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37-1152) 이야기를 지어내다 영어로? (To make a story up)
1137. I made a story up.
-해석: 이야기를 지어냈어요. 이야기를 꾸며 냈어요.
-분석: “make up something”은 “(거짓말, 이야기 등을) 지어내다”라는 의미랍니다. 순서를 바꿔 “I made up a story.”이렇게도 할 수 있고, 다른 목적어를 사용하면,
“He made up an excuse.” “그 사람은 변명을 지어냈어요.” 도 된답니다.
여기서 “excuse”는 “변명”이라는 의미입니다. 네! Excuse me(익스큐즈 미)할 때 그 “익스큐즈”입니다.
아래와 같이 분리도 된답니다.
make something up (분리 가능)
- I made a story up. (O)
- I made up a story. (O)
I made it up. (O) → 나는 그것을 지어냈다.
목적어가 대명사("it", "them" 등)이면 반드시 동사(made)와 "up" 사이에 넣어야 해요!
I made up it. (X)
I made it up. (O)
응용:
She made a story up to avoid getting into trouble.
(걔는 혼나는 걸 피하려고 이야기를 지어냈어.)
I made a story up about why I was late.
(난 왜 늦었는지에 대해 변명을 지어냈어.)
The kid made a story up about a dragon living under his bed.
(그 아이는 침대 밑에 용이 산다고 이야기를 꾸며냈어.)
“make up”은 은 기본적으로 뭔가를 올라(up)오게 만들다(make)입니다.
1. 없던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것이고 – I made up an excuse. (변명을 지어냈어. – 지어내다, 꾸며내다)
2. 싸운 후 찌그러져 있던 관계의 부분을 올라오게 만드는 것이고 – They made up after the fight. (걔네들 싸우고 나서 서로 화해 했어.- 화해하다)
3. 빠져서 빈 부분을 다시 올라 오게 만들고 – I need to make up for the missed class. (결석한 수업을 보충해야 해. – 보충하다)
4. 손해가 나서 움푹 들어간 부분을 다시 올라 오게 만들고 – I will make up for the loss. (내가 손해를 만회 할게! – 보상하다, 만회하다)
참고로, 손해 본 사람에게 말할 때 – I’ll make it up to you!!!
5. 전체의 일부가 되도록 만들어 올리고 – Women make up 50% of the population. (여성은 인구의 50%를 차지한다. – 구성하다)
6. 파인 모공을 채워서 올라 오고 만들고 – She made up her face before going out. (걔는 외출 전에 화장 했어. – 화장하다) 이 표현은 다소 문어적이고 옛날 느낌이라 보통은 She put on makeup. 을 사용한답니다.
7. 마음의 흔들림이나 공백을 채워서 결정된 상태로 만들어서 – I made up my mind to study abroad. (유학을 가기로 마음을 정했어. – 결정하다)
“makeup”은 명사(붙여씀)로 사용한답니다.
I put on a little makeup. (화장을 좀 했어.)
I bought some new makeup. (새 화장품을 좀 샀어.)
The makeup of the committee. (위원회의 구성)
I have a makeup class tomorrow. (내일 보충 수업이 있어.)
1138. I pinched her arm.
-해석: 그 여자애 팔을 꼬집었어요.
-분석: “pinch (someone/something)”은 “꼬집다, 집다, 꽉 잡다”의 의미랍니다.
"pinch"는 보통 손가락으로 살을 잡아 꼬집는 동작을 의미해요!
응용:
She pinched my cheek.
(그 여자가 내 볼을 꼬집었어.)
He pinched his fingers in the door.
(걔는 문에 손가락을 찧었어.)
I lightly pinched her arm.
(저는 그녀의 팔을 살짝 꼬집었어요.)
I playfully pinched her arm.
(저는 장난으로 그녀의 팔을 꼬집었어요.) (장난스럽게 한 경우)
1139. I hit him with a stick.
-해석: 막대기로 그 애를 때렸어요.
-분석: 여기 문장에서 “I”는 교사의 입장이라고 생각해 보시면 된답니다.
“hit (someone/something) with (something)”는 “~로 ~를 때리다.”라는 의미랍니다.
“with+도구”는 “~로”라는 의미로 “도구를 나타내는 전치사구”입니다.
I hit the ball with a bat. → 나는 방망이로 공을 쳤다.
She hit him with her bag. → 그녀는 가방으로 그를 때렸다.
"hit"는 과거형도 hit 그대로! (hit-hit-hit)
응용 및 비교:
1. I hit him with a stick.
(막대기로 그 애를 때렸어요.)
기본적인 문장. “stick”은 보통 나무 가지처럼 자연스럽고 가벼운 막대기.
2. I hit him with a rod.
(막대기로 걔를 때렸어요.)
“rod”는 금속/플라스틱/나무 등 "회초리"나 "몽둥이"처럼 느껴질 수 있음.
A fishing rod(낚시대), an rion rod(철근), a lightning rod(피뢰침), curtain rod(커튼 봉)
3. I hit him with a willow switch.
(버드나무 가지로 그를 때렸어요.)
“willow switch”는 얇고 휘는 회초리 느낌.
4. I hit him on the calves with a willow switch.
(걔를 종아리를 버드나무 가지로 때렸어요.)
on the calves가 구체적인 타격 부위. Calf 의 복수형이 calves!
5. I hit him on the bottom with a mop handle.
(대걸레 자루로 엉덩이를 때렸어요.)
과거 한국학교에서 빈번이 일어났던 일이죠….
"hit" 대신에 쓸 수 있는 동사들
1. Strike 공식적이고 강한 타격 느낌. I struck him with a rod.
2. Whack 세게 휘두르는 느낌, 의성어적 느낌. I whacked him with a stick.
3. Smack 평평한 부분으로 때리는 느낌. I smacked him on the bottom.
4. Slap 손바닥으로 때리다. I slapped him across the face.
5. Beat 여러 번 반복적으로 때리는 느낌. I beat him with a stick.
6. Lash 채찍이나 끈 등으로 후려치다. I lashed him with a belt.
7. Spank (주로 엉덩이를) 훈육 목적으로 때리다. I spanked him on the bottom.
8. Thrash 세게 두들겨 패다(강한 표현) He thrashed the boy with a rod.
9. Paddle 판자 같은(곤장) 것으로 때리다. The teacher paddled him.
영어 표현이 구어체인지 문어체인지 아는 것은 굉장히 중요합니다. 일상 적인 말을 할 때 문어체를 사용하면 어색 하겠죠ㅜㅜ.
