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45-960) 우등생 영어로(a straight A student)
945. I was the teacher’s pet.
- 해석: 저는 그 선생님의 귀여움을 많이 받았어요.
- 분석: "teacher's pet(교사의 애완동물)"은 교사의 총애를 받는 학생을 뜻하는 표현입니다. 즉, 교사가 매우 좋아하고, 특별히 아끼는 학생을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교사의 말에 잘 따르고, 자주 칭찬을 받거나 특별한 대우를 받는 학생을 일컫습니다.
응용:
In elementary school, I was the teacher's pet because I always did my homework on time and helped others.
(초등학교 때, 저는 항상 숙제를 제시간에 하고 다른 사람들을 도와주어서 교사의 총애를 받았어요.)
He was the teacher's pet, always raising his hand first and answering every question correctly.
(걔는 교사의 총애를 받는 학생이었고, 항상 가장 먼저 손을 들고 모든 질문에 정확하게 대답했어요.)
946. I was a bookworm.
- 해석: 저는 책 벌레였어요. (책을 많이 읽는 사람이었어요.)
- 분석: "bookworm"은 책을 매우 좋아하는 사람을 뜻하는 표현으로, 주로 책을 많이 읽는 사람을 가리킵니다. 이 표현은 보통 긍정적인 의미로, 책을 즐겨 읽는 사람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응용:
"When I was younger, I was a bookworm and spent most of my time reading novels."
(어렸을 때 나는 책벌레였고 대부분의 시간을 소설을 읽는 데 보냈다.)
"She used to be a bookworm, always carrying a novel in her bag."
(걔는 예전에는 책벌레였고, 항상 가방에 소설을 넣고 다녔어요.)
947. I was a straight-A student.
- 해석: 저는 우등생이었어요.
- 분석: 우리나라 말로는 “올백”을 맞는 학생이라는 말이죠.
"straight A student"는 모든 과목에서 A를 받은 학생을 의미합니다. 즉, AAAAAAAAA~을 직선으로 받은 성적이 매우 뛰어난 학생을 가리킬 때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응용:
"In high school, I was a straight A student and always worked hard to maintain my grades."
(고등학교 때, 나는 모든 과목에서 A를 받았고 성적을 유지하기 위해 항상 열심히 노력했어요.)
"She was a straight A student throughout college and earned numerous scholarships."
(그 여자애는 대학 내내 모든 과목에서 A를 받았고 여러 개의 장학금을 받았어요.)
948. I was present.
- 해석: 출석 했어요.
- 분석: 이 표현은 "나는 그 자리에 있었다" 또는 "나는 참석했다"라는 의미로도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학교의 맥락이니 "present"가 “출석한”의 의미를 가진답니다.
응용:
The teacher asked if anyone was absent, and I said, "I was present." (선생님은 누가 결석했는지 물었고, 나는 "저는 출석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 표현은 회의, 수업, 행사 등에서 참석을 강조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Present"의 어원은 라틴어에서 유래하였으며, 주로 "현재의" 또는 "선물"이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 단어는 두 가지 주요 의미를 가진 동사 및 형용사로 사용됩니다.
"Present"의 어원:
①동사로서의 "present":
어원: 라틴어 "praesentare"에서 유래, 이는 "prae-"(앞에) + "esse"(있다)에서 파생되었습니다. "앞에 있다"라는 의미에서, "무언가를 주거나 보여주다"는 뜻으로 발전하였습니다.
의미: "주다", "제시하다", "선물하다" 등의 뜻으로 사용됩니다.
②형용사로서의 "present":
어원: 라틴어 "praesens"에서 유래, "prae-"(앞에) + "esse"(있다)에서 유래하며, "현재 있는", 즉 "지금 여기에 존재하는"이라는 의미로 발전하였습니다.
의미: "현재의", "존재하는", "지금 이 순간에"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결론적으로,
"Present"는 라틴어 "praesentare" 또는 "praesens"에서 유래, "앞에 있다"는 뜻에서 발전하여 "지금 여기 존재하다" 또는 "선물하다"로 확장되었습니다.
예시:
동사: "I will present my findings at the meeting." (회의에서 내 결과를 발표할 것이다.)
형용사: "She is present at the event." (그 여자는 그 행사에 참석해 있어요.)
명사: "This is a gift for you, a small present." (이건 너를 위한 선물이다.)
