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452-467) 영어로 새치기 하다? (cut in)

by 영어 낚는 어부 2024. 10. 31.
반응형

 

(452-467) 영어로 새치기 하다 (cut in).mp3
2.91MB

 

452. I put my foot on the gas.
-해석: 악셀을 밝았어요.
-분석: accelerator 라고 해도 되지만 그냥 구어로 gas 라고 한답니다. 기름을 더 집어넣는다는 의미가 되겠죠.
실제 차량 운전 맥락에서 속도를 높이기 위해 가속 페달을 밟는 동작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또한 비유적으로 일이나 목표를 향해 속도를 내거나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상황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응용:
1. 실제 운전 상황:
   - "The light turned green, so I put my foot on the gas and started moving." 
     (신호등이 초록불로 바뀌어서 가속 페달을 밟고 출발했다.)
 
2. 비유적 사용 (일이나 프로젝트 속도를 높일 때):
   - "We need to finish this project by tomorrow, so let’s put our foot on the gas." 
     (내일까지 이 프로젝트를 마쳐야 하니까 속도를 좀 내자.)
 
 

453. I stepped on the brake.
-해석: 브레이크를 밟았어요.
-분석: 주로 차량을 멈추거나 속도를 줄이기 위해 브레이크를 밟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응용:
1. 실제 운전 상황:
   - "A car suddenly stopped in front of me, so I stepped on the brake to avoid a collision." 
     (내 앞에 차가 갑자기 멈춰서 충돌을 피하려고 브레이크를 밟았다.)
 
2. 비유적 사용 (일이나 계획을 중단하거나 속도를 늦출 때):
   - "The company decided to step on the brake with the new project due to budget concerns." 
     (회사는 예산 문제로 새 프로젝트를 중단하기로 했다.)
 

454. I pulled the emergency brake.
-해석: 비상브레이크를 올렸어요.
-분석: 보통 영국에서는 핸드브레이크(handbrake)라고 하는데, 비상용이기 때문에 비상브레이크라고 한답니다. 그리고, 미국인들은 핸드브레이크를 언덕이 아닌 이상은 잘 사용하지 않는 답니다. 한국사람들은 핸드브레이크를 항상 사용하는 모습을 보고, 미국인들은 좀 이상하게 생각한답니다.
 
응용:
1. 긴급 상황:
   - "When I realized the brakes weren’t working, I pulled the emergency brake to stop the car."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는 것을 깨닫고, 차를 멈추기 위해 비상 브레이크를 당겼다.)
 
2. 비유적 사용 (어떤 일이나 상황을 갑작스럽게 중단할 때):
   - "The team had to pull the emergency brake on the project due to unforeseen issues." 
     (예기치 않은 문제로 팀이 프로젝트를 급히 중단해야 했다.)
 

455. I stepped on the clutch.
-해석: 클러치를 밟았어요.
-분석: 주로 수동 변속기 차량에서 기어를 변경하기 위해 사용하는 클러치 페달에 대한 설명입니다. 요즘은 대부분 다 자동이라 사실 필요 없는 문장이기도 합니다.
 
응용:
1. 수동 변속기 차량 운전 상황:
   - "When I approached the stop sign, I stepped on the clutch to change gears." 
     (정지 신호에 다가가면서 기어를 변경하기 위해 클러치 페달을 밟았다.)
 
   - "I stepped on the clutch and shifted into first gear to start moving." 
     (차를 움직이기 위해 클러치 페달을 밟고 1단으로 기어를 바꿨다.)
 
참고로, crutch 는 '목발'입니다. 보통 쌍으로 사용하니 crutches.
 
 

456. I changed gears.
-해석: 기어를 바꿨어요.
-분석: 수동 변속기 차량을 운전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기어를 변경하는 것은 차량의 속도나 주행 상황에 따라 적절한 기어를 선택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응용:
1. 수동 변속기 차량 운전:
   - "As I accelerated, I changed gears to keep up with the traffic." 
     (속도가 증가하자 교통에 맞추기 위해 기어를 변경했다.)
 
- "I changed gears smoothly while driving up the hill." 
     (언덕을 올라가면서 부드럽게 기어를 변경했다.)
 

457. I shifted gears.
-해석: 기어변경을 했어요.
-분석: "shift"라는 동사는 기어를 조정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표현.
 
응용:
1. 수동 변속기 차량 운전:
   - "As I approached the turn, I shifted gears to prepare for the curve." 
     (커브를 준비하기 위해 회전할 때 기어를 바꿨다.)
 