이 동사들을 구어체 (일상적인 대화) 와 문어체 (격식 있는 표현, 글쓰기에서 자주 씀) 로 분류해볼게요.
물론 어떤 표현도 문맥에 따라 섞여 쓸 수 있지만, 일반적인 뉘앙스를 기준으로 나눴어요.
구어체 (일상적, 대화에서 자주 사용)
1. hit – 가장 기본적이고 구어에서 널리 쓰임.
2. whack – 퍽! 하고 때리는 느낌, 아주 구어체.
3. smack – 가볍게 탁 때리는 느낌, 특히 엉덩이/뺨 등.
4. slap – 손바닥으로 찰싹, 대화에서 자주 사용.
5. spank – 아이 엉덩이를 훈육 차 때리는 말, 구어체.
6. paddle – 미국 남부 체벌 문화에서, 판자로 엉덩이 대림, 구어적 상황에서 사용.
문어체 (격식 있거나, 문학/보고서/공식 상황)
1. strike – hit 보다 격식 있음, 뉴스, 문학, 경찰 보고서 등에서 사용.
2. lash – 채찍질, 문학적 도는 형벌 상황 등에서 자주 사용.
3. beat – 반복적 타격, 구어/문어 모두 쓰이지만 ‘문어체’에서 더 많이 상세하게 묘사.
4. thrash – 심하게 두들겨 패다. 격식 있는 문장이나 문학체에서 자주 사용됨.
혼용 가능 (문맥에 따라 다름)
hit - 가장 중립적이고 널리 사용됨. 구어체/문어체 모두 적절함.
beat - 일상에서 "He beat me up."처럼 쓰이지만, 문어체에서는 좀 더 상세하고 묘사적인 표현으로도 사용됨.
한눈에 보기!
구어체 hit, whack, smack, slap, spank, paddle
문어체 strike, lash, beat, thrash
예를 들어 문어체에서 주로 사용되는 “lash”는?
"I lashed him on the calf." 같은 표현은 문학 작품, 특히 고전 문학이나 묘사가 섬세한 작품에서 종종 볼 수 있는 문어체 표현이에요.
왜 문학에서 자주 쓰일까?
"lash"는 단순히 때리는 게 아니라, 채찍이나 가는 막대기 같은 것으로 휘두르듯 세게 때리는 동작을 묘사합니다.
그 자체로 시각적, 청각적, 감각적인 묘사가 강해서 문학적 효과를 줄 수 있죠.
문학 작품 스타일 예시:
He lashed the boy on the calf with a switch, each strike whistling through the air before landing with a snap.
→ 그는 채찍을 휘둘러 소년의 종아리를 때렸다. 휘익 소리가 나고 ‘퍽’ 소리와 함께 내려앉았다.
역사 기록, 혹은 형벌·노예·군사 이야기 등에서도 나옵니다.
The sailor was lashed for insubordination.
(그 선원은 불복종으로 채찍질을 당했다.)
실제 등장 가능한 상황:
시대극 (historical fiction)
아동 훈육을 다룬 장면 (특히 예전 시대)
종교적/군사적 처벌 장면
노예제나 억압적인 제도를 다룬 묘사
"lash out"이라는 구동사 표현은 정치적 상황에서도 자주 사용되며, 이때는 감정적으로 강하게 비난하거나 공격하는 것을 의미해요. 정치인, 정부, 언론, 대중 등이 어떤 대상에게 분노를 표출하거나 맹비난할 때 쓰입니다.
정치적 맥락에서 "lash out" 예시
1. 정치인이 다른 정치인을 비난할 때
The senator lashed out at the president over the new tax policy.
→ 그 상원의원은 새로운 세금 정책을 두고 대통령을 강하게 비난했다.
2. 정부가 언론 보도를 공격할 때
The government lashed out at the media for spreading false information.
→ 정부는 가짜 정보를 퍼뜨렸다는 이유로 언론을 강하게 비난했다.
3. 지도자가 외부 압박에 반응할 때
Under pressure, the leader lashed out at critics calling them “traitors.”
→ 압박 속에서 그 지도자는 비판자들을 "배신자"라고 부르며 맹비난했다.
참고: 실제 뉴스 헤드라인 예시 (실제와 유사하게 구성)
Trump lashes out at Biden over immigration policy.
North Korea lashes out at UN sanctions.
The Kremlin lashed out at NATO’s expansion.
→ 모두 "맹비난" 또는 "강하게 공격"이라는 뜻이에요.
논리적이거나 차분한 비판이 아니라 감정적이고 공격적인 비판이라는 점이 핵심입니다.
현대 구어에서는 어색할 수 있으니, 일상 회화에서는 "He hit him on both legs with a stick"처럼 더 단순한 표현을 사용한답니다.
하지만 문학에서는 더 구체적이고 감각적인 언어를 쓰는 걸 선호해요.
구어체로 바꾸고 싶다면?
I hit him on the calves with a stick.
I whacked him on the calves.
I smacked him on the leg. – 왼쪽이던 오른쪽이던 한 다리! On his left leg(왼쪽 다리, on his right leg(오른쪽 다리)
등으로 하면 더 일상적인 말투가 됩니다.
1140. I hit him with a rod.
-해석: 막대기로 그 애를 때렸어요.
-분석: "stick"과 비교
stick → 보통 나무 가지처럼 자연스럽고 가벼운 막대기
rod → (명사) 금속, 나무, 유리 등으로 된 긴 막대기, 더 단단하고 견고함 (예: 철봉, 낚싯대)
사실, I hit him with a stick/a rod. 같은 표현은 현재 학교상황에서는 사용할 일이 없답니다.
요즘 학교에서는 이런 체벌이 불법이죠.
미국: 대부분의 주에서 학교 체벌(corporal punishment)이 금지되어 있답니다.
단, 남부 일부 주(예: 텍사스, 미시시피 등)에서는 여전히 허용되긴 하지만 거의 사용되지 않는 답니다.
영국 (England, Wales, Scotland, Northern Ireland):
학교 체벌은 완전히 금지됨 (1998~2003년에 전면 금지됨)
그래서 오늘날의 학생들이 학교에서 막대기, 채찍, 회초리로 맞는 일은 법적으로 불가능하고, 그런 말도 안 써요.
