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54-268) 영어로 물을 튀켰어요? (splash)

by 영어 낚는 어부 2024. 10. 16.
반응형

(254-268) 영어로 물을 튀켰어요 (splash).mp3
3.07MB

 
 

254. I splashed water all over while washing my face.
-해석: 세수하는 동안 물을 이곳 저곳으로 튀겼어요.
-분석: splashed 는 splash 의 과거로 ‘(물)튀기다’ 의미이다. "All over"는 "곳곳에", 즉 물이 널리 퍼졌다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255. I took the cap off (of) the toothpaste.
-해석: 치약 뚜껑을 열었어요.
-분석: "off of"는 비격식적인 표현으로 간주되어 보통 일상 대화에서 사용됩니다. 공식적인 문장에서는 "off"만 사용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습니다.
 
"Toothpaste"의 어원은 간단하게 구성된 두 단어에서 유래합니다:
 
어원 분석:
1. Tooth:
   - "Tooth"는 고대 영어 "toð"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치아"를 의미합니다.
   - 고대 영어에서 "toð"는 고대 게르만어 "toþs"에서 유래했고, 이 역시 인도유럽어 계열의 "dent-"(치아)와 관련이 있습니다.
 
2. Paste:
   - "Paste"는 라틴어 "pasta"에서 유래하며, 이는 "밀가루 반죽"을 의미합니다.
   - "Pasta"는 "반죽" 또는 "붙이다"는 뜻을 가진 단어로, "paste"는 일상적으로 "붙이는 것"을 의미하게 되었습니다.
   - 여기서 "paste"는 치약처럼 걸쭉한 물질을 의미하게 되었습니다.
 
고추장은 영어로 "gochujang"이라고 그대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고유한 한국의 발효 장류이기 때문에 그대로 사용하며, 설명할 때는 "Korean red chili paste"라고 부연할 수 있습니다.
 
된장은 영어로 "doenjang"이라고 표기하며, 설명할 때는 "Korean fermented soybean paste"라고 할 수 있습니다.
 
- 고추장: gochujang (Korean red chili paste)
- 된장: doenjang (Korean fermented soybean paste)
 

256. I put the cap back on the toothpaste.
-해석: 치약뚜껑을 닫았어요.
-분석: put 은 여기서 ‘놓다’ 이고, 되 돌리는 것은 back 이죠. .
 
 
 
 
 
 
 

257. I squeezed toothpaste onto the toothbrush.
-해석: 치약을 짜서 제 칫솔에 묻혔어요.

  • "On"은 상태 (이미 위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 "Onto"는 동작 (무언가를 위로 올리거나 놓는 동작)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I squeezed toothpaste onto the toothbrush."에서는 치약이 칫솔 위로 이동하는 동작을 나타내므로 "onto"가 맞는 표현입니다.

 

 
 

258. I brushed my teeth with my electronic toothbrush.
-해석: 전동 칫솔로 이빨을 닦았어요.
 
 
 
 
 
 
 
 
 

259. I rinsed out my mouth.
-해석: 입을 헹구었어요.
-분석: rinse out ‘헹구어 내다’ 라는 의미. 구강 청결을 위해 물로 입안을 씻어내는 상황에서 적절하게 사용됩니다.
 
 
 
 
 
 
 

260. I flossed my teeth.
-해석: 치실 질을 했어요.
-분석: 치실 이라는 것은 무명실로 이빨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죠. 
"Floss"의 어원은 비교적 간단하며, 식물 섬유나 실을 의미하는 데서 유래했습니다.
 
어원 분석:
1. Late 16th century:
   - "Floss"는 16세기 후반에 등장했으며, 처음에는 "부드러운 식물 섬유" 또는 "솜털"을 의미했습니다. 주로 면화 식물이나 고치에서 나오는 부드러운 섬유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습니다.
  
2. 라틴어:
   - 이 단어는 라틴어 "floccus"에서 유래했으며, "작은 덩어리"나 "솜털"을 뜻합니다. "Floccus"는 가벼운 섬유나 작은 털뭉치를 지칭하는 말입니다.
 
3. 현대 의미:
   - 나중에 이 단어는 치실처럼 "얇고 가는 실"을 의미하게 되었으며, 현재는 주로 치아 사이를 청소하는 "치실"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됩니다.
 

261. I gargled with water.
-해석: 물로 가글(양치) 했어요.
-분석: 여기서 "gargle"는 "입을 헹구다" 또는 "양치질하다"는 뜻으로, 물로 입을 헹군다는 의미로 사용된 거죠. Salt water(소금물)로 할 수도 있죠. I gargled with salt water.
 
"gargle"의 어원을 분석해 보면, 이 단어는 프랑스어에서 기원한 단어입니다.
 
- 어원: "gargle"은 프랑스어 "gargouiller"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목구멍에서 나는 소리"를 의미합니다.
- 라틴어: 그 뿌리는 라틴어 "gurgulio"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이는 "목구멍" 또는 "목구멍에서 나는 소리"를 뜻합니다.
- 이 라틴어 단어 "gurgulio"는 "gurgus"(목구멍, 식도)에서 유래했습니다.
 
