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1171-1186) 학교 1년 후배 영어로? (a year behind him in high school.)

영어 낚는 어부 2025. 5. 9. 09:05
반응형

 

(1(1171-1186) 학교 1년 후배 영어로 (a year behind him in high school.).mp3
2.68MB

 

 

1171. I took an after-school program.

-해석: () '방과후 프로그램을 들었어요.

-분석: “take a program”프로그램에 등록하여 수강하거나 참여하다라는 의미랍니다.

“after-school program”은 방과 후에 진행되는 수업, 활동이랍니다. (: 미술, 과학, 스포츠 등)

 

비슷한 표현:

I joined an after-school program.
→ (
참여의 의미 강조)

I took an after-school class.
→ (
수업 형식이라면 class)

 

1172. I did after-school activities.

-해석: 방과 후에 활동들을 했어요.

-분석: 위 문장 “I took an after-school program”이 정해진 수업이나 과정에 참여했음을 강조하는 문장이라면, “I did after-school activities.” 은 구체적 활동보다는 일반적인 경험을 말할 때 사용하는 표현이랍니다.

 

응용:

I did after-school activities like painting and basketball.
(
그림 그리기랑 농구 같은 방과 후 활동을 했어요.)

 

I took an after-school math program.
(
방과 후 수학 프로그램을 들었어요.)

 

1173. I took an online course.

-해석: 온라인 강의를 들었어요.

-분석: 여기서 “course”수업, 강의을 의미한답니다. 한국어에서 말하는 "데이트 코스"(데이트할 때 가는 장소들의 순서나 계획)는 영어 원어민에게는데이트에 대한 강좌(course)”로 오해될 수 있습니다.

 

왜 오해가 생기나요?

영어에서 "course"는 가장 일반적으로강의”, “수업을 의미합니다.

ex) a cooking course(요리 강좌), a course in philosophy(철학 강좌)

 

따라서 "a date course"라고 하면, 원어민 입장에서는데이트를 어떻게 하는지 가르치는 수업처럼 들릴 수 있습니다.

 

한국식 "데이트 코스"를 영어로 자연스럽게 말하면?

A date plan,

our date itinerary,

our date route,

where we should go on our date

 

응용:

I took a free online course last summer.
(
지난 여름에 무료 온라인 강의를 들었어)

.

I took an online course on graphic design.
(
그래픽 디자인에 관한 온라인 강의를 들었어.)

 

I took an online course to improve my English.
(
영어 실력을 키우려고 온라인 강의를 들었어.)

 

I'm currently taking an online course in psychology.
(
지금 심리학 온라인 강의를 수강 중이야.)

 

Have you ever taken an online course?
(
온라인 강의 들어본 적 있어?)

If I had more time, I would take an online course.
(
시간이 더 있었으면 온라인 강의 하나 들었을 텐데.)

 

I took an online course offered by Harvard.
(
하버드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강의를 들었어.)

 

She took an online course during the pandemic.
(
그녀는 코로나 기간 동안 온라인 강의를 들었어.)

 

After taking an online course, I got certified.
(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고 나서 자격증을 땄어.)

 

I signed up for an online course just for fun.
(
그냥 재미로 온라인 강의 하나 신청했어.)

 

1174. I had an English tutor.

-해석: (학생의 입장에서)영어 과외 선생님이 있었어. 영어 듀터를 둔 적이 있어.

-분석: “tutor”는 원래 라틴어에서 유래했으며, 기본 의미는 보호자, 수호자라는 의미로 고대 프랑스어를 거쳐 영어로 들어와 현재의 “tutor(과외 교사)”의 의미가 되었답니다.” Tutor”는 단순히 "가르치는 사람"이 아니라, 학생을보호하고 이끌어주는 사람이라는 개념에서 출발한 단어입니다.

여기서 파생된 단어가 “tuition(수업료)”이랍니다.

 

응용:

I had an English tutor when I was in middle school.
(
중학교 때 영어 과외 선생님이 있었어요.)

 

I had an English tutor who helped me prepare for the TOEFL.
(TOEFL
준비를 도와준 영어 튜터가 있었어요.)