하지만, 과거를 회상할 때는 사용가능 하겠죠.
My grandfather told me he got hit with a stick at school in the 1950s.
(우리 할아버지는 1950년대 학교에서 막대기로 맞았다고 말씀 하셨어.)
Back then, teachers would hit students with a willow switch.
(그 시절엔 선생님들이 회초리로 학생들을 때리곤 했지.)
He whipped me on the calves with a willow switch.
(그가 버드나무 가지로 내 종아리를 때렸지.)
“willow switch”는 흔히 벌 줄 때 쓰던 도구로, 특히 시골이나 예전 시대 이야기에서 자주 등장하는데, “whip, strike”와도 잘 어울려 나온답니다.
오늘날이라면 어떻게 말할까?
오늘날엔 “detention” (방과 후 벌), “suspension” (정학) 같은 말이 더 현실적입니다.
예:
I got detention for skipping class.
(무단 결석해서 벌로 방과 후에 학교에 남았어.)
I was suspended for three days.
(3일 동안 정학 당했어.)
그럼, 학생입장에서 몽둥이나 회초리로 맞는 이런 일이 일어나서 설명해야 하는 경우?
1. I was hit on the calves with a willow switch.
➡ 문어체 또는 중립적 서술
수동태 (was hit): 공식적이거나 중립적인 느낌
willow switch (버드나무 회초리): 고전적이고 다소 문학적인 표현
전체 문장 뉘앙스:
“나는 버드나무 회초리로 종아리를 맞았다.”
마치 사건 기록이나 보고서, 혹은 문학적인 서술 느낌이에요.
경찰서, 병원 기록, 일기, 소설에서 쓸 수 있음.
2. I got hit on the calves with a willow switch.
➡ 구어체, 더 일상적이고 감정이 실린 표현
get + p.p. 구조는 spoken English에서 매우 흔하고 자연스러움
감정이 들어간 표현에 자주 쓰임
전체 문장 뉘앙스:
“나 종아리 맞았어, 그것도 회초리로!”
억울함, 놀람, 불쾌감 같은 감정이 살짝 들어있음
친구한테 하소연하거나 말할 때 딱 좋아요.
예문 비교:
문어체
The boy was hit on the calves with a willow switch by the teacher.
(그 소년은 선생님에게 종아리를 회초리로 맞았다.)
구어체
I got hit on the calves with a willow switch for being late!
(지각했다고 회초리로 종아리 맞았어!)
Willow switch는?
"willow switch" → 가느다란 버드나무 가지
willow → 버드나무
switch → 가는 가지, 회초리 (특히 매질할 때 쓰는 가늘고 긴 나뭇가지)
"willow switch"는 가늘고 휘어지는 버드나무 가지로, 종종 회초리로 사용됨.
즉, "willow switch"는 가늘고 긴 버드나무 가지를 의미하며, 종종 휘어지기 쉬운 성질 때문에 채찍이나 회초리로 쓰임.
1141. I lashed him on the calf.
-해석: 회초리로 그 애의 종아리를 때렸어요.
-분석: lashed (동사, lash의 과거형)는 "(채찍, 줄, 끈 등으로)때렸다", "후려쳤다"는 의미로, on the calf (전치사구)는 "종아리에" (맞은 부위)을 때렸다는 의미랍니다. 종아리 하나는 on the calf 이고, 두 쪽은 on the calves 입니다.
위에서 충분히 설명해듯이 이런 “lash” 단어는 문어체적인 표현으로 소설이나 묘사를 하는 상황에서 주로 사용된답니다. 책 읽을 때 알아야 되니, 익혀 두세요!
구어체로는 “I hit him on the calves with a willow switch.” 라고 하면 되겠죠.
응용:
He lashed the horse to make it run faster.
(그 사람은 말을 빨리 달리게 하려고 채찍질했다.)
Waves lashed against the rocks.
(파도가 바위를 세차게 때렸다.)
1142. I spanked him.
-해석: 그 애를 때렸어요.
-분석: “spank (동사)”는” 손바닥으로 엉덩이를 때리다”라는 의미로 보통 아이를 혼낼 때 사용한답니다.
응용:
She spanked her child for misbehaving.
(그 여자는 아이가 버릇없이 굴어서 엉덩이를 때렸어요.)
I got spanked when I was little.
(어렸을 때 엉덩이를 맞았어요.)
주의점!
"spank"는 보통 손바닥으로 엉덩이를 때릴 때 쓰며, 주먹이나 막대기로 때리는 것은 "hit" 또는 "whip"을 사용해야 합니다.
"spank" vs. "smack" 차이점?
두 단어 모두 때리다는 의미이지만, 어떤 부위를 어떻게 때리는지 차이가 있답니다.
1. "spank"
엉덩이를 손바닥으로 때릴 때 사용 (특히 아이를 혼낼 때)
보통 처벌의 의미로 사용됨
동작이 여러 번 반복될 수도 있음
예문
The mother spanked her son for misbehaving.
(엄마가 아들의 버릇없는 행동 때문에 엉덩이를 때렸어요.)
특징:
보통 엉덩이를 때릴 때만 사용됨.
손바닥을 사용하지만, 회초리(whip, switch) 등을 사용할 수도 있음.
2. "smack"
신체의 어느 부위든 손바닥으로 세게 때릴 때 사용
단순한 타격이나 장난, 강조 등의 의미도 가능
"찰싹" 하는 소리를 동반할 수 있음
예문
She playfully smacked him on the arm.
(그 여자는 그 사람의 팔을 장난스럽게 때렸어요.)
- playfully 와 함께 on the arm 이라고 하면, 타격의 느낌이 나라라 “툭”의 뉘앙스랍니다.
I smacked my lips after eating the delicious meal.
(맛있는 음식을 먹고 입맛을 다시며 쩝 소리를 냈어요.)
I got smacked in the face.
(얼굴을 한 대 맞았어요.)
특징:
엉덩이뿐만 아니라 얼굴, 팔, 손 등 다양한 부위에 사용 가능.
I got smacked in the face"는 물리적 타격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지만, 감정적인 충격을 표현하는 데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문맥에 따라 실제적인 맞음이나 감정적인 충격을 모두 나타낼 수 있어요. (spank는 감정적인 충격으로 사용X)
실제적인 타격: "I got smacked in the face by a ball during the game." (경기 중에 공에 얼굴을 맞았어요.)
