When I heard the loud music outside, I rolled up the window to block out the noise.
(밖에서 들리는 시끄러운 음악 소리를 막으려고 창문을 올렸어.)

 
 

494. I rolled down the window.
-해석: 창문을 내렸어요.
-분석: 자동차의 창문을 내렸다는 뜻입니다. 일반적으로 바람을 쐬거나 신선한 공기를 들이기 위해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응용:
On a hot day, I rolled down the window to let in some fresh air. 
   (더운 날에 신선한 공기를 들이기 위해 창문을 내렸어.)
 
As we drove through the scenic route, I rolled down the window to enjoy the beautiful views. 
   (경치 좋은 길을 따라 운전하면서 아름다운 풍경을 즐기기 위해 창문을 내렸어.)
 
When I stopped at the traffic light, I rolled down the window to talk to my friend who was walking by. 
   (신호등에서 멈췄을 때 지나가는 친구와 대화를 나누기 위해 창문을 내렸어.)
 
 

495. I turned on the heater.
-해석: 히터를 틀었어요.
-분석: 난방기를 켰다는 뜻으로, 일반적으로 추운 날씨에 따뜻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이 문장은 집, 사무실, 또는 자동차에서 난방을 시작하는 상황을 묘사할 때 쓰입니다.
 
응용:
As the temperature dropped outside, I turned on the heater to warm up the room. 
  (밖의 기온이 떨어지자 방을 따뜻하게 하기 위해 난방기를 켰어.)
 
When I got into the car, I immediately turned on the heater to shake off the chill. 
   (차에 탔을 때, 추위를 떨쳐내기 위해 바로 난방기를 켰어.)
 
Before my guests arrived, I turned on the heater to make sure the house was cozy. 
   (손님이 오기 전에 집이 아늑해지도록 난방기를 켰어.)
 

496. I turned off the heater.
-해석: 히터를 껐어요.
-분석: 난방기를 껐다는 뜻.
 
응용:
After a few hours, I turned off the heater since the room was warm enough.
   (몇 시간 후, 방이 충분히 따뜻해져서 난방기를 껐어.)
 
Before going to bed, I turned off the heater to save energy during the night.
   (자기 전에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난방기를 껐어.)
 

497. I turned up the heater.
-해석: 히터온도를 올렸어요.
-분석: 난방기를 더 세게 했다는 뜻.
 
응용:
As the temperature dropped in the evening, I turned up the heater to stay warm.
   (저녁에 기온이 떨어지자 따뜻하게 지내기 위해 난방기를 더 세게 했어.)
 
I turned up the heater in my office because I was feeling cold while working. 
   (일할 때 춥게 느껴져서 사무실의 난방기를 더 세게 했어.)
 

498. I turned down the heater.
-해석: 온도를 낮추었어요.
-분석: 난방기를 약하게 했다는 뜻으로, 주로 방이 너무 덥거나 더 이상 따뜻함이 필요하지 않을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응용:
As the room became too hot, I turned down the heater to make it more comfortable.
   (방이 너무 더워지자, 더 편안하게 만들기 위해 난방기를 약하게 했어.)
 
When I started to feel warm, I turned down the heater to save energy.
   (따뜻함을 느끼기 시작했을 때,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난방기를 약하게 했어.)
 
After a while, I turned down the heater because the sun was shining through the window. 
   (한동안 지나고 나서, 창문을 통해 태양이 비치자 난방기를 약하게 했어.)
 

499. I found a parking space.
-해석: 주차공간을 (하나) 찾았어요.
-분석: “a parking lot”은 주차장이고, “a parking space”는 하나의 주차공간이랍니다.
 
응용:
After searching for a while, I finally found a parking space near the entrance of the mall. 
   (잠시 찾아본 후, 드디어 쇼핑몰 입구 근처에 주차 공간을 찾았어.)
 
I was relieved when I found a parking space because the event was about to start. 
   (행사가 곧 시작될 예정이라 주차 공간을 찾아서 안도했어.)
 
While driving around the city, I was lucky to find a parking space right in front of the restaurant. 
   (도시를 운전하며 돌아다니다가, 식당 바로 앞에 주차 공간을 찾아서 운이 좋았어.)
 
 
Thank you for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