 

I had an English tutor for two years.
(2
년 동안 영어 튜터를 뒀어요.)

 

I had an English tutor, but I didn’t really study hard.
(
영어 튜터가 있었지만 난 그렇게 열심히 공부하진 않았어요.)

 

Back then, I had an English tutor who came to my house every Saturday.
(
그때는 매주 토요일마다 집에 오는 영어 과외 선생님이 있었어요.)

 

I had an English tutor before, but now I study by myself.
(
전에는 영어 튜터가 있었는데, 지금은 혼자 공부해요.)

I had a math tutor too, but I liked my English tutor better.
(
수학 튜터도 있었지만, 영어 튜터가 더 좋았어요.)

 

I had an English tutor who made learning really fun.
(
배우는 걸 정말 재미있게 만들어 준 영어 튜터가 있었어요.)

 

I had an English tutor, and thanks to her, my grades improved.
(
영어 튜터 덕분에 성적이 올랐어요.)

 

I had an English tutor during the summer break. It was intense but helpful.
(
여름방학 동안 영어 과외 선생님이 있었는데, 힘들긴 해도 도움이 됐어요.)

 

1175. I went to the preparatory school for the college entrance exam.

-해석: 대학 입시를 위해서 입시 준비 학교에 갔어요.

-분석: “preparatory”“prepare(준비하다)”라는 말에 형용사형 접미사 –atory(~하는 성질의, ~하는 역할을 하는)를 붙여 준비하는 역할을 하는이라는 의미의 단어랍니다.

사실 이 문장은 여러모로 혼란을 줄 수 있는 문장입니다. 한국식/미국식/영국식 교육 시스템이 달라 각각 다르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랍니다.

 

더 자연스럽고 자주 쓰는 표현:

1. I went to a prep school for the college entrance exam.

대학 입시를 준비하려고 입시 학교에 다녔어요.
(preparatory school
은 일반적으로 일상에서 "prep school(프렙스쿨)"이라고 줄여서 사용한답니다.)

 

미국식과 한국식 표현 차이

미국에서는 "college entrance exam"이라는 말보다는 "SAT", "ACT" 같은 구체적인 시험 이름을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 I went to a prep school for the SAT.

한국식 맥락에서는:

“cram school” (벼락치기 학원)

또는 "private academy" 같은 표현도 상황에 따라 사용 가능합니다.

 

참고 표현

Prep school(preparatory school) – 사립 입시 준비 학교(특히 영국·미국식에서 다름!!!)

Cram school – 시험 대비용 학원 (특히 아시아권 표현)

Private school – 사설 학원

After-school academy – 방과 후 학원

 

“prep school”이 영국식과 미국식에서 의미가 다르다는 말은,
같은 단어인데 나라마다 가리키는 대상이 다르다는 뜻이에요.

 

미국식 영어에서 "prep school"?

prep school = preparatory school

의미: 명문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한 고등학교 수준의 사립학교

보통 중·고등학교 (grades 9–12) 수준이며,
아이비리그 같은 대학에 진학시키기 위한 엄격한 교육 과정을 제공합니다.

 

예시:

He went to a prep school before getting into Harvard.
(
하버드에 들어가기 전에 사립 입시학교에 다녔다.)

 

영국식 영어에서 "prep school"?

prep school = preparatory school

의미: 공립 명문 중·고등학교(=public school)에 들어가기 위한
7
~ 13세 사이의 어린이를 위한 초등 과정의 사립학교(Eton, Harrow )

, 미국에서는 고등학교 수준,
영국에서는 초등학교 후반~중등학교 입학 전 준비 단계입니다.

 

예시:

His parents sent him to a prep school when he was 8.
(8
살 때 부모가 그 애를 프렙스쿨에 보냈어요.)

 

따라서 한국식 입시학원/재수학원/학원을 영어로 말하고 싶을 때
prep school
이라고 하면 오해의 여지가 생길 수 있어요.