감정적 뉘앙스: "I got smacked in the face when I found out the news." (그 소식을 들었을 때 충격을 받았어요.)
"spank"는 보통 아이의 엉덩이를 손바닥으로 때리는 것
"smack"은 몸의 여러 부위를 손바닥으로 세게 때리는 것 (장난 포함 가능)
어원적으로 한번 살펴볼까요?
"spank"의 어원 분석
어원:
"spank"는 비교적 최근에 등장한 단어로, 정확한 기원은 불확실하지만 네덜란드어 또는 스칸디나비아 언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18세기 중반부터 영어에서 사용되기 시작함.
네덜란드어 "spannen" (팽팽하게 하다, 조이다)와 연관이 있을 수도 있음.
스웨덴어 "spanka" (때리다)와도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음.
어휘적 변화:
18세기부터 "손바닥으로 엉덩이를 때리다"는 의미로 사용됨.
주로 어린아이를 훈육하기 위해 엉덩이를 때릴 때 쓰이며, 성인 간의 처벌이나 장난에도 사용될 수 있음.
결론:
"spank"는 18세기 영어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네덜란드어나 스웨덴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큼. "때리다"는 의미를 가진 단어들과 연관이 있을 수 있음.
1143. I got smacked.
-해석: 맞았어요.
-분석: "smack"은 손바닥으로 세게 때리는 것을 의미한답니다.
특히 얼굴이나 머리를 손바닥으로 때리는 경우에 자주 사용된답니다.
응용:
I got smacked by my older brother.
(형 한테 맞았어.)
She got smacked in the face.
(그 여자는 얼굴을 맞았어.)
상황에 따라, 물리적으로 실제로 맞았을 수도 있고, 감정적으로 충격을 받았을 수도 있답니다.
He got smacked for talking back to his mom.
(걔는 엄마한테 말대꾸하다가 맞았어.)
"Smack"는 16세기 중반부터 사용된 영어 단어입니다. 이 단어는 "smakken"(중세 영어)에서 유래하였고, 이는 "때리다" 또는 "강하게 때리다"라는 뜻을 가집니다.
"Smack"는 원래 "치다", "때리다"는 뜻으로 쓰였으며, 그 후 "때리면서 나는 소리" 또는 "소리 내어 때리는 동작"으로 의미가 확장되었습니다.
1144. I punched him in the head.
-해석: 그 애의 머리를 쥐어박았어요.
-분석: "in the head"는 머리를 맞췄다는 의미랍니다.
응용:
I punched him in the face.
(얼굴을 주먹으로 쳤어.) 얼굴 전체를 의미.
I playfully punched him on the arm.
(장난스럽게 걔의 팔을 주먹으로 쳤어.) 주먹으로 살짝 친 경우!
I punched him in the stomach.
(배를 주먹으로 쳤어.)
I playfully punched him on the shoulder.
(장난스럽게 걔의 어깨를 주먹으로 쳤어.)
playfully라는 부사는 행동이 장난스럽고 공격적이지 않음을 나타냅니다!
I punched him in the mouth.
(입을 주먹으로 쳤어. 아구창을 날렸어.)
"in the head"처럼 "in"을 쓰는 경우는 머리, 얼굴, 배처럼 신체 내부에 영향을 주는 경우랍니다.
"on the arm"처럼 "on"을 쓰는 경우는 팔, 어깨처럼 표면을 치는 경우랍니다.
"I punched him on the arm."이라는 표현은 문맥에 따라 굉장히 다양한 감정을 표현할 수 있답니다.
예를 들어, affection(애정), emphasis(강조), frustration(좌절), annoyance(짜증) 모두 가능하답니다.
주로 남자들 사이에서는 일어 나는 상황이며, 여자들 사이에서는 주로 patting on the hand(손을 톡톡 두드리기), a quick hug(가벼운 포옹)가 더 선호된답니다.
1. Affection / 장난스러운 애정 표현
말장난 하거나 귀엽게 장난칠 때, 사랑스러운 타박 느낌!
예:
"You're so silly!" (and then punches him on the arm playfully)
해석:
→ "너 진짜 바보야~!" 하면서 팔을 툭 치는 느낌
이때는 강하게 때리는 게 아니라 가볍게 툭!
2.Emphasis / 강조
뭔가를 강조하면서 리액션으로 때릴 때
예:
“No way! Are you serious?!” punches him on the arm in surprise
해석:
→ "진짜야?! 말도 안 돼!" 하면서 감정이 복받쳐서 툭!
이건 일종의 놀람과 강조의 표현
3. Frustration / 좌절
상대가 실수했거나 답답한 상황에서 나오는 반응
예:
“Why didn’t you tell me earlier?” punches him on the arm in frustration
해석:
→ "왜 진작 말 안 했어?" 하면서 울컥해서 툭!
이 경우 살짝 강도가 있을 수도 있음 (그래도 여전히 죽도록 때리는 건 아님)
4. Annoyance / 짜증
짜증나거나 거슬릴 때 살짝 때리는 경우
예:
“Ugh, you're so annoying!” punches him on the arm
해석:
→ "아 진짜 짜증나!" 하며 팔을 툭 치는
실제 대화 속 느낌
이 문장은 표현의 강도와 표정/목소리/상황에 따라 완전히 달라진답니다.
그래서 "I punched him on the arm"만 딱 보면 어떤 감정인지 알 수는 없어요. 꼭 문맥이 함께 나와야 해요.
"I punched him on the shoulder."는 "I punched him on the arm."이랑 비슷하지만, 조금 더 위쪽이고, 조금 더 무겁거나 진중한 느낌이 들 수 있답니다.
역시 이 표현도 문맥과 말투, 상황에 따라 다른 감정으로 해석될 수 있어요.
"I punched him on the shoulder."는 어떤 상황?
1. 친근한 장난 (Affection, camaraderie)
친구끼리 웃고 장난치면서 톡! 때리는
예:
“You’re crazy, man!” (laughs and punches him on the shoulder) → "야, 너 진짜 웃긴다!" (웃으며 어깨 톡!)
2. 격려, 응원 (Support, encouragement)
말을 안 하고도 응원하는 느낌으로 툭!