"Esse"는 라틴어에서 "존재하다" 또는 "있다"는 뜻을 가진 동사입니다. 이 어근에서 파생된 다양한 단어들이 있으며, 그 중 일부는 영어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1. Essential
의미: 본질적인, 필수적인
어원: 라틴어 "essentia"에서 유래, 이는 "esse"(존재하다) + "-entia"(상태, 성질)로, "존재하는 것의 본질"이라는 의미에서 발전한 단어입니다.
2. Exist
의미: 존재하다
어원: 라틴어 "existere"에서 유래, "ex-"(밖으로) + "esse"(있다)로, "밖에 존재하다" 즉, "현실에 존재하다"라는 의미로 발전했습니다.
3. Essence
의미: 본질, 정수
어원: 라틴어 "essentia"에서 유래, "esse"(존재하다)에서 파생되었으며, 존재하는 것의 본질이나 핵심을 의미합니다.
4. Inessential
의미: 불필요한, 본질적이지 않은
어원: "in-"(반대의) + "essential"에서 유래, 본질적이지 않거나 필요 없는 것을 의미합니다.
"Esse"는 "존재하다"의 의미로, 다양한 단어에서 그 본질적 개념이 확장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949. I opened up my school bag.
- 해석: 가방을 열었어요.
- 분석: "I opened up my school bag."에서 "up"은 강조의 역할을 합니다. 이 경우, "up"은 단순히 "open"과 함께 사용되어 행동의 완전함이나 결과를 강조하는 의미를 가집니다.
"Up"의 역할:
완전성 또는 강조: "up"은 "open"을 더 강하게 만들고 그 행동이 끝났다는 느낌을 전달합니다. 즉, 단순히 가방을 여는 것이 아니라, 가방을 완전히 열었다는 의미를 강조합니다.
일상적 표현: "Up"은 일상 영어에서 "open up"처럼 자주 사용되며, 종종 "열다" 또는 "열리다"라는 동사를 보다 강조하거나 자연스럽게 표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표현은 더 포괄적이고 자연스러운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예시:
"I opened up the door." (나는 문을 열었다.)
"She opened up the box." (그녀는 상자를 열었다.)
"Let's open up the discussion." (토론을 시작해 보자.)
차이점:
"I opened my school bag."은 단순히 가방을 여는 행위 자체를 말하며, "up"을 사용하지 않은 문장은 그저 기본적인 의미입니다.
"I opened up my school bag."에서 "up"은 가방을 완전히 열었거나 그 행동이 더 강조된다는 느낌을 줍니다.
따라서 "up"은 의미적으로 큰 차이를 주지는 않지만, 행위의 강조 또는 완전함을 나타내는 효과적인 표현으로 사용됩니다.
응용
"I opened up my school bag to get my notebook."
(내 학교 가방을 열어 노트를 꺼냈어요.)
"She opened her bag to look for her keys."
(그 여자는 열쇠를 찾기 위해 가방을 열었어요.)
950. I was always prepared for the class.
- 해석: 전 항상 수업준비가 되어 있었어요.
- 분석: 응용:
"I was always prepared for the class, so I never had trouble with assignments."
(항상 수업을 준비했기 때문에 과제에 어려움을 겪은 적이 없었어요.)
"She was always prepared for the class, with all her materials organized."
(걘 항상 수업에 대비했으며, 모든 자료를 정리해 놓았어요.)
951. I had a lecture.
- 해석: 한 강연을 들었어요.
- 분석: 이 문장은 "나는 강의를 들었다" 또는 "나는 강의를 받았다"라는 의미로도 해석됩니다.
"Lecture"는 일반적으로 교수나 강사가 청중에게 하는 강의나 강연을 의미합니다.
"Had"는 과거 시제로, 과거에 강의를 받았다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응용:
"I had a lecture on history this morning."
(오늘 아침에 역사 강의를 들었어요.)
"I had a lecture about climate change yesterday."
(어제 기후 변화에 대한 강의를 들었어요.)
952. I took a class.
- 해석: 수업을 들었어요.
- 분석: "Took"는 "take"의 과거형으로, 과거에 수업을 들었음을 나타냅니다.
"Class"는 수업이나 강의를 의미합니다.
응용:
"I took a class on computer science last semester."
(저는 지난 학기에 컴퓨터 과학 수업을 들었어요.)
"I took a yoga class to improve my flexibility."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요가 수업을 들었어요.)
"Class"와 "Lecture"는 교육과 관련된 단어이지만, 의미와 사용 맥락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1. Class
의미: 학생들이 모여서 배우는 수업, 교실 활동 또는 강좌를 의미합니다.