 

더 자연스럽고 정확한 표현을 원하시면, Hakwon(학원)이라는 말과 함께 보충적으로, "cram school" 또는 "private academy"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Hakwon (학원)이라는 말의 영어 사용:

Hakwon은 영어 원어민에게는 외래어이고, 한국의 특수한 개념입니다.

그래서 한국 문화를 설명할 때는 그대로 “hakwon” 이라고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

Many Korean students attend a hakwon after school.
많은 한국 학생들이 방과 후 학원에 간다.

기사나 에세이, 드라마 리뷰 등에서 자주 사용

, 영어권 독자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보통 한 번 설명을 덧붙입니다.
: hakwon (Private after-school academy / Cram school / Private academy / After-school gprogram / Tutoring center /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 )

 

참고로, institution(기관) 이라는 말은 격식체 표현으로 일반 구어체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는 답니다.

 

영어권에는 우리나라처럼 체계화된 사교육 학원 시스템은 거의 없습니다.

하지만 비슷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쓰는 표현들입니다.

 

시험 준비 중심이고, 일본/중국/한국 관련 맥락에서 문장을 사용한다면 cram school 이 가장 적절한 것 같습니다.

 

"cram"의 어원을 보면, 단어가 왜 '벼락치기 공부하다'는 뜻으로 발전했는지 잘 이해할 수 있어요.

 

고대 영어 crammian → "억지로 채우다, 밀어 넣다"

이 말은 다시 게르만어 계열에서 유래된 것으로,

독일어 krampen (쥐다, 움켜잡다)

네덜란드어 krammen (끼워넣다, 죄다)

, 원래 의미는 '억지로 채워 넣는 것'이에요.

 

의미 발전

음식을 억지로 밀어 넣다
→ He crammed the food into his mouth.
(
그는 음식을 입에 쑤셔 넣었다.)

지식을 머리에 억지로 넣다
시험 전날 머리에 지식을 밀어 넣는 것 = 벼락치기
→ I crammed for the test all night.
(
시험 전날 밤새 벼락치기 했어.)

 

관련 표현

cram school: 벼락치기 위주로 가르치는 학원

cram session: 시험 전에 몰아서 공부하는 시간

cram into: ~에 억지로 밀어 넣다

We crammed into the small car.
(
우린 작은 차 안에 몸을 밀어 넣었다.)

 

1176. I lived in a boarding house.

-해석: 한 하숙집에 살았어요.

-분석: “boarding”이 식사 제공의 의미도 있기 때문에, “boarding house”는 주거와 식사가 함께 제공되는 장소입니다.

 

응용:

I lived in a boarding house when I first moved to the city.
(
내가 처음 도시로 이사 왔을 때 하숙집에서 살았어요.)

 

I lived in a boarding house for two years before moving to an apartment.
(
아파트로 이사 가기 전, 2년 동안 하숙집에서 살았어요.)

 

I lived in a boarding house, but my friends stayed in a dormitory.
(
저는 하숙집에서 살았고, 내 친구들은 기숙사에서 살았어요.)

 

I have so many fond memories of the time I lived in a boarding house.
(
하숙집에서 살았던 시간에 대한 좋은 추억이 많아요.)

 

When I was studying abroad, I lived in a boarding house with other international students.
(
유학 중에는 다른 외국 학생들과 하숙집에서 살았어요.)

 

She went to a boarding school in England.
(
그 여자애는 영국에 있는 기숙학교에 다녔어요.)

 

참고,

I lived in a dormitory → 기숙사에서 살았다.

I stayed in a guesthouse → 게스트하우스에 묵었다.

 

 

"boarding"이 식사를 제공하는 의미를 가진 이유는 "boarding"의 어원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 단어는 원래 "배에 탑승하다"는 의미에서 시작되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boarding" "배에 탑승하여 생활하는" 것과 관련된 개념으로 확장되었고, 이후 "식사 제공"과 결합된 것입니다.

 

"boarding"의 어원과 의미 확장

"board"의 원래 의미:

"board"는 원래 "판자"를 의미하는 단어였고, 이는 배나 교통수단에 탑승하는 것과 관련이 있었습니다. 큰 판자위에 올라가는 것을 상상해 보세요.