예:
(After a game or difficult moment)
“You did good.” (punches him lightly on the shoulder) → "잘했어." 하면서 묵직한 응원의 어깨 펀치
3. 놀람, 당황, 강조
믿기지 않거나 과장된 리액션
예:
“You actually did it?!” (punches him on the shoulder in disbelief) → "야, 진짜 했어?" 하며 놀람
4. 살짝 짜증 (mild annoyance)
장난식 짜증 표현 (보통 약하게 때림)
예:
“You totally ditched me!” (half-jokingly punches him on the shoulder) → "나 완전 버렸잖아!" (웃는 얼굴로 때리지만 약간 진심도 있음)
정리하면,
"I punched him on the shoulder"는 상황에 따라:
친근한 장난
묵직한 응원
놀람 표현
살짝 짜증
→ 모두 가능! 하지만 전반적으로 좀 더 “형제 같은 느낌”, “진심이 섞인 표현”이 많아요!
"I punched him on the shoulder" 와 "I punched him in the shoulder"
— 둘 다 문법적으로 맞지만, 느낌과 뉘앙스, 용법에서 차이가 있답니다.
핵심 차이?
On the shoulder – 외무 표면에 툭. 보통 장난, 격려, 감정 표현(부상 아님)
In the shoulder – 어깨 안쪽, 관절, 근육 쪽. 실제 타격 느낌, 부상, 의학적 맥락.
예문 비교
1. on the shoulder
I punched him on the shoulder playfully.
→ 장난스럽게 어깨를 툭 쳤다.
(외부 표면에 가볍게)
He patted me on the shoulder and smiled.
→ 어깨를 두드리며 웃었다.
2. in the shoulder
I got punched in the shoulder during the fight.
→ 싸움 중 어깨를 제대로 맞았다.
(근육, 관절에 충격이 갔다는 뉘앙스)
I was shot in the shoulder.
→ 어깨에 총을 맞았다.
(몸 안쪽에 무언가 들어감 → 총알, 화살 등)
차이를 비유하자면:
on = 피부, 겉표면, 외부 접촉
(마치 가볍게 톡 치거나 만지는 것)
in = 내부, 조직, 관절
(마치 물리적으로 깊은 타격 또는 의료적 부상의 느낌)
회화에서 자주 쓰이는 건?
일상 대화, 장난 → on the shoulder
부상, 진짜 맞은 경우 → in the shoulder
정리 요약
on the shoulder = 겉에 살짝, 장난, 격려
in the shoulder = 실제 안으로 충격, 부상, 싸움
참고!
I punched his head. (X)
문법적으로 맞지만, 자연스럽지는 않아요.
이유: 왜 어색할까?
"punch"는 보통 몸의 특정 부위를 직접 맞히는 동작을 의미한답니다.
"I punched him in the head."이 그 사람의 머리를 가격했다는 의미로 자연스럽게 사용된답니다.
"I punched his head."은 마치 "머리"가 따로 존재하는 것처럼 들릴 수 있답니다.
신체 부위 표현의 자연스러움?
영어에서는 보통 "hit/punch/kick + 대상 + in the + 신체 부위" 형식이 가장 자연스럽답니다.
예) "I kicked him in the leg." (X "I kicked his leg." ← 덜 자연스러움)
예) "I hit him in the stomach." (X "I hit his stomach." ← 덜 자연스러움)
올바른 표현
I punched him in the head." → 가장 자연스러움
"I punched him on the head." → 가능하지만 "in the head"가 더 일반적임
"I punched his head." → 문법적으로 가능하나, 일반적으로 잘 쓰이지 않음!!!
"I punched him on the head." 이 표현도 상황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 있어요.
말투, 표정, 상황 맥락에 따라 장난일 수도 있고, 진심일 수도 있고, 공격일 수도 있어요.
"I punched him on the head." 상황별 해석?
1. 장난스럽게 (Playfully)
가볍게 머리 툭!
친구가 웃긴 말하거나 실수했을 때
예:
“You dummy!” (punches him lightly on the head)
→ "바보야~" (장난스럽게 머리 톡!)
2. 짜증/실망 (Frustration/Annoyance)
좀 짜증 나거나 어이없을 때 가볍게 툭!
예:
“You forgot again?” (punches him on the head)
→ "또 까먹었어?" 하면서 머리를 톡 치듯
3. 진짜 공격 (Serious fight or violence)
진심으로 때린 경우도 가능
이럴 땐 보통 "punched him in the head"를 더 씀!!!
예:
He got punched in the head during the brawl.
→ 싸움 중에 머리를 맞았다.
1145. I hit him in the head.
-해석: 그 애의 머리를 때렸어요.
-분석: "punch"와 마찬가지로 "hit"도 보통 "누구를 때린다"는 개념이 강해서 "in the head"처럼 표현하는 게 자연스럽답니다.
"I hit his head."는 문법적으로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 잘 쓰지 않아요.
"I hit him in the head."가 훨씬 자연스럽답니다.
“punch”도 “I punched his head. (X)”도 어색한 표현이며, “I punched him in the head.”가 자연스럽고, “kick”마찬가지로, “I kicked his leg. (X)”도 어색하답니다. “I kicked him in the leg.” 이 자연스럽답니다.
응용:
I accidentally hit him in the head with the ball.
(실수로 공으로 그의 머리를 쳤어요.)
She hit him in the head with a textbook during the argument.
(그 여자애가 논쟁 중에 교과서로 그의 머리를 쳤어요.)
He got hit in the head during the soccer game.
(걔는 축구 경기 중에 머리를 맞았어요.)
1146. I slapped her in the face.
-해석: 전 그 여자애의 얼굴을 때렸어요.
-분석: "I slapped her."는 "나는 그녀를 때렸다."로 어디를 때렸는지 불명확합니다.
"I slapped her in the face."는 "나는 그녀의 얼굴을 때렸다."로 얼굴을 맞았다는 걸 강조하고 있답니다.
"hit"나 "punch"처럼 "slap"도 보통 '누구를 어디를 때렸다'라는 의미에서 "in the face"와 함께 사용된답니다.
“I slapped her face.”은 문법적으로 맞지만, 잘 사용하지 않는 어색한 표현이랍니다.
왜 "I slapped her in the face."가 더 자연스러울까?
"slap"은 동작의 대상이 사람 전체!
"I slapped her."라고 하면 그냥 그녀를 때렸다는 뜻이고,
"in the face"를 붙여야 "얼굴을 때렸다"는 의미가 명확하답니다.