- "I shifted gears smoothly while driving on the highway." 
     (고속도로에서 운전하면서 부드럽게 기어를 바꿨다.)
 
"Shift"의 어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어원적 구성:
   - Old English: "scyftan"에서 유래하며, 이는 "이동하다" 또는 "옮기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 Middle English: "shifte"라는 형태로 발전하여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2. 어원적 변화:
   - Proto-Germanic**: "skeftō"에서 파생되어, "to move" 또는 "to exchange"의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 이 단어는 다른 게르만 언어에서도 유사한 형태로 나타나며, 그 의미는 "이동하다" 또는 "교환하다"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3. 의미 변화:
   - "Shift"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리적 이동, 기계적 변화, 그리고 사회적, 개념적 변화까지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되게 되었습니다.
 
4. 사용 예:
   - "I need to shift my focus to a different task." (다른 작업으로 초점을 옮길 필요가 있다.)
   - "She shifted the car into a lower gear." (차를 낮은 기어로 바꿨다.)
 
 

458. I changed lanes.
-해석: 차선을 변경 했어요.
-분석: 주로 도로에서 차량이 다른 차선으로 이동할 때 사용됩니다.
 
응용:
1. 도로 운전 상황:
   - "I changed lanes to avoid the traffic jam ahead." 
     (앞의 교통 체증을 피하기 위해 차선을 변경했다.)
 
2. 안전한 운전 습관:
   - "Before changing lanes, I checked my mirrors to ensure it was safe." 
     (차선을 변경하기 전에 안전한지 확인하기 위해 거울을 점검했다.)
 

459. I passed the car in front.
-해석: 앞차를 추월했어요.
-분석: 도로에서 다른 차량을 지나치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응용:
1. 도로 운전 상황:
   - "I passed the car in front to overtake it safely." 
     (안전하게 추월하기 위해 앞에 있는 차를 지나쳤다.)
 
2. 주행 경험:
   - "As I accelerated, I passed the car in front without any issues." 
     (가속하면서 아무 문제 없이 앞에 있는 차를 지나쳤다.)
 

460. I cut in.
-해석: 새치기 했어요.
-분석: 차량이나 사람 사이에 끼어들었다는 의미로, 주로 교통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응용:
1. 도로 운전 상황:
   - "I cut in front of another car to get into the turn lane." 
     (회전가능 차선으로 들어가기 위해 다른 차 앞에 끼어들었다.)
 
2. 사람들 사이에서:
   - "I cut in during the conversation because I had an important point to make." 
     (중요한 의견을 말하기 위해 대화 중에 끼어들었다.)
Please don’t cut in while I’m talking! “내가 말할 때 좀 끼어 들지마!”
 

461. I put on the emergency lights.
-해석: 비상등을 켰어요.
-분석: 직역하면 “비상등을 입었다”가 되겠죠.
 
응용:
1. 교통 상황:
   - "When I saw the accident ahead, I put on the emergency lights to warn other drivers." 
     (앞에 사고를 보고 다른 운전자들에게 경고하기 위해 비상등을 켰다.)
 
2. 차량 정차 상황:
   - "I put on the emergency lights when I had to stop suddenly on the side of the road." 
     (도로 옆에 갑자기 정차해야 할 때 비상등을 켰다.)
 
 

462. I used the turn-signal.
-해석: 깜박이를 켰어요.
-분석: 차선 변경이나 회전을 위해 방향 지시등을 켰다는 의미.
응용:
 
1. 도로 운전 상황:
   - "Before changing lanes, I used the turn signal to let other drivers know my intention." 
     (차선 변경 전에 다른 운전자에게 내 의도를 알리기 위해 방향 지시등을 켰다.)
 
2. 안전한 운전 습관:
   - "I always use the turn signal when making a turn at intersections." 
     (교차로에서 회전할 때 항상 방향 지시등을 켠다.)
 
참고: "turn-signal" 대신 "turn signal"로 쓸 수도 있으며, 일반적으로 두 가지 표현 모두 통용됩니다.
 

463. I made a turn.
-해석: 턴을 했어요.
-분석: 회전을 했다는 의미로, 차량이 도로에서 방향을 바꾸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응용:
1. 도로 운전 상황:
   - "After I made a turn, I realized I was on the wrong street." 
     (회전을 한 후 내가 잘못된 거리로 가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2. 내비게이션 사용 시:
   - "The GPS told me to make a turn at the next intersection." 
     (내비게이션이 다음 교차로에서 회전하라고 말했다.)
 