 

예를 들어, "board a ship" (배에 탑승하다), "board a train" (기차에 탑승하다) 등의 표현에서 보듯이, "boarding"은 어떤 장소에 들어가서 그곳에서 생활하는 의미로 확장되었죠.

 

"board" "식사"의 연결:

과거에 "board""식사를 제공하는 장소"를 의미하기도 했습니다. 예를 들어, "room and board"라는 표현에서 *"board""식사"를 의미합니다.

이 용어는 배에서 생활하며 식사를 제공받는 상황에서 유래한 것으로, 나중에는 하숙집이나 기숙사와 같은 장소에서도 식사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하게 되었습니다.

"boarding house"에서의 의미 확장:

"boarding house"는 식사와 숙소를 함께 제공하는 장소를 의미하는데, 이는 "boarding"이 원래 "배에 탑승하여 생활"하는 것에서 나온 식사를 포함한 생활 제공 개념으로 발전한 것입니다.

 

정리하자면:

"boarding"은 원래 배에 탑승하는 것과 관련이 있었고, 그곳에서 생활하면서 식사를 제공받는 것과 연결되었습니다.

이 개념이 확장되면서 식사를 제공하는 장소, 즉 하숙집, 기숙사에서의 식사 제공을 의미하게 되었습니다.

 

예시:

"room and board" (숙소와 식사 제공)

"boarding school" (식사와 기숙사 생활을 제공하는 학교)

 

1177. I found a homestay.

-해석: 하숙집을 하나 찾았어요.

-분석: “homestay”“boarding house”와 다른 개념이랍니다.

 

응용:

I found a homestay in Japan for my summer trip.
(
여름 여행을 위해 일본에서 홈스테이를 찾았어요.)

 

I had a homestay in Australia, where I lived with a local family and practiced my English.
(
호주에서 홈스테이를 했고, 현지 가족과 함께 살면서 영어를 연습했어요.)

 

I stayed in a homestay during my trip to Spain and learned a lot about the local culture.
(
스페인 여행 중에 홈스테이에서 지내면서 현지 문화를 많이 배웠어요.)

 

She chose to do a homestay in France to improve her French skills.
(
그 여자는 프랑스어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프랑스에서 홈스테이를 하기로 했어요.)

 

My parents arranged a homestay for me when I studied abroad in the United States.
(
내 부모님은 내가 미국에서 유학할 때 홈스테이를 마련해 주셨어요.)

 

Living in a homestay allowed me to experience the daily life of a local family.
(
홈스테이에서 생활하면서 저는 현지 가족의 일상 생활을 경험할 수 있었어요.)

 

I considered staying in a hotel, but I decided a homestay would give me a more authentic experience.
(
호텔에 머무를까 고민했지만, 홈스테이가 더 진정성 있는 경험을 제공할 것 같아서 결정을 내렸어요.)

 

The time I spent in a homestay in Canada was one of the most memorable parts of my trip.
(
캐나다에서 홈스테이를 하면서 보낸 시간은 내 여행 중 가장 기억에 남는 부분이었어요.)

 

I lived in a homestay for three months during my study abroad program.
(
유학 프로그램 중 3개월 동안 홈스테이에서 살았어요.)

 

 

"homestay""boarding house"는 비슷한 점이 있지만, 목적과 환경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1. Homestay:

의미: 가정에서 숙박하는 형태입니다. 주로 외국인 학생이나 여행객이 가정집에서 가족과 함께 생활하면서 숙박을 하며, 그 과정에서 문화 교류와 언어 학습을 할 수 있습니다.

 

목적: 주로 문화적 경험, 언어 학습, 지역 주민과의 교류가 목적입니다. 가정의 일상적인 생활 속에서 머무르며 그 문화를 경험하게 됩니다.

예시:

I stayed with a host family in Japan for my homestay program.
(
일본에서 홈스테이 프로그램으로 호스트 가족과 함께 지냈어요.)

 

2. Boarding House:

의미: 식사와 숙소를 제공하는 곳입니다. 보통 하숙집이라고 불리며, 개인적인 주거 공간이 제공되며, 공동 식사를 제공하는 장소입니다.