영어에서 "slap on the face"는 문법적으로 틀린 건 아니고, “on = 표면”이라는 의미로 쓸 수 있어요. 실제로 문법책이나 학습자료에서는 그렇게 설명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실제 원어민 사용에서는 상황에 따라 "in the face"가 훨씬 더 자연스럽고 일반적으로 쓰인다는 점이 중요하답니다.
1. “slap on the face”
문법적으로 가능.
의도적으로 표면을 때렸다는 의미에 더 가까움.
그러나 구어체에서는 어색하게 들릴 수 있음.
일부 문학적, 서술적 문장에서 가끔 등장.
예: He gave me a hard slap on the face. (가능하지만 덜 자연스러움)
2. “slap in the face”
원어민들이 일상적으로 가장 많이 쓰는 표현
보통은 모욕, 충격, 감정적인 타격을 포함한 의미로 자주 사용됨.
물리적 의미에서도 아주 자연스러움.
예: He slapped me in the face. → 완전히 자연스럽고 흔한 표현.
"I slapped him in the face." 이 표현은 실제로 때리지 않는 상황에서 자주 사용될 수 있습니다.
보통 비유적 의미나 강한 감정 표현에서 쓰일 때가 많아요.
1. 비유적 표현 또는 강한 감정 표현
"I slapped him in the face"는 실제로 손을 사용해 때린 것뿐만 아니라, 상대방에게 큰 충격을 주거나 모욕을 준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누군가가 당황스럽거나 무례한 행동을 했을 때 이 표현이 감정적으로 쓰일 수 있어요.
예:
"His words slapped me in the face."
(그의 말은 내게 큰 충격을 줬어요.)
(이 경우 실제로 때린 건 아니지만, 감정적으로 큰 충격을 받았다는 의미)
2. 과장된 표현
"I slapped him in the face"는 과장된 표현으로, 실제로 손바닥이 얼굴에 닿지 않았더라도 크게 당황하거나 불쾌감을 표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누군가가 너무 무례한 말을 했을 때 "그 말을 듣고 충격을 받았다"는 의미로 쓰일 수 있어요.
예:
"The news slapped me in the face."
(그 소식은 내게 큰 충격을 줬어요.)
3. 실제로 때리는 경우도 있지만, 드문 경우
물론 실제로 누군가의 뺨을 때리는 상황에서도 이 표현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통 "in the face"는 강한 타격을 의미하므로, 싸움이나 폭력적인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결론적으로,
"I slapped him in the face"는 실제로 때린 경우도 있지만, 강한 감정 표현이나 과장된 표현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실제로 물리적인 충격을 주지 않고 감정적으로 강한 반응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빈번하게 사용됩니다.
"I smacked him in the face"도 실제로 때리는 상황과 비유적인 표현 모두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smack"이 "slap"보다 더 강한 타격을 의미할 때가 많기 때문에, 실제로 물리적인 충격을 주는 경우가 더 자주 사용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유적 표현으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1. 실제로 때리는 상황
"Smacked him in the face"는 물리적인 강한 타격을 표현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smack"은 "slap"보다 더 강하고 임팩트 있는 느낌을 주므로, 실제로 얼굴을 강하게 때린 상황에서 더 많이 쓰입니다.
예:
"He was being disrespectful, so I smacked him in the face."
(그 사람이 무례했기 때문에 얼굴을 세게 때렸어요.)
2. 비유적 표현
"I smacked him in the face"는 상대방이 크게 충격을 받거나 모욕을 당한 상황을 비유적으로 나타낼 때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실제로 때린 것은 아니지만, 감정적으로 강한 충격이나 깊은 인상을 준 상황을 나타냅니다.
예:
"The harsh words smacked me in the face."
(그 말은 나에게 큰 충격을 줬어요.)
(실제로 때린 것은 아니지만, 말로 강한 충격을 받았다는 의미)
3. 비유와 실제
"Smack"은 대체로 물리적인 타격을 의미하므로 실제로 때린 상황에서 많이 쓰입니다. "Slap"보다 더 강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실제로 때린 경우가 더 많습니다.
하지만, 비유적으로 감정적인 충격이나 강한 반응을 표현할 때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I smacked him in the face"는 실제로 때린 상황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비유적 표현으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강한 충격이나 모욕을 나타낼 때도 쓰일 수 있습니다.
실제로 때리지는 않았지만, 감정적으로 큰 반응을 나타내는 경우는 드물지만 가능하며, "slap"보다는 "smack"이 더 강한 타격을 의미합니다.
“Slap” 과 전치사 “across”을 함께 사용하면?
I slapped him across the face.
손이 얼굴을 가로질러 지나가며 때리는 느낌이랍니다.
→ 뺨 하나에서 반대편까지 훑듯이 친 것처럼, 동작이 더 크고 드라마틱!
"across the face"는 "팍! 휘두르며 쳐서 얼굴이 돌아갈 정도"의 뉘앙스가 있습니다. 영화 대사에서 많이 나오는 건 across 쪽이에요.
참고로,
“전 그 여자의 뺨을 때렸어요.”를 “I slapped her cheek.”하면 문법적으로는 가능하지만 자연스럽지 않답니다. "I slapped her on the cheek." 라고 해야 더 자연스럽습니다.
왜 "I slapped her cheek."이 어색할까?
"slap"은 보통 사람을 목적어로 씀
"I slapped her." → "나는 그녀를 때렸다." (자연스러움)
"I slapped her cheek." → "나는 그녀의 뺨을 때렸다." (뺨을 독립적인 개체처럼 표현해서 어색함)
신체 부위를 강조할 때 "on + the + 신체 부위"를 씀
"I slapped her on the cheek."
"I tapped her on the shoulder."
"I patted her on the back."
어떤 특정한 부위에 직접적인 행동을 할 때는 "on"을 사용
"I kissed her on the cheek." (뺨에 키스했다.)
올바른 표현 정리!
"I slapped her cheek." (어색함)
"I slapped her on the cheek." (자연스러움)
"I slapped her in the face." (일반적으로 더 많이 씀)
1147. I made him stand in the corner.
-해석: 전 그 애를 구석에 가서 서있으라고 했어요.
-분석: "I made him"는 “나는 그를 ~하게 만들었다.”라는 의미로 사역동사 “make”을 사용한 표현이랍니다.
