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8-993) 강의 노트를 했어요 영어로(to take notes on the lecture)

978. I spelled a word wrong.
- 해석: 한 단어의 철자를 잘못 적었어요.
- 분석: "wrong"은 주로 형용사로 사용되지만, 부사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형용사로 사용될 때
"wrong"은 "잘못된", "틀린"을 의미하는 형용사로 사용됩니다.
예: "The answer is wrong." (그 답은 틀렸다.)
2. 부사로 사용될 때
"wrong"은 "잘못" 또는 "틀리게"라는 의미의 부사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 "I spelled the word wrong." (그 단어를 잘못 썼어요.)
이 경우, "wrong"은 "잘못"이라는 의미로 부사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wrong"은 부사로도 사용 가능하답니다.
다른 표현은?
"I spelled a word incorrectly."
"incorrectly"는 좀 더 공식적인 표현입니다.
"I misspelled a word."
"misspelled"는 "틀리게 쓴" 또는 "잘못 쓴"이라는 의미로, 더 정확하게 단어의 철자가 틀린 경우에 사용됩니다.
“spell”는 재미있는 단어입니다. 영어를 조금이라도 배운 사람이면 spelling(스펠링-철자)이라는 단어에는 익숙하죠(?) 이 단어를 다른 두가지 상황에서도 일상에서 즐겨 사용할 수 있답니다.
일단 각각의 상황에서 어원을 한 번 살펴 볼게요.
"Spell"은 의미에 따라 서로 다른 어원을 가진 두 가지 주요 용법이 있습니다.
1. 주문, 마법 (Magic Spell)
뜻: 주문, 마법
고대 영어: "spell" → 말, 이야기, 전언 – 여기서 speak(말하다)가 왔죠.
고대 노르드어: "spjall" → 말, 이야기
고대 독일어: "spel" → 말, 연설
원형: 게르만어 계열에서 "spel-" (말하다, 이야기하다)
어원적 의미
원래 "spell"은 단순히 "말" 또는 "이야기"를 의미했으며,
특정한 단어나 구절을 말하는 것이 주문(마법)과 연결되면서 "magic spell"이라는 의미로 발전했습니다.
예시:
cast a spell (주문을 걸다)
break a spell (주문의 효과를 깨다)
2. 철자를 쓰다 (Spell a Word)
뜻: 철자를 말하다, 글자를 나열하다
고대 프랑스어: "espeller" → 설명하다
라틴어: "expellere" → (ex- "밖으로" + pellere "밀다") → "쫓아내다"라는 뜻
고대 영어: "spellian" → 설명하다, 이야기하다
어원적 의미
원래 *"spellian"*은 "설명하다, 이야기하다"는 뜻이었으나,
후에 단어나 문자를 하나하나 말하는 것과 연결되면서 "철자를 말하다"라는 의미로 발전했습니다.
예시:
Can you spell your name? (네 이름을 철자대로 말할 수 있니?)
I always misspell that word. (난 항상 그 단어를 철자 틀리게 써.)
3. 짧은 기간 (For a Spell)
뜻: 짧은 기간 동안
중세 영어에서 "spell"은 짧은 기간을 의미하기도 했음.
예: I stayed there for a spell. (난 거기 잠깐 머물렀다.)
그럼, 동화책에 나오는 마법의 의미로 예문을 좀 더 살펴 볼게요.
"Cast a spell on" 의미와 용법
"Cast a spell on (someone/something)"은 "~에게 주문을 걸다, 마법을 걸다"라는 뜻입니다.
“cast”는 “던지다”의 의미인 동사입니다. Broadcast 아시나요? “멀리 던지다”라는 개념에서 “방송하다”라는 의미가 있답니다.
“on”은 접촉의 의미를 가지니 마법이 누군가 또는 뭔가 위에 뿌려 지는 느낌을 가져 보세요.
주로 마법적인 영향을 주거나, 비유적으로 강한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1. 직접적인 마법 의미
(마법을 이용해 상대를 조종하거나 변화를 일으킬 때)
The witch cast a spell on the prince and turned him into a frog.
→ 마녀가 왕자에게 주문을 걸어 개구리로 변하게 했어요.
The wizard cast a spell on the sword to make it unbreakable.
→ 마법사가 칼에 주문을 걸어 부서지지 않게 만들었어요.
2. 비유적인 의미 (강한 영향을 주다)
(누군가를 매료시키거나 강한 영향을 미칠 때)
She cast a spell on the audience with her incredible voice.
→ 그 여자는 놀라운 목소리로 관객들을 사로잡았다.
The beautiful scenery cast a spell on me.
→ 아름다운 풍경이 나를 매혹했어요.
He was so charming that he cast a spell on everyone at the party.
→ 그 사람은 너무 매력적이어서 파티에 있던 모두를 사로잡았어요.
"Cast a spell over"와 차이점?
"Cast a spell on" → 특정한 대상(사람/사물)에게 주문을 걸거나 영향을 줄 때
"Cast a spell over" → 좀 더 넓은 범위(군중, 장소 등)에 영향을 줄 때
예시 비교:
The witch cast a spell on the princess. (특정한 사람에게 주문을 걸다.)
The magician cast a spell over the entire kingdom. (나라 전체에 주문을 걸다.)
비유적으로도 많이 쓰이므로 일상 대화에서도 활용 가능!
한국에는 여름 장마가 있죠. 이 단어의 “기간”이라는 의미를 사용하여 표현 할 수 있답니다.
"A rainy spell"의 의미
의미:
"A rainy spell"은 "비가 오는 기간", 즉 "장마" 또는 "비가 자주 오는 시기"를 의미합니다.
이때 spell은 "(특정한) 기간"을 뜻하는 단어로 쓰입니다.
예문
We had a long rainy spell last week.
→ 지난주에 비 오는 날이 길었어. (장마였어.)
The rainy spell ruined our outdoor plans.
→ 장마 때문에 우리의 야외 계획이 망쳤어요.
After a long rainy spell, the sun finally came out.
→ 긴 장마가 끝나고 드디어 해가 나왔다.
"A dry spell" → 가뭄 기간 (비가 오지 않는 기간)
"A cold spell" → 한파 (일시적으로 매우 추운 기간)
"A hot spell" → 무더운 기간