목적: 생활 공간과 식사 제공이 주요 목적이며, 가정적인 분위기보다는 실용적이고 독립적인 생활을 중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시:

I lived in a boarding house when I was working in the city.
(
도시에서 일할 때 하숙집에서 살았어요.)

 

When I moved to the city, I stayed in a boarding house near my workplace.
(
도시로 이사 갔을 때, 직장 근처의 하숙집에서 지냈어요.)

 

결론:

Homestay는 가족과 함께 생활하며 문화적 교류와 언어 학습이 중요한 목적이고,

Boarding House는 독립적인 생활을 지원하는 주거지입니다.

 

1178. I had a parents’ visiting day.

-해석: 부모님 참관수업을 했어요.

-분석: "parents' visiting day"는 부모님이 학교나 기관을 방문하는 행사에 대해 이야기할 때 사용할 수 있는 표현이랍니다.

 

응용:

I had a parents' visiting day at school yesterday.
(
어제 학교에서 부모님 방문의 날이 있었다.)

 

We had parents' visiting day last week.
(
지난주에 부모님 방문의 날이 있었다.)

 

We had a parents' visiting day at school last month, and I was excited to show my parents around.
(
지난달에 학교에서 부모님 방문의 날이 있었고, 저는 부모님께 학교를 보여줄 생각에 신이 났어요.)

 

I had a parents' visiting day today, and my mom came to see my art exhibition.
(
오늘 부모님 방문의 날이 있었고, 엄마가 내 미술 전시회를 보러 오셨어요.)

 

I had a parents' visiting day last week, and it was great to see how proud my parents were of my achievements.
(
지난주에 부모님 방문의 날이 있었고, 부모님이 내 성과를 자랑스러워하는 모습을 보니 정말 기뻤어요.)

 

1179. I graduated from school.

-해석: 학교를 졸업했어요.

-분석: 어떤 학교에서 졸업했는지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서 아래와 같이 덧 붙이면 된답니다.

응용:

I graduated from elementary school / middle school / high school.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를 졸업했어요.)

 

I graduated from college.
(
대학을 졸업했어요.)

 

I graduated from university.
(
대학교를 졸업했어요.)

 

참고로, 대학을 졸업하고?

I went to graduation school.

(대학원 갔어요.)

 

대학에 졸업하면?

I have a bachelor’s degree in psychology.

(심리학 학사를 가지고 있어.)

전공 과목에 따라 변경하면 되겠죠. In chemistry (화학애서) .

 

그리고, 더 공부하면?

I studied for a master’s degree in psychology.

(물리학 석사 과정을 공부했어요.)

I did a master’s in psychology.
(
난 물리학 석사 과정을 했어요.)
(
영국식에서 특히 많이 쓰고, 미국에서도 점점 사용됨)

 

따면?

I have a master’s degree in psychology.

(심리학 석사를 가지고 있어요.)

 

박사과정을 하고 따면?

I have a Ph.D. in psychology.

(심리학 박사학위가 있어.)

 

참고로,

I have an MBA. 경영대학원을 나왔어요. 경영학 석사를 가지고 있어요라는 말로 “MBA” “Master of Business Administration”의 준말이랍니다. 보통 기업 경영, 마케팅, 재무, 인사 등 비즈니스 전반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갖추었음을 의미해요.

 

어디대학?

I have an MBA from Harvard. (하버드에서 MBA를 땄어.)

 

1180. I graduated with top honors.

-해석: 수석 졸업했어요.

-분석: "top honors"최고의 성적이나 우수한 업적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상장이나 졸업식에서 수여되는 상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with honors"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는 것을 의미하고, 그 중에서도 "top honors"는 가장 높은 수준의 성과를 나타냅니다.

 

응용:

She graduated with top honors in her class.
(
그 여자는 학급에서 최고의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했어요.)

 

I was proud to graduate with top honors after years of hard work.
(
수년간의 노력 끝에 최고의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게 되어 자랑스러웠어요.)