464. I turned off the ignition.
-해석: 시동을 껐어요.
-분석: 점화장치를 끄다는 의미로, 차량의 엔진을 끄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응용:
1. 차량 정차 후:
   - "After I parked the car, I turned off the ignition and took my keys." 
     (차를 주차한 후 점화를 끄고 열쇠를 가져갔다.)
 
2. 비상 상황에서:
   - "When I noticed smoke coming from the engine, I quickly turned off the ignition." 
     (엔진에서 연기가 나오는 것을 보고 즉시 점화를 껐다.)
 

465. I slowed down.
-해석: 속력을 낮추었어요.
-분석: 주로 차량 운전이나 다른 상황에서 속도를 낮추는 행동을 설명합니다.
 
응용:
 
1. 도로 운전 상황:
   - "As I approached the school zone, I slowed down to comply with the speed limit." 
     (학교 구역에 가까워지면서 제한 속도에 맞추기 위해 속도를 줄였다.)
 
2. 운동 중:
   - "During the race, I slowed down when I felt tired." 
     (달리기 중 피곤함을 느껴 속도를 줄였다.)
 
3. 일상 생활**:
   - "I slowed down my pace to enjoy the scenery." 
     (경치를 즐기기 위해 보폭을 줄였다.)
 

466. I stayed within the speed limit.
-해석: 규정속도를 지켰어요.
-분석: 주로 차량 운전 시 교통 법규를 준수하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응용:
 
1. 도로 운전 상황:
   - "Even though I was in a hurry, I stayed within the speed limit to avoid getting a ticket." 
     (급했지만, 티켓을 받지 않기 위해 속도 제한을 지켰다.)
 
2. 안전 운전 강조:
   - "It's important to stay within the speed limit for everyone's safety." 
     (모두의 안전을 위해 속도 제한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3. 운전 습관:
   - "I always make sure to stay within the speed limit, no matter how familiar I am with the road." 
     (도로에 익숙하더라도 항상 속도 제한을 지키도록 한다.)
 
  

467. I drove recklessly.
-해석: 운전을 난폭하게 했어요.
-분석: 이 문장은 무모하게 운전했다는 의미로, 안전하지 않거나 신중하지 않은 운전 행동을 설명합니다.
 
응용:
1. 운전 습관:
   - "I drove recklessly during my youth, but I’ve learned to be more responsible now." 
     (젊었을 때 무모하게 운전했지만, 이제는 더 책임감 있게 운전하는 법을 배웠다.)
 
2. 교통사고의 원인:
   - "The accident happened because the driver drove recklessly in heavy traffic." 
     (그 사고는 운전자가 혼잡한 도로에서 무모하게 운전했기 때문에 발생했다.)
 
3. 경고 상황:
   - "If you keep driving recklessly, you’re going to get into trouble with the police." 
     (무모하게 계속 운전하면 경찰과 문제가 생길 것이다.)
 
"Recklessly"는 "reckless"에 부사형 접미사 "-ly"가 붙은 형태로, "무모하게, 신중하지 않게"라는 의미를 지닙니다. 어원을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어근: "reck"   
   "reck"은 고대 영어 "reccan"에서 왔으며, 이는 "돌보다" 또는 "신경 쓰다"라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이는 더 오래된 게르만 어족 단어인 "*rakjaną"와 관련이 있으며, 이 단어 또한 "신경 쓰다" 또는 "고려하다"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2. 접미사: "-less"   
   "reck" 앞에 "-less"가 붙어 부정적인 의미로 "주의하지 않는" 또는 "신경 쓰지 않는" 뜻을 더합니다. 

3. 부사형 접미사: "-ly"   
   "reckless"에 부사형 접미사 "-ly"가 추가되어 "recklessly"가 되어 "무모하게, 신중하지 않게"라는 부사로 사용됩니다.

결론적으로, "recklessly"는 "신경을 쓰지 않게"라는 원래의 의미에서 "무모하게"라는 현대적 의미로 변화하게 되었습니다.
 
참고로, reck(~을 개의 하다, 염려하다) 이라는 단어는 문어체에서 주로 사용한답니다. 즉 글을 쓸 때 주로 사용한답니다. 
말을 할 때는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Thank you for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