979. I misspelled a word.
- 해석: 한 단어의 철자를 잘못 적었어요.
- 분석: "misspell"은 “철자를 잘못 쓰다”라는 동사입니다. 과거형은 misspelled가 기본이지만, 영국 영어에서는 misspelt도 사용됩니다.
응용:
"I often misspell difficult words." (어려운 단어들의 철자를 자주 틀려요.)
"I misspelt your name in the email." (내가 이메일에서 당신의 이름을 틀리게 썼어요.)
"Oh, I misspelled a word in the essay."
(아, 내가 에세이에서 단어 하나의 철자를 틀렸네.)
"Can you check if I misspelled anything?"
(내가 뭔가 철자를 틀렸는지 확인해 줄래?)
비슷한 표현으로,
"I made a spelling mistake."
(철자 실수를 했어요.)
"I wrote the word incorrectly."
(그 단어를 잘못 썼어요.)

980. I took notes on the lecture.
- 해석: 그 강의를 노트했어요.
- 분석: 강의를 들으면서 중요한 점을 기록했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take notes"는 “필기하다” 또는 “노트를 작성하다”라는 뜻의 관용적 표현입니다.
주로 수업, 강의, 회의 등에서 중요한 정보를 기록할 때 사용합니다.
전치사 "on"은 주제나 대상을 나타낼 때 자연스럽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강의 내용을 기반으로 필기했다"는 뜻입니다.
응용:
"I took notes on what the professor said during the lecture."
(강의 중에 교수님이 하신 말씀을 필기했어요.)
"She always takes detailed notes on every lecture."
(그 여자는 항상 모든 강의를 꼼꼼히 필기해요.)
비슷한 표현은?
"I made notes on the lecture." (조금 더 격식 있는 표현)
"I jotted down notes during the lecture." (간단히 필기했다는 뉘앙스)
- jot down: 간단하게 메모하다.
이 표현은 주의할 점이 있답니다.
Notes 를 note 라고, 셀 수 없는 명사로 사용하는 경우입니다.
"Take note"와 "Take notes"는 비슷해 보이지만, 의미와 사용 방식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1. Take note
의미: 주의를 기울이다, 기억해두다
"Take note"는 특정한 점에 집중하고 주목하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필기와는 관련이 없고, 마음속으로 기억하거나 주의를 기울이는 행위를 말합니다.
단수형으로만 사용됩니다.
예문:
"Take note of the new rules starting today."
(오늘부터 시작되는 새로운 규칙에 주의하세요.)
"Please take note of what I’m about to say."
(내가 지금부터 말할 내용을 주의 깊게 들어 주세요.)
특징:
주로 공식적이거나 중요한 정보를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필기하지 않아도 되며, 단순히 "중요한 정보를 기억하라"는 의미입니다.
2. Take notes
의미: 필기하다, 노트에 기록하다
"Take notes"는 강의, 수업, 회의 등에서 중요한 내용을 글로 기록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복수형으로 사용되며, 여러 가지 정보를 기록한다는 느낌을 줍니다.
예문:
"I took notes during the meeting to remember the key points."
(회의 중에 주요 내용을 기억하기 위해 필기했어요.)
"Students are encouraged to take notes on the lecture."
(학생들은 강의를 필기하라고 권장 받는다.)
특징:
글로 기록하는 행위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문맥상 여러 정보를 정리해서 필기한다는 뉘앙스를 전달합니다.
따라서, "take note"는 정보를 마음속에 새기거나 주목하는 뉘앙스, "take notes"는 정보를 기록하는 뉘앙스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그럼, Take a note 는?