 

라틴어를 주로 사용하기도 하는데 아래와 같답니다(미국식 기준):

cum laude[쿰 라우더] → with honors (우등 졸업)

magna cum laude[막나 쿰 라우더] → with high honors (고우등 졸업)

summa cum laude[수마 쿰 라우더] → with highest honors (최우등 졸업)

 

I graduated with honors in biology.
(
난 생물학 전공으로 우등 졸업했어요.)

 

She graduated summa cum laude from Stanford.
(
걔는 스탠퍼드에서 최우등 졸업했어.)

 

He graduated top of his class.
(
걔는 반에서 수석으로 졸업했어.)

 

"highest honors"는 공식 학위 표기용이고, "top honors"는 그보다 더 광범위하고 강조된 표현으로 비공식 표현입니다.

 

참고로,

"With summa cum laude(X)"는 조금 부자연스러운 표현입니다. 일반적으로 "summa cum laude"는 단독으로 사용되며, "with" 없이 "summa cum laude"만으로 "최고의 영예로 졸업했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자연스러운 표현:

"He graduated summa cum laude."
(
그는 최고의 영예로 졸업했다.)

"She earned her degree summa cum laude."
(
그녀는 최고의 영예로 학위를 받았다.)

 

1181. I put on my graduation cap.

-해석: 학사모을 썼어요.

-분석: 표현은 졸업 모자를 썼다는 의미로, "put on"착용하다또는 입다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응용:

I put on my graduation cap and walked across the stage.
(
졸업 모자를 쓰고 무대를 걸었어요.)

 

She was excited to put on her graduation cap for the ceremony.
(
그 여자애는 졸업식을 위해 졸업 모자를 쓰게 되어 신이 났어요.)

 

1182. I wore my cap and gown.

-해석: 학사모와 가운을 입었어요.

-분석: 졸업식에서 흔히 입는 "cap" (졸업 모자)"gown" (졸업 가운)을 착용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Wore""wear"의 과거형으로, 착용하다는 의미입니다. 보통 "wear"를 사용할 때는 이미 착용한 상태를 말합니다.

"Cap and gown"은 졸업식에서 전통적으로 입는 의상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응용:

He wore his cap and gown at his graduation ceremony.
(
그 사람은 졸업식에서 모자와 가운을 입었어요.)

 

I can't wait to wear my cap and gown at the graduation ceremony.
(
졸업식에서 모자와 가운을 입게 되어 기다릴 수 없어요.)

 

1183. They conferred a degree.

-해석: 학교에서 학위를 수여했어요.

-분석: “they”는 학교의 불 특정한 다수를 의미한답니다. 그냥 '학교'라고 해석을 해도 되겠죠. "conferred""confer"의 과거형으로, “수여하다”, “부여하다라는 의미입니다. 주로 학위나 명예 등을 공식적으로 수여할 때 사용됩니다.

 

응용:

The university conferred an honorary degree upon the famous scientist.
(
그 대학교는 그 유명한 과학자에게 명예 학위를 수여했어요.)

 

The committee conferred the award to the outstanding student.
(
위원회는 그 뛰어난 학생에게 상을 수여했어요.)

 

"Confer""수여하다""의논하다"는 뜻을 가질 수 있는데, 학위나 상을 수여할 때는 주로 "confer"를 사용합니다.

"Confer""논의하다", "상의하다"의 의미로도 사용됩니다. 이 경우, "confer"는 상담하거나 의견을 교환하는 과정을 나타냅니다.

“confer”는 라틴어 “conferre”에서 왔고, 이것은 “con- (함께) + ferre (나르다, 가져가다)”로 나눌 수 있답니다. 의미는 함께 가져가다”, “함께 모으다라는 의미이고, 나중에 아이디어나 권한을 함께 나누다는 의미로 확장되었답니다.

 

예시:

The team will confer about the new project before making a decision.
(
팀은 결정을 내리기 전에 새로운 프로젝트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She conferred with her colleagues about the best approach to the problem.
(
그 여자는 문제 해결을 위한 최선의 접근 방법에 대해 동료들과 상의했어요.)