결국, 이 단어는 "목구멍에서 나는 소리"에서 발전하여 지금의 "가글하다, 양치질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참고로, 영어의 아버지는 라틴어인데, 프랑스어로부터 온 단어가 많은 이유는?
1066에 노르만족의 윌리엄 1세(일명 윌리엄 정복왕)가 노르만 정복을 통해 잉글랜드를 정복했습니다. 윌리엄은 프랑스 북부의 노르망디 공작으로, 이로 인해 영국 왕과 프랑스 왕이 복잡한 관계에 놓이게 됩니다. 노르만 정복 이후로 프랑스와 밀접하게 연결된 정치적 상황이 존재했고, 300년간 영향을 많이 받게 되죠.
 
이런 역사적 배경 속에서 재미있는 사실들도 있습니다.
"pig"는 영어이고, "pork"는 프랑스어에서 유래된 단어입니다. 이와 같은 어휘 차이는 노르만 정복 이후 잉글랜드에서 발생한 언어적 계층화 때문에 생겼습니다.
 
배경 설명:
- 1066년 노르만 정복 이후, 노르만 귀족들은 프랑스어(정확히는 노르만 프랑스어)를 사용했으며, 이로 인해 상류층과 궁정에서는 프랑스어가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반면 평민들은 여전히 앵글로색슨계의 영어를 사용했습니다.
 
- 동물 자체를 가리킬 때는 평민들이 쓰던 앵글로색슨어가 남아있었고, 동물이 음식으로 제공될 때는 프랑스어 유래 단어가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돼지(pig)는 앵글로색슨어의 흔적이고, 그것이 요리된 음식(pork)은 프랑스어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구체적인 어원:
- pig: 고대 영어 "picg"에서 유래, 동물로서의 돼지를 가리킵니다.
- pork: 프랑스어 "porc"에서 유래, 이는 라틴어 "porcus"(돼지)에서 온 단어로, 요리된 돼지고기를 가리킵니다.
 
비슷한 예로, 소를 가리킬 때 "cow"(앵글로색슨어)와 요리된 고기를 가리킬 때 "beef"(프랑스어 "boeuf")도 같은 맥락입니다.
 
한 마디로 가축을 기르는 것은 영국인이, 먹는 것은 프랑스인지 했다는 거죠.
 
 

262. I spat out the water.
-해석: 그 물을 뱉어냈어요.
-분석: spat 은 spit 의 과거로서 ‘뱉다’ 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침 뱉지마! Don't spit here!! 
 
 
 
 
 
 

263. I put the towel on the rack.
-해석: 그 수건을 수건 걸이에 걸었어요.
-분석: rack 은 ‘걸이’ 라는 의미가 있다.
 
 
 
 
 
 
 
 

264. I wetted my hair.
-해석: 머리를 적셨어요.
-분석: wetted 은 동사 wet ‘적시다’ 의 과거로 사용 되어진 것이다. 물론 wet 은 ‘젖은’ 이라는 형용사로도 사용된답니다. I was wet ‘젖었어요’
 
 
 
 
 
 
 

265. I shampooed my hair.
-해석: 샴푸로 머리 감았어요.
-분석: shampoo 는 명사도 이지만 동사로도 사용할 수 있답니다. I washed my hair with shampoo'샴푸로 머리 감았어요'.  그리고 샴푸는 강세가 poo 에 있다는 것을 명심하세요.
 
"Shampoo"**의 어원을 분석하면, 이 단어는 힌디어에서 유래했습니다.
 
어원 분석:
- 힌디어(인도에서 주요하게 사용되는 언어): "shampoo"는 힌디어의 "chāmpo"에서 비롯된 단어로, "chāmpo"는 "마사지하다" 또는 "씻다"는 의미입니다.
- 산스크리트어: 더 거슬러 올라가면, 힌디어의 "chāmpo"는 산스크리트어의 "campayati"(마사지하다, 눌러서 문지르다)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입니다.
 
영국으로의 전파:
- 18세기 초: "shampoo"라는 단어가 영국에 소개되었고, 처음에는 "마사지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이후 19세기 중반부터 샴푸는 머리를 감는 것과 관련된 제품으로 의미가 변했습니다.
 
 

266. I used hair conditioner.
-해석: 헤어 영양제(린스)를 사용했어요.
-분석: hair conditioner 는 우리가 흔히 이야기 하는 '린스'입니다. 근데 린스는 'rinse'로 '헹구다'라는 의미의 단어라서 한국에서 잘못하고 있는 영어표현입니다.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람들에게 '린스'라고 하면, 다른 의미로 이해한다는 것을 알아 두세요.
 
 
 
 
 
 

267. I dried my hair.
-해석: 머리를 말렸어요.
-분석: 참고로, "I blow-dried my hair - 드라이기로 머리를 말렸어요" 이고, 타월로 머리를 말렸을 때는 " I towel-dried my hair - 타월로 머리를 말렸어요" 이니 참고로 알아 두세요.
 
 
 
 
 
 

268. I brushed my hair.
-해석: 머리를 빗었어요.
 
 
 
 
 
 
 
 
 
 
Thank you for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