"Take a note on the lecture"는 문법적으로는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 잘 사용되지 않는 표현입니다. 보통 영어에서는 "take notes on the lecture"를 사용합니다.
1. "Take a note"의 의미
"Take a note"는 특정 한 가지 정보만 필기하거나, 중요한 사항 하나를 기록한다는 뜻으로 쓰입니다.
즉, 단일한 정보에 초점을 맞추는 경우에 적합합니다.
예문:
"Take a note of this phone number."
(이 전화번호를 적어 두세요.)
"I took a note to remind myself to call her."
(내가 그녀에게 전화하라는 것을 기억하기 위해 메모를 남겼다.)
2. "Take notes"와의 차이
"Take notes"는 강의나 회의처럼 여러 정보를 기록하는 행위를 나타냅니다.
강의에서는 보통 많은 내용을 기록하기 때문에, 복수형 "notes"를 사용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습니다.
비교 예문:
"Take a note on the lecture."
→ 강의 중 특정한 하나의 정보만 기록한 느낌.
→ 일반적으로는 강의 전체에 대해 한 가지 정보만 기록하지 않으므로 잘 쓰이지 않음.
"Take notes on the lecture."
→ 강의 중 여러 내용을 기록했다는 의미로 더 자연스러움.
3. 실제 사용에서의 관습
영어에서는 강의, 수업, 회의처럼 많은 정보를 다룰 때는 복수형 "notes"가 관용적으로 사용됩니다.
"I took notes on the lecture."
(강의 내용을 필기했어요.)
따라서 강의 내용을 기록하는 상황이라면 "I took notes on the lecture."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981. I picked out main points and organized them.
- 해석: 요점정리를 했어요.
- 분석: "주요 사항들을 골라내어 그것들을 정리했다"는 의미로, 주요 포인트를 선택하고 그것을 정리한 행동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pick out"은 어떤 것들을 “선택하다, 골라내다”라는 뜻입니다. 여러 가지 중에서 중요한 부분이나 필요한 부분을 선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main points"는 핵심 사항들, 주요 포인트들을 뜻합니다. 어떤 주제나 이야기에서 중요한 부분들을 지칭하는 표현입니다.
"organized"는 “정리했다, 배열했다”라는 뜻으로, 골라낸 포인트들을 더 체계적이고 이해하기 쉽게 배열한 것을 의미합니다.
응용:
"I picked out the main points from the article and organized them into a summary."
(그 기사에서 주요 사항들을 골라내어 요약으로 정리했어요.)
"After picking out the key facts, I organized them into sections for my report."
(주요 사실들을 골라낸 후, 그것들을 내 보고서를 위한 섹션으로 정리했어요.)
“organize”의 어원은 아래와 같습니다.
"Organize"의 어원 분석
1. 어원 (Etymology)
고대 프랑스어 (Old French): organiser → 배열하다, 구성하다
중세 라틴어 (Medieval Latin): organizare → 조직하다, 구성하다
라틴어 (Latin): organum → 도구, 기구, 기관
고대 그리스어 (Ancient Greek): ὄργανον (órganon) → 도구, 악기, 기능하는 기관
2. 의미의 변화
원래 "ὄργανον (órganon)"은 "도구, 기구, 악기, 신체 기관"을 뜻했음.
라틴어 organum에서도 비슷한 의미로 사용됨.
중세 라틴어 organizare를 거치면서 "체계적으로 배열하다, 조직하다"라는 의미가 추가됨.
결국 현대 영어의 "organize"는 "구성하다, 조직하다, 정리하다"의 뜻을 가지게 됨.
3. 관련 단어 (같은 어원을 가진 단어들)
Organ → 기관(인체 기관, 조직), 오르간(악기)
Organization → 조직, 단체
Organic → 유기적인, 자연적인
Organism → 생물, 유기체
Orchestra → 오케스트라 (여러 악기가 조화를 이루는 개념에서 파생)
"Organize"는 원래 도구나 기구가 정렬되는 개념에서 나온 말!