 

The doctors conferred for hours to determine the best course of treatment.
(
의사들은 최선의 치료 방법을 결정하기 위해 몇 시간 동안 논의했다.)

 

Before making any major changes, the board members need to confer with their legal advisors.
(
중요한 변화를 일으키기 전에 이사회 회원들은 법률 자문과 상의해야 한다.)

 

"confer"는 격식체(formal language)입니다.

 

1. 상의하다 (confer with)

I need to confer with my lawyer.
→ (
격식) 변호사와 상의해야 해.
일상적으로는 talk todiscuss ~ with를 더 자주 씁니다.

일상형:
→ I need to talk to my lawyer.
→ I want to discuss it with my lawyer.

 

2. 수여하다 (confer something on/upon someone)

The university conferred an honorary degree on her.
대학이 그녀에게 명예 학위를 수여했다.
이건 공식 문서, 보도자료 등에서 자주 사용

일상형:
→ The university gave her an honorary degree.

 

결론적으로,

confer는 법률, 학문, 행정, 공식 발표 등에서 많이 쓰이는 격식체입니다.
일상 대화에서는 보통 talk, give, discuss 같은 단어를 씁니다.

 

1184. They granted a degree.

-해석: 학교에서 학위를 수여했어요.

-분석: “They”을 사용하지 않고, “I was granted a degree.” 라고 수동태를 사용할 수도 있답니다.

 

"Grant""부여하다", "수여하다"의 의미로 사용되며, 주로 공식적인 맥락에서 학위나 권리 등을 수여할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문장은 "그들이 학위를 부여했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예시:

The university granted him a degree in engineering.
(
그 대학교는 그에게 공학 학위를 부여했다.)

 

The committee granted the award to the outstanding student.
(
위원회는 그 뛰어난 학생에게 상을 수여했다.)

 

"Confer""grant"는 둘 다 "수여하다" 또는 "부여하다"의 의미로 사용되지만, 사용되는 맥락과 뉘앙스에 차이가 있습니다. 두 단어의 차이를 아래에서 비교해 보겠습니다.

 

1. Confer

의미: "Confer"는 보통 공식적인, 높은 수준의 수여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대개 학위, 명예, 상 등을 공식적으로 수여할 때 사용됩니다.

뉘앙스: "Confer"는 더 형식적이고 권위적인 느낌을 주며, 주로 기관이나 단체에서 공식적으로 수여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예시:

The university conferred an honorary degree upon the distinguished professor.
(
대학교는 그 저명한 교수에게 명예 학위를 수여했다.)

 

The committee conferred about the best candidate for the award.
(
위원회는 상을 받을 최상의 후보에 대해 논의했다.)

 

2. Grant

의미: "Grant""부여하다" 또는 "허락하다"로도 사용되며, 학위, 특권, 권리 등도 수여할 수 있습니다. "Grant"는 보다 일상적이고 넓은 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어입니다.

뉘앙스: "Grant"는 덜 공식적이고 일상적인 느낌을 줍니다. 더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정부나 개인이 허락하거나 부여하는 느낌이 더 강합니다.

예시:

The government granted them permission to build the new school.
(
정부는 그들에게 새로운 학교를 건설할 허락을 부여했다.)

 

The university granted him a degree after completing all his coursework.
(
대학은 그가 모든 학점을 이수한 후 학위를 부여했다.)

 

결론적으로,

"Confer"는 보다 공식적이고 권위적인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대학교나 기관에서 명예로운 학위나 상을 수여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주요 맥락: 공식적인 학위, 명예, 상 등의 높은 영예를 수여할 때 사용.

 

"Grant"는 보다 넓고 일상적인 맥락에서 사용됩니다. 권리, 허락, 특권 등을 부여하거나 허락하는 경우에 쓰입니다.

주요 맥락: 허가, 권리, 특권 등을 부여하거나 허락할 때 사용.

 

따라서 "confer"는 더 격식 있고 공식적인 수여에 쓰이며, "grant"는 더 일반적이고 일상적인 수여나 허가를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grant”의 어원을 보면 훨씬 더 잘 “confer”와 잘 구분할 수 있답니다.