포괄적인 개념: 수업의 형식이나 교수법에 관계없이 교육 활동 전반을 아우르는 용어입니다.
형식:
토론, 실습, 그룹 활동, 프로젝트 등 다양한 학습 활동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교수와 학생 간의 쌍방향 소통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문:
"I have a math class at 10 a.m."
(오전 10시에 수학 수업이 있어.)
"This class is very interactive."
(이 수업은 매우 상호작용적이다.)
추가 의미:
학년: "She is in the third-grade class." (그녀는 3학년 반에 속해 있다.)
사회 계층: "He comes from an upper-class family." (그는 상류층 가정 출신이다.)
2. Lecture
의미: 주로 교수가 학생들에게 일방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강의를 의미합니다.
구체적인 개념이나 특정 주제에 대해 설명하거나 정보를 전달하는 형식의 수업입니다.
형식:
대규모 청중을 대상으로 하며, 주로 교수의 일방적인 설명으로 진행됩니다.
질문이나 토론이 적거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문:
"The professor gave a lecture on quantum physics."
(교수가 양자 물리에 대한 강의를 했다.)
"I find her lectures very informative."
(그 강사분의 강의가 매우 유익하다고 생각해요.)
추가 의미:
꾸중: "He gave me a lecture about being late." (그는 내게 늦은 것에 대해 잔소리를 했다.)
결론적으로,
Class는 다양한 활동을 포함하는 학습의 일반적인 형태입니다.
Lecture는 특정 주제에 대해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강의 형식입니다.
둘을 비교하면, 모든 lecture는 class에 포함될 수 있지만, 모든 class가 lecture인 것은 아닙니다.
953. I took a lesson.
- 해석: 수업을 들었어요.
- 분석: "Lesson"은 특정 주제나 기술에 대해 배우는 과정이나 시간을 의미합니다.
"Lesson"은 "class"와 비슷하지만, 일반적으로 "lesson"은 더 구체적인, 일회성이나 특정한 주제를 가르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응용:
"I took a lesson in playing the piano last weekend."
(저는 지난 주말에 피아노 레슨을 받았어요.)
“I took a lesson on how to cook Italian food."
(이탈리안 음식을 만드는 법에 대한 수업을 들었어요.)
Study와 Learn의 차이점:
①Study:
"Study"는 "공부하다"라는 의미로, 어떤 내용을 체계적으로 배우기 위해 시간과 노력을 들여 조사하거나 학습하는 행위를 강조합니다. 주로 공부의 과정이나 방법에 중점을 둡니다.
예시:
"I studied English for two hours."
(2시간 동안 영어를 공부했어요.)
"She studied the book carefully."
(그 여잔 책을 신중하게 공부했어요.)
"Study"는 보통 결과보다는 과정을 강조하고, 학습을 위해 시간을 들여 학문적으로 접근하는 느낌이 있습니다.
②Learn:
"Learn"은 "배우다"라는 의미로, 어떤 지식이나 기술을 습득하는 결과를 강조합니다. 학습의 결과나 습득된 능력에 초점을 맞춥니다.
예시:
"I learned English."
(영어를 배웠어요, 즉 영어를 어느 정도 마스터했다.)
"She learned how to play the guitar."
(그 여잔 기타 연주법을 배웠어요.)
"Learn"은 결과적이고 완성된 습득을 의미합니다.
결론적으로,
"Study"는 학습의 과정과 공부를 하는 행위에 중점을 둡니다.
"Learn"은 배우고 나서 지식이나 기술을 습득한 상태를 강조합니다.
따라서, "I studied English"는 "영어를 공부했다"는 뜻으로 공부한 시간을 강조하는 것이고, "I learned English"는 "영어를 배웠다"는 뜻으로 결과적으로 영어를 익혔음을 나타냅니다.
954. I left early.
- 해석: 일찍 출발했어요.
- 분석: “I left school early.” 는 '조퇴 했어요' 입니다. 조퇴는 특별한 이유가 있을 때 (예: 아프거나, 약속이 있어서 등) 학교나 직장에서 정해진 시간보다 일찍 떠나는 것을 말합니다.
응용:
"I had to leave school early today because of a doctor's appointment."
(오늘은 의사 약속 때문에 조퇴했어요.)
955. I was absent from the class.
- 해석: 결석 했어요.
- 분석: “absent”는 “결석한”이라는 형용사입니다.
응용:
"I was absent from the class because I was feeling sick."
(아파서 수업에 결석했어요.)