982. I marked some important facts with a pen.
- 해석: 펜으로 중요한 부분을 표시했어요.
- 분석: "mark"는 “표시하다”, “표시를 남기다”라는 뜻입니다. 보통 중요하거나 특별한 점을 표시할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중요한 사실들에 표시를 했다는 의미입니다.
"important facts"는 중요한 사실들을 뜻합니다. 주어진 문맥에서 어떤 중요한 정보나 사실들을 나타냅니다.
"with a pen"은 “펜을 사용하여”라는 의미로, 표시한 도구가 펜임을 명시합니다.
응용:
"I marked the key points in the article with a highlighter."
(그 기사에서 핵심 포인트를 형광펜으로 표시했어요.)
"I marked the correct answers with a red pen."
(정답에 빨간 펜으로 표시를 했어요.)

983. I copied my friend's notes.
- 해석: 친구의 노트를 베꼈어요.
- 분석: “copy"는 “복사하다”라는 뜻입니다. 여기서는 친구의 필기 내용을 그대로 옮겼거나 똑같이 만들었다는 의미입니다.
“notes"는 필기, 메모를 의미합니다. 친구가 작성한 필기나 메모를 복사했다는 뜻입니다.
응용:
"I copied my friend's notes because I missed the class."
(수업을 놓쳐서 친구의 필기를 복사했어요.)
"She copied her friend's notes to study for the exam."
(그 얘는 시험 공부를 위해 친구의 필기를 복사했어요.)

984. I put some lead in the mechanical pencil.
- 해석: 제 샤프에 심을 좀 넣었어요.
- 분석: 샤프는 정확하게 mechanical pencil 이랍니다. “lead"는 연필 심을 뜻합니다. 샤프에 사용되는 심을 말하며, 때로는 pencil lead라고도 합니다.
응용:
"I put some lead in the mechanical pencil because it was running out."
(샤프에 심이 다 떨어져서 새로운 심을 넣었어요.)
"Make sure you put enough lead in the pencil before the test."
(시험 전에 연필에 심을 충분히 넣어 두는 것을 확인하세요.)
"Lead"는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그 의미에 따라 발음이 달라집니다. 발음 차이에 대해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할게요.
1. 연필 심 (Pencil Lead) - 발음: /lɛd/ /레드/
"Lead"가 연필 심을 의미할 때, 발음은 /lɛd/로, "led – 레드"처럼 발음됩니다.
이 발음은 흑연(graphite)으로 만든 연필 심을 의미하며, 영어에서 "lead"라고 쓰지만 발음은 "led"처럼 됩니다.
예문:
"I need to refill the lead in my mechanical pencil."
(기계식 연필-샤프에 심을 다시 채워야 해요.)
"The lead in my pencil is broken."
(내 연필 심이 부러졌어요.)
2. 납 (Chemical Element) - 발음: /lɛd/
"Lead"가 납(chemical element)이라는 의미일 때도 발음은 /lɛd/로, "led"처럼 발음됩니다.
납은 화학 원소로, 원소 기호는 Pb입니다.
예문:
"Lead is toxic to humans."
(납은 인간에게 독성이 있다.)
"The pipes were made of lead."
(그 파이프는 납으로 만들어졌다.)
3. 주도권, 선두 (Lead in a Competition) - 발음: /liːd/ /리드/
"Lead"가 경기에서 선두, 주도권을 의미할 때는 발음이 /liːd/로, "reed" “리드”와 비슷하게 발음됩니다.
예를 들어, 경기에서 선두를 달리거나 어떤 일을 이끌고 있는 상태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예문:
"She is in the lead in the race."
(그 여잔 경주에서 선두에 있어요.)
"The team is leading in the competition."
(그 팀은 대회에서 선두에 있어요.)
4. 이끌다, 안내하다 (Lead as a Verb) - 발음: /liːd/
"Lead"가 “이끌다, 안내하다”라는 의미일 때도 발음은 /liːd/로, "reed"와 비슷하게 발음됩니다.
이는 동사로 사용될 때, 어떤 사람이나 그룹을 이끌다는 의미입니다.
예문:
"He will lead the team in the project."
(그 사람이 프로젝트에서 팀을 이끌것입니다.)
"She leads the group with confidence."
(그 여잔 자신감을 가지고 그룹을 이끌어요.)
결론적으로,
"Lead" (연필 심, 납): /lɛd/ (led/레드/처럼 발음)
"Lead" (주도권, 이끌다): /liːd/ (reed/리드/처럼 발음)
발음 차이를 이해하고 맥락에 맞는 발음을 사용하면 자연스럽고 정확한 표현이 됩니다!