"stand" → 서다. (사역동사 뒤에는 원형동사 사용)
"in the corner" → 구석에서
"나는 그를 구석에 서 있게 했다." 라는 말은 벌을 주기 위해 구석에 서 있게 한 것이랍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아래의 표현이 많이 사용되겠죠.
"I knelt with my arms raised." (무릎을 꿇고 팔을 들었다.)
"I was kneeling with my arms raised." (무릎을 꿇은 상태에서 팔을 들고 있었다.)
"I sat on my knees with my arms raised." (무릎을 꿇고 앉아서 팔을 들고 있었다.)
신체적 체벌은 했다면 아래와 같이 설명할 수 있답니다.
“physical – 신체의”
"I physically punished her." 또는 "I gave her physical punishment."
"I received corporal punishment." 또는 "I was given corporal punishment."
"corporal punishment" 관련 자연스러운 표현:
“corporal – 신체의”
"He received corporal punishment for cheating."
(걔는 부정행위로 체벌을 받았어요.)
"The students were subjected to corporal punishment in the past."
(과거에는 학생들이 체벌을 받았어요.)
"Corporal punishment is banned in many countries."
(체벌은 많은 나라에서 금지되어 있다.)
구어체에서는 corporal punishment가 너무 격식적인 표현이라 보통 잘 쓰지 않고, 대신 "got punished" 같은 더 자연스러운 표현을 사용한답니다.
구어체 표현:
"I got punished." → (나 벌 받았어.)
"I got a beating." → (나 맞았어.)
"I got hit as punishment." → (체벌로 맞았어.)
"I was spanked." → (나 엉덩이 맞았어.) (특히 어린아이 체벌)
"I got smacked for talking back." → (말대꾸해서 뺨 맞았어.)
만약 학교에서 매를 맞았다는 걸 강조하고 싶으면 "I got hit at school.", "I got beaten at school." 이라고 하면 된답니다.
참고로,
"I got corporal punishment." → 어색함
"I got punished." → 구어체로 자연스러움
왜 "I got corporal punishment."이 어색할까?
"get"은 너무 일상적 → corporal punishment (체벌)은 격식적인 개념이므로 "receive", "be given" 같은 격식적인 동사를 쓰는 게 더 자연스러움.
"get"은 주로 구어체에서 사용 → 공식적인 개념인 corporal punishment와 어울리지 않는 답니다.
“I received corporal punishment." (격식적, 자연스러움)
“I was given corporal punishment." (격식적, 자연스러움)
"I was subjected to corporal punishment." (격식적, 공식적인 문장에 적합)
그 밖의 다른 처벌은?
1. In-school Detention 교내에 붙들어 두기. – 교내 봉사/잡일, 교내에 붙들어 두기, 보통 수업은 참석 가능, 반성문 쓰거나, 청소, 점심시간 봉사
2. After-school Detention 방과 후 남게 하기.
3. In-school Suspension 수업 참가 금지. – 격리된 교실, 수업 참여 금지
4. External Suspension 정학.
5. Expulsion 퇴학' 등이 있죠.
예문 – 구어체
I got punished with in-school detention.
(교내에 붙들어 두기 벌을 받았어요. – 교내 봉사/잡일 등)
I got punished with after-school detention.
(방과 후 남는 벌을 받았어요.)
I got detention. (더 간결하게)
(방과 후 남았어.)
I got punished with in-school suspension for fighting.
(싸워서 교내 정학 먹었어.)
I got punished with external suspension for talking back to the teacher.
(선생님한테 말대꾸 해서 정학 받았어.)
I got suspended for talking back to the teacher. (간결하게)
(말대답해서 정학 당했어.)
I got expelled. (expulsion 단어 차제가 격식적)
(퇴학 당했어.) (완전 구어체)
I was expelled for bringing drugs to school. (보통~격식까지)
(학교에 마약 가지고 온 것 때문에 퇴학 당했어.)
I got punished with running laps.
(운동장 뛰는 벌을 받았어.)
I got punished with a phone ban for a week.
(일주일 동안 휴대폰 금지 벌을 받았어.)
예문: 문어체 – 학교 공식문서, 보고서, 뉴스
I was given + [벌] (격식체)
→ I was given in-school detention.
I received + [벌] (격식체)
→ I received external suspension.
I got + [벌] (구어체)
→ I got detention.
I was given in-school detention as a punishment.
(교내 봉사를 벌로 받았어요.)
I received in-school detention.
(교내 봉사를 벌로 받았어요.)
I was given after-school detention because I didn’t do my homework.
(숙제 미 실시로 방과 후 남는 벌을 받았어요.)
I received in-school suspension for repeatedly disrupting class.
(수업을 계속 방해해서 수업 참가 금지 처분을 받았어요.)
I received external suspension.
(정학처분을 받았어요.)
I was given expulsion.
(퇴학 처분을 받았어요.)
I received expulsion as punishment.
(벌로 퇴학 처분을 받았어요.)
우리나라에서는 'I hopped like a rabbit (토끼 뜀을 했어요)'가 대표적인 벌칙이였죠. 지금은 이제 아니겠죠?
1148. I wrote a confession.
-해석: 반성문을 썼어요.
-분석: "a confession"은 “자백, 고백, 고해성사” 등을 의미한답니다.
여기서는 “나는 반성문을 썼다."라는 의미로 사용했는데, 문맥에 따라 범죄 자백일 수도 있고, 사랑 고백일 수도 있답니다.
"confession"의 응용:
1. 범죄 관련 자백
"He wrote a confession before turning himself in."
(그 사람은 자수하기 전에 자백문을 썼어요.)
"The police obtained a written confession."
(경찰은 서면 자백을 받았다.)
2. 사랑 고백
"She wrote a heartfelt confession of her feelings."
(그 여자는 자신의 감정을 담은 진솔한 고백문을 썼어요.)
3. 종교적 고해성사
"He wrote a confession of his sins before meeting the priest."
(그 사람은 신부님을 만나기 전에 자신의 죄를 고백하는 글을 썼어요.)
1149. I hit him with my fist.
-해석: 전 그 애를 주먹으로 때렸어요.
-분석: "hit" vs. "punch" 차이는?
"hit"은 일반적으로 때리는 행위 (손, 발, 물건 등으로 때릴 수 있음)이고, "punch"는 주먹으로 때리는 행위에 특화된 동사랍니다.