 

주요 의미:

(공식적으로) 주다, 부여하다

(사실로) 인정하다

(명사로) 보조금, 장학금 등

 

어원 분석

grant
고대 프랑스어 graanter (보증하다, 허가하다) – 여기서 알 만한 단어가 guaranty(보증, 확보)이죠.
라틴어 credentare → 중세 라틴어 grantare
라틴어 credere = 믿다, 신뢰하다 이것은 결국 credit(신용)이죠.

, grant는 원래 믿고 인정하여 허가하다라는 뜻에서 시작되어,
누군가를 믿기 때문에 권한을 주거나, 요구를 승인하는 의미가 된 것이랍니다.

 

어근 관련 단어들 (credere = 믿다):

Credit(신용), credible(믿을 수 있는), incredible(믿기 어려운), creed(신조) .

 

예문:

1. 공식적으로 부여하다

The government granted him a visa.
(
정부는 그에게 비자를 발급해 주었다.)

2. 인정하다

I grant that it won’t be easy.
(
그게 쉽지 않을 거라는 건 인정해.)

3. 명사: 보조금, 장학금 등

She received a research grant from the university.
(
그 여자는 대학으로부터 연구 보조금을 받았어요.)

 

1185. I got my yearbook.

-해석: 졸업앨범을 받았어요.

-분석: 이 문장에서 "got""received"와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응용:

I got my yearbook at the end of the school year.
(
학년이 끝날 때 졸업 앨범을 받았어요.)

 

She got her yearbook yesterday.
(
그 여자애는 어제 졸업 앨범을 받았어요.)

 

1186. I was a year behind him in high school.

-해석: 저는 그 사람 고등학교 1년 후배였어요.

-분석: 선배를 표현하는 다른 방법에 있어서 영어권에서는 한국어처럼 선후배 관계를 강조하는 표현이 많지 않습니다. 대신, "ahead""behind"와 같은 표현을 통해 간접적으로 선후배 관계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선배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겠죠.

“He was 2 years ahead of me in school” – “그 분은 2년 학교 선배였어요.”

 

주의할 점은,

“senior”“junior” 란 표현을 선후배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하지 않는 답니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 드리면,

여기서 "a year behind"는 한 학년 낮은 또는 한 해 늦은 상태를 나타냅니다.

"a year behind"의 의미:

"a year behind"는 연령이나 학년에서 한 해 차이가 나는 상황을 설명합니다. 이 표현은 일반적으로 연령 차이나 학교에서의 학년 차이를 이야기할 때 사용됩니다.

예시:

She is a year behind me in college.
(
그 여자는 대학에서 저보다 한 학년 뒤에 있어요. 1년 후배랍니다.)

 

He was a year behind his classmates because he had to repeat a grade.
(
그 애는 학년을 한 번 더 반복해서 동급생들보다 한 학년 뒤에 있었어요.)

(유급해서 동기들 보다 한 학년 아래예요)

 

"He was 2 years ahead of me in school." 이 문장은 "그 분은 학교에서 나보다 2년 선배였어요"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2 years ahead"의 의미:

"2 years ahead"는 학년 차이를 나타낼 때 사용되는 표현으로, "나보다 2년 먼저 학년에 있었다"는 뜻입니다. "ahead""앞서 있다"는 의미로, 상대방이 자신보다 학년이 높거나 나이가 많을 때 사용됩니다.

예시:

She was two years ahead of me in college.
(
그 여자분은 대학에서 저보다 2년 선배였어요.)

 

He graduated a year ahead of me.
(
그 분은 저보다 1년 먼저 졸업했어요.)

 

"Senior" "Junior":

"Senior"는 상급생을 의미할 때 사용되지만, "junior"는 대부분 하위 학년이나 후배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그러나 "Senior""Junior""선배", "후배"라는 의미로 일상적으로 사용되지는 않으며, 주로 학년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이제 학교 생활 끝!

 

다음은 식당의 세부 적인 사항으로 go go!!

 

Thank you for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