985. I opened the book to page 88.
- 해석: 그 책의 88페이지를 폈어요.
- 분석: “to page 88”에서 "to"는 특정한 위치나 페이지로 가는 방향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책을 88페이지로 넘겼다는 의미입니다.
다른 예: "I opened the book to the first chapter." (책을 첫 번째 장으로 넘겼어요.)
응용:
"I opened the book to the middle and started reading."
(책을 중간 페이지로 넘기고 읽기 시작했어요.)
"She opened the book to the last page."
(그 여자는 책을 마지막 페이지로 넘겼어요.)

986. I studied the multiplication table.
- 해석: 구구단을 공부했어요.
- 분석: "multiplication table"은 구구단을 의미합니다. 수학에서 곱셈의 결과를 정리한 표를 나타냅니다.
다른 예: "I memorized the multiplication table when I was young." (어렸을 때 구구단을 외웠어요.)
응용:
"I studied the multiplication table until I had it memorized."
(구구단을 외울 때까지 공부했어요.)
"She studied the multiplication table every day."
(그 여잔 매일 구구단을 공부했어요.)

987. I added 2 to 3.
- 해석: 3에 2를 더했어요.
- 분석: “2 to 3”에서 "to"는 두 수를 더하는 관계를 나타내는 전치사입니다. "2 to 3"은 3에 2를 더하는 연산을 나타냅니다.
다른 예: "I added 5 to 10." (나는 10에 5를 더했다.)
응용:
"I added 4 to 7 and got 11."
(7에 4를 더해서 11을 얻었어요.)
"He added 3 to 8 during the math quiz."
(그 얘는 수학 퀴즈에서 8에 3을 더했어요.)

988. I subtracted 2 from 7.
- 해석: 7에서 2를 뺐어요.
- 분석: "subtract"는 빼다라는 뜻입니다. 여기서 "subtracted"는 과거형으로, 7에서 2를 뺐다는 의미입니다.
"from"은 빼는 대상을 나타내는 전치사입니다. "2 from 7"은 7에서 2를 뺀 결과를 나타냅니다.
응용:
"I subtracted 5 from 12 and got 7."
(12에서 5를 빼서 7을 얻었다.)
"She subtracted 6 from 15 during the test."
(그녀는 시험 중에 15에서 6을 뺐다.)
“Subtract”의 어원은 아래와 같답니다.
"Subtract"의 어원 분석
1. 어원 (Etymology)
라틴어 (Latin): subtrahere → 빼다, 제거하다
sub- (아래, 밑에서) + trahere (끌다, 당기다)
고대 프랑스어 (Old French): soustraire → 빼다, 공제하다
중세 영어 (Middle English): subtracten → 수에서 빼다
즉, "subtract"는 라틴어 subtrahere에서 유래하였으며, "아래로 끌어내리다" → "제거하다, 빼다"라는 의미로 발전함.
2. 의미의 변화
고대 라틴어 subtrahere → "아래로 끌어당기다, 빼내다"
중세 영어 subtracten → "수에서 빼다"의 의미로 정착
현대 영어 "subtract" → 수학적 연산(빼기), 개념적 제거의 의미로 사용
3. 관련 단어 (같은 어근을 가진 단어들)
Subtraction → 뺄셈 (subtract + -ion)
Detract → (가치 등을) 떨어뜨리다 (de- (떨어져) + trahere)
Attract → 끌어당기다 (ad- (향해) + trahere)
Contract → 수축하다, 계약하다 (con- (함께) + trahere)
Extract → 뽑아내다 (ex- (밖으로) + trahere)
4. 예문과 활용
수학적 의미로 사용
If you subtract 5 from 10, you get 5.
→ 10에서 5를 빼면 5가 된다.
The teacher taught the students how to subtract large numbers.
→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큰 수를 빼는 방법을 가르쳤다.
일반적 의미로 사용
He tried to subtract himself from the argument.
→ 그 사람은 논쟁에서 빠져나가려고 했어요.
Subtract unnecessary details to make your essay clearer.
→ 불필요한 세부 사항을 빼서 에세이를 더 명확하게 만들어라.