"I punched him." → 주먹으로 쳤다는 의미가 확실함!
"I hit him with my fist." → 같은 의미지만 덜 직접적임.
보통 "I punched him." 이 더 간단하고 일반적으로 사용된답니다.
응용:
I hit him with my fist as he insulted me.
(그 사람이 저를 모욕해서 주먹으로 쳤어요.)
He got angry and hit the wall with his fist.
(그 사람은 화가 나서 주먹으로 벽을 쳤어요.)
I hit him with my fist during the fight.
(싸움 중에 주먹으로 그 사람을 쳤어요.)
She was so frustrated that she hit the table with her fist.
(그 여자는 너무 화가 나서 주먹으로 테이블을 쳤어요.)
1150. I twisted his nose.
-해석: 전 그 애의 코를 비틀었어요.
-분석: 코와 관련하여 유사한 표현은,
I grabbed his nose and twisted. (걔의 코를 잡고 비틀었어요.)
I pinched his nose. (걔의 코를 꼬집어요.)
I pulled his nose. (코를 잡아당겼어요.)
응용:
I twisted his nose playfully, and he laughed.
(장난으로 걔의 코를 비틀었고, 걔는 웃었어요.)
I twisted his nose a little to show that I was serious.
(내가 진지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걔의 코를 조금 비틀었어요.)
She twisted his nose after he called her a name.
(그 여자애는 걔가 자기에게 욕을 하자 걔의 코를 비틀었어요.)
“Call + 사람 + a name – 욕하다”
1151. I scolded her.
-해석: 전 그 여자애를 야단 쳤어요.
-분석: '선생님에게 대들었어요' 라는 표현은 'I stood up to my teacher' 또는 'I defied my teacher' 라고 하면 된답니다. defy 에는 '공공연히 반항하다'라는 의미가 있어요.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1. I stood up to my teacher.
뜻: (두렵거나 권위 있는 사람에게) 맞서다, 대들다
강조: 용기 있게 맞섬
예:
She stood up to her bully.
걔는 괴롭히던 애에게 맞섰어.
→ “대들었어요”라고 말하고 싶을 때 가장 자연스럽고 회화적인 표현이에요.
2. I defied my teacher.
뜻: 공공연히, 뻔뻔하게 권위에 반항하다
뉘앙스: 좀 더 강하고 비판적인 느낌
(예의 없이, 반항적으로, 반역적으로 느껴질 수 있음)
예:
The students defied the principal’s orders.
(학생들이 교장 선생님의 지시에 공개적으로 반항했어요.)
→ 문어체나 공식적인 상황에서 쓰일 수 있고, 좀 더 강한 어조예요.
그래서,
"그 여자애는 선생님한테 대들다가 혼났어요."
“She stood up to her teacher and got scolded.”
1152. I rebuked her.
-해석: 그 여자애를 야단쳤어요.
-분석: “rebuke”는 “꾸짖다, 질책하다, 강하게 비난하다”라는 의미로, 공식적이고 단호한 질책을 의미해요. 감정이 실리기보다는 권위 있게 비판하는 느낌이 강해요.
응용:
The manager rebuked the employee for being late.
(매니저는 그 직원을 지각했다고 엄하게 꾸짖었다.)
비교:
I scolded her. → 일상적인 야단(감정 섞인 잔소리-주로 부모가 아이 혼낼 때)
I rebuked her. → 격식 있고 단호한 질책(권위적이고 공식적인 느낌)
I told her off. → 화를 내며 거칠게 혼냄 (구어체-영국식)
I yelled at her. → 걔에게 소리쳤어요. (혼내는 의미일 수도 있음)
공식적 질책하면, 앞에서 배운 reprimand 가 떠오르죠?
"reprimand" (공식적, 강한 꾸짖음)
보통 상사가 부하 직원에게, 교사가 학생에게 등 위에서 아래로 꾸짖을 때 사용
공식적이고 권위적인 느낌이 강함
심각한 실수나 규칙 위반이 있을 때 사용
예문:
The teacher reprimanded the student for cheating on the exam.
(선생님이 시험에서 부정행위를 한 학생을 꾸짖었다.)
The manager reprimanded him for being late to work.
(매니저가 그를 지각했다고 공식적으로 질책했다.)
She was reprimanded for speaking out of turn in the meeting.
(그녀는 회의에서 불필요한 발언을 해서 질책 받았다.)
speaking out of turn: 말을 가로막음, 순서가 아닌 때에 말함
→ 회의에서 정해진 순서 없이 끼어드는 것을 의미
The officer was formally reprimanded for his misconduct.
(그 장교는 부적절한 행동으로 공식적으로 질책받았다.)
The manager reprimanded the employee for violating company policy.
(매니저가 직원이 회사 규정을 어겼다고 질책했다.)
The president publicly reprimanded the minister for his failure.
(대통령이 장관의 실수를 공개적으로 질책했다.)
“reprimand”와 비슷하게 생긴 “reproach”도 다시 한번!
"reproach" (실망감을 담은 비난, 감정적)
강하게 혼내기보다는 실망감을 표현하며 부드럽게 비난
친구, 부모-자식, 연인 사이에서 더 자주 사용
공식적이지 않고 감정적인 느낌이 강함
예문:
She reproached him for forgetting their anniversary.
(그 여자는 그 사람이 기념일을 잊어버린 것에 대해 실망하며 나무랐어요.)
He looked at me with reproach when I broke my promise.
(그 사람은 내가 약속을 어겼을 때 실망스럽다는 표정으로 저를 바라보았어요.)
My mother reproached me for not calling her more often.
(엄마는 내가 자주 전화하지 않는다고 서운해 하며 타박하셨다.)
She reproached him for being selfish.
(그녀는 그가 이기적이라고 실망하며 나무랐다.)
He reproached his son for lying.
(그는 아들이 거짓말을 한 것에 대해 실망해서 나무랐다.)
His voice was full of reproach when he spoke to her.
(그가 그녀에게 말할 때 그의 목소리에는 실망감이 가득했다.)
"reprimand" → 매우 격식적. 공식적, 강한 꾸짖음 (상사 → 직원, 교사 → 학생)
"reproach" → 약간 격식적. 실망감을 담은 비난 (부모 → 자식, 친구 사이)
상사가 공식적으로 혼낼 때 → reprimand
친구나 가족이 실망해서 나무랄 때 → reproach
Thank you for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