989. I divided 20 by 5.
- 해석: 20을 5로 나누었어요.
- 분석: “divide"는 “나누다”라는 뜻입니다. 여기서 "divided"는 과거형으로, 20을 5로 나눴다는 의미입니다.
"by"는 나누는 수를 나타내는 전치사입니다. "20 by 5"는 20을 5로 나누는 연산을 나타냅니다.
응용:
"I divided 30 by 6 and got 5."
(30을 6으로 나누어서 5를 얻었어요.)
“divide”의 어원은 아래와 같습니다.
라틴어 (Latin): dividere → 나누다, 분리하다
dis- (떨어져) + videre (분리하다, 쪼개다)
고대 프랑스어 (Old French): diviser → 나누다
중세 영어 (Middle English): dividen → 나누다, 분할하다
즉, "divide"는 라틴어 dividere에서 유래했으며, "떨어져 나누다"라는 의미에서 발전하였답니다.
주워 갈 수 있는 다른 단어들?
같은 어근을 가진 단어들:
Division → 분할, 나눗셈 (divide + -ion)
Individual → 개인, 개별적인 (in- (not) + dividere → "나눌 수 없는")
Indivisible → 나눌 수 없는 (in- (not) + dividere)
Subdivide → 세분화하다 (sub- (아래, 하위) + divide)

990. I multiplied 5 by 10.
- 해석: 5에 10를 곱했어요.
- 분석: "multiply"는 “곱하다”라는 뜻입니다. 여기서 "multiplied"는 과거형으로, 5와 10을 곱했다는 의미입니다.
"by"는 곱하는 수를 나타내는 전치사입니다. "5 by 10"은 5에 10을 곱하는 연산을 나타냅니다.
응용:
"I multiplied 8 by 7 and got 56."
(8에 7을 곱해서 56을 얻었다.)
“Multiply” 의 어원은 아래와 같답니다.
"Multiply"의 어원 분석
1. 어원 (Etymology)
라틴어 (Latin): multiplicare → 증가시키다, 배가하다
multus (많은) + plicare (접다, 겹치다)
고대 프랑스어 (Old French): multiplier → 증가시키다
중세 영어 (Middle English): multiplien → 곱하다, 증가시키다
즉, "multiply"는 라틴어 multiplicare에서 유래했으며, "많이 겹치다" → "배가하다, 곱하다"라는 의미로 발전함.
2. 의미의 변화
고대 라틴어 multiplicare → "배로 늘리다, 증가시키다"
중세 영어 multiplien → 수학적 곱셈뿐만 아니라 개체 수 증가의 의미 포함
현대 영어 "multiply" → 수학적 연산뿐만 아니라 수나 양을 증가시키는 의미로 사용
3. 관련 단어 (같은 어근을 가진 단어들)
Multiple → 다수의, 여러 개의 (multi- (많은) + -ple (접다, 겹치다))
Multiplication → 곱셈, 증식 (multiply + -ion)
Multiplier → 곱하는 것, 증식 요인 (multiply + -er)
Multiplex → 다중의, 복합적인 (multi- (많은) + plex (접다, 얽히다))
결론적으로,
"Multiply"는 라틴어 multiplicare ("많이 겹치다, 증가하다")에서 유래!
수학적 곱셈뿐만 아니라 생물학적 증식, 책임 증가 등의 개념으로 확장됨!
"Multiple"과 같은 단어들과 어원을 공유하며, "많은, 겹치는" 개념이 중심!
“-ply” 는 “접다”의 의미를 가진 라틴어로, 이 단어를 알면 더 많은 단어를 주워갈 수 있답니다.
"Ply"가 포함된 단어들 & 의미 분석
"Ply"의 기본 어원
라틴어: plicare → 접다, 구부리다 (fold, bend)
고대 프랑스어: plier → 구부리다, 접다
중세 영어: plyen → 접다, 사용하다
즉, "ply"는 기본적으로 접거나 겹치는 것, 또는 반복적으로 사용/작업하는 것과 관련이 있음.
1. "Ply"가 포함된 단어들
1) 접다, 겹치다 관련
Apply (ap- = to + ply = fold) → 적용하다, 바르다
Comply (com- = together + ply = fold) → 따르다, 순응하다
Multiply (multi- = many + ply = fold) → 곱하다, 증가시키다
Supply (sub- = under + ply = fold) → 공급하다
Reply (re- = again + ply = fold) → 대답하다 (말을 다시 접어서 보낸다는 개념)
2) 반복, 사용 관련
Employ (em- = in + ploy = fold, use) → 고용하다, 사용하다
Deploy (de- = out + ploy = fold) → 전개하다, 배치하다
Exploit (ex- = out + ploit = fold, unfold) → 이용하다, 착취하다
3) 여러 겹, 층 관련
Plywood (ply = 겹 + wood = 나무) → 합판 (여러 겹의 나무)
Three-ply mask → 3중 필터 마스크 (겹이 3개)
Multi-ply fabric → 다층 구조의 천
결론적으로,
"Ply"는 "접다(fold)"에서 출발해 "반복, 사용, 겹, 수송" 등의 의미로 확장됨!
많이 쓰이는 단어들: apply, comply, multiply, supply, employ, deploy!
plywood 같은 단어에서는 "겹"의 의미가 살아 있음!
즉, "Ply"가 들어간 단어는 '접다'에서 출발해, '적용, 사용, 배치, 겹치기' 같은 개념으로 발전했다고 보면 됨!

991. I mumbled.
- 해석: 혼자서 중얼중얼 했어요.
- 분석: “mumbled”는 "mumble"의 과거형입니다. "mumble"은 "중얼거리다", "조용히 말하다" 또는 "불분명하게 말하다"는 뜻입니다. 일반적으로 다른 사람이 잘 듣지 못하게 낮은 목소리로 말할 때 사용합니다.
응용:
"I mumbled my apology."
(사과를 중얼거렸어요.)
"He mumbled an excuse when I asked him about it."
(그 사람은 내가 그것에 대해 물었을 때 변명을 중얼거렸어요.)
“Stop mumbling! Speak clearly.”
(중얼거리지 말고 똑바로 말해!)
"Mumble"의 어원 분석
1. 어원 (Etymology)
고대 프랑스어 (Old French): mombler → 중얼거리다
고대 영어 (Middle English): mumlen → 웅얼거리다, 조용히 말하다
게르만어 기원 (Germanic origin): "입속에서 조용히 말하다"는 개념
즉, "mumble"은 입을 완전히 벌리지 않고 흐릿하게 말하는 것에서 유래함.
2. 의미 변화
초기 (14세기~) → "작고 조용한 소리로 말하다"
현대 영어 (16세기~) → "분명하지 않게 중얼거리다" (불분명한 발음 강조)
3. 관련 단어
Murmur → 낮고 부드럽게 속삭이다 (의성어적 요소 포함)
Mutter → 불평하듯 낮은 목소리로 중얼거리다
Grumble → 투덜대다, 불평하다
Stammer → 말을 더듬다
결론적으로,
"Mumble"은 "입속에서 웅얼거리다"는 뜻의 고대 프랑스어 및 중세 영어에서 유래!
"Murmur"와 비슷하지만, "mumble"은 특히 불분명한 발음에 초점! “우물우물 말하다” 이죠.
"Mutter"와 비교하면 "mutter"는 불평조로 말하는 뉘앙스가 강함. “투덜투덜 말하다”의 의미를 있어요.
즉, "mumble"은 말을 또렷하게 하지 않고, 알아듣기 어렵게 웅얼거리는 걸 의미함!
“murmur”와 “mumble”을 좀 더 상세하게 비교해 볼게요.
"murmur"와 "mumble"은 둘 다 작고 불분명한 소리를 내는 것을 의미하지만, 뉘앙스와 쓰임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1. murmur
작고 부드러운 목소리로 속삭이듯 말하는 것
보통 여러 사람이 웅성거리는 소리나 감정이 담긴 속삭임을 의미함.
명확하지 않고 조용히 말하는 느낌이 강함.
때때로 불평하거나 중얼거릴 때도 사용됨.
심장이나 물 흐르는 소리처럼 일정한 작은 소리를 표현할 때도 씀.
예문:
She murmured something in her sleep.
(그 여잔 잠결에 무엇인가 중얼거렸어요.)
He murmured his love for her.
(그 사람은 그녀에게 사랑을 속삭였어요.)
2. mumble
발음이 부정확하거나 입을 덜 벌리고 웅얼거리듯 말하는 것
불분명하고 또렷하지 않게 말할 때 사용됨.
주로 자신감이 없거나, 피곤하거나, 신경을 안 쓰는 태도로 말할 때 사용함.
상대방이 "뭐라고?" (What?) 하고 다시 물어볼 가능성이 큼.
예문:
He mumbled something, but I couldn't understand him.
(그 사람이 뭔가 웅얼거렸지만, 전 이해할 수 없었어요.)
Stop mumbling and speak clearly!
(웅얼거리지 말고 또박또박 말해!)
쉽게 기억하는 법
"murmur" → 속삭이듯 말하거나 조용히 웅성거리는 느낌.
"mumble" → 입을 덜 벌리고 웅얼거리며 말해서 잘 안 들리는 느낌.
예를 들어, "사랑해"라고 말할 때:
"I love you," he murmured. → (부드럽고 조용하게 속삭임)
"I love you," he mumbled. → (입을 웅얼거리며 말해서 상대방이 못 알아들음)
결론적으로,
murmur는 속삭이듯 조용히 말하는 것이고, mumble은 웅얼거려서 잘 안 들리게 말하는 것입니다!
"Mumble" vs. "Stammer" 차이점은?
둘 다 말을 또렷하게 하지 못하는 상태를 뜻하지만, 그 이유와 상황이 다름!
1. Stammer
뜻: 말을 더듬는 것 (소리를 반복하거나 막힘)
원인:
긴장, 불안, 공포
언어적 장애 (예: 말더듬 증상)
갑작스럽게 놀라거나 당황한 상태
예문:
He stammered nervously during his speech.
→ 그 사람은 연설 중에 긴장해서 말을 더듬었어요.
"I... I don't know," she stammered.
→ "나... 나도 몰라," 그녀는 말을 더듬으며 말했다.
즉, "stammer"는 심리적인 요인이나 신체적 이유로 말이 막히고 반복되는 현상!
결론적으로,
"Mumble" → 작고 불명확하게 말함. (소리는 나오지만 흐릿함)
"Stammer" → 말이 막히거나 반복됨. (긴장이나 장애로 인한 현상)
즉, "mumble"은 작고 불분명한 발음이고, "stammer"는 말이 막히거나 반복! 더듬더듬!
"murmur" vs. "whisper" vs. "mumble" 비교?
"I murmured 'I love you' in her ear." → 부드럽고 친밀한 분위기, 다소 나지막한 중얼거림, 로맨틱 하죠!!
"I whispered 'I love you' in her ear." → 비밀스럽거나 조용한 느낌, 상대에게만 들리도록 속삭임
"I mumbled 'I love you' in her ear." → 부끄러워서 웅얼거리거나, 자신 없고 불분명한 말투. 상대방이 못 알아 들을 수도 있답니다!

992. I put a bookmark in the book.
- 해석: 책갈피 하나를 책에 끼웠어요.
- 분석: put는 "넣다" 또는 "두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bookmark는 "책갈피"를 의미하며, 책의 특정 페이지를 표시하는 도구입니다.
in the book는 "책 안에" 또는 "책에"를 의미하며, 책갈피를 책의 페이지 사이에 넣는 행동을 나타냅니다.
응용:
"I put a bookmark in the novel to remember where I left off."
(내가 읽던 부분을 기억하기 위해 소설에 책갈피를 넣었어요.)
"She put a bookmark in her favorite chapter."
(그 여잔 좋아하는 장에 책갈피를 넣었어요.)

993. I closed my book.
- 해석: 책을 덮었어요.
- 분석: "I shut my book." → "close"와 거의 같은 의미지만, "shut"은 조금 더 단호한 느낌을 줄 수 있답니다.
응용:
I closed my book and went to bed.
(난 책을 덮고 잠자리에 들었어요.)
After finishing the last chapter, I closed my book with a satisfied smile.
(마지막 장을 다 읽고, 만족스러운 미소를 지으며 책을 덮었어요.)
I closed my book as soon as the teacher entered the classroom.
(선생님이 교실에 들어오자마자 책을 덮었어요.)
She closed her book and looked out the window, lost in thought.
(그 여잔 책을 덮고 창 밖을 바라보며 생각에 잠겼어요.)
As the train arrived at my stop, I quickly closed my book and grabbed my bag.
(기차가 내 정거장에 도착하자, 전 얼른 책을 덮고 가방을 챙겼어요.)
Thank you for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