"Absent"의 어원은 라틴어에서 유래했습니다.
Absent의 어원:
"Absent"는 라틴어 "absens"에서 유래했으며, "ab-" (떨어져, 멀리)와 "esse" (있다)에서 파생되었습니다. Present 의 “esse(있다)”와 같네요.
"Absens"는 문자 그대로 "떨어져 있는" 또는 "어디에도 있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며, 이는 "absence"(결석, 부재)와 같은 단어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결론적으로,
"Absent"는 "ab-" (떨어져)와 "esse" (있다)에서 유래하며, "어디에도 없거나, 존재하지 않는 상태"라는 의미에서 발전하였습니다.
956. I missed the class.
- 해석: 수업을 빼먹었어요.
- 분석: "Miss the class"와 "skip the class"는 모두 "수업에 가지 않다"는 뜻이지만, 사용되는 맥락과 뉘앙스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1. Miss the class:
의미: 수업을 놓치다 또는 출석하지 않다는 의미입니다.
주요 뉘앙스: 불가피한 이유로 수업에 참석하지 못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늦잠을 자거나, 아프거나, 다른 일이 생겨서 수업을 놓친 경우에 적합합니다.
여기 핵심은 의도하지 않고 “부득이하게” 입니다.
예시:
"I missed the class because I was sick." (아파서 수업을 놓쳤어요.)
"I missed the class due to a doctor’s appointment." (의사와의 진찰 예약 때문에 수업을 놓쳤어요.)
2. Skip the class:
의미: 의도적으로 수업을 빼먹다 또는 건너뛰다는 의미입니다.
주요 뉘앙스: 자발적으로 수업을 결석하는 경우, 특히 무책임하게 또는 그냥 놀고 싶어서 수업을 빼먹을 때 사용됩니다.
여기 핵심은 “의도적”이라는 것입니다.
예시:
"I skipped the class because I didn't feel like attending." (참석하기 싫어서 수업을 빼먹었어요.)
"He skipped the class to go to the movies." (그는 영화를 보러 가려고 수업을 빼먹었어요.)
차이점 요약:
"Miss the class"는 예기치 않은 이유로 수업을 놓쳤을 때 사용됩니다.
"Skip the class"는 자발적이고 의도적인 결석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Play hooky" 라는 고전적(?) 표현도 있답니다.
Play hooky(학교를 땡땡이 쳤어요.)
현재 사용 여부: 이 표현은 여전히 사용됩니다, 특히 구어체에서. 주로 학생들이 학교에 가지 않고 다른 일을 할 때 사용됩니다. 다만, "skip school”같은 표현들이 더 일반적으로 쓰일 수 있습니다. "Play hooky"는 다소 구식으로 느껴질 수 있지만, 여전히 친숙한 표현입니다.
Skip the class:
현재 사용 여부: 매우 일반적이고 현대적인 표현입니다. 학생들이 수업에 가지 않거나 일부러 수업을 빼먹을 때 자주 사용됩니다. 이 표현은 일상적인 대화에서 자주 등장할 수 있습니다.
I feigned an illness = I feigned to be sick = I pretended to be sick '꾀병을 부렸어요' 유용한 표현이죠. “feign” 은 발음이 [페인]으로 g 가 묵음이랍니다.
현재 사용 여부? "Feign"은 조금 더 격식 있는 말투에서 사용됩니다. "Feign an illness"처럼 “꾀병을 부리다”라는 의미로 종종 쓰이지만, 일상 대화에서는 "pretend"라는 표현이 더 흔히 사용됩니다. "Feign"은 문어체나 고급스러운 느낌이 나는 표현이라, 일상 대화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 편입니다.
957. I was suspended from school.
- 해석: 학교로부터 정학을 당했어요.
- 분석: “suspend”는 '매달다/중지하다' 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고, 여기서는 '중지하다' 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정학은 학생이 규칙을 위반했을 때 징계로 일정 기간 동안 학교에 나오지 못하게 하는 조치를 의미합니다.
응용:
I was suspended from school for breaking the rules.
(규칙을 어겨서 학교에서 정학을 당했어요.)
He was suspended from school for fighting.
(걔는 싸움 때문에 정학을 당했어요.)
If you skip too many classes, you might get suspended from school.
(너무 많은 수업을 빼먹으면 정학을 당할 수도 있다.)
"Suspend"의 어원은 라틴어에서 유래합니다.
"Suspend"는 라틴어 "suspendere"에서 유래하며, 이는 "sub-"(아래)와 "pendere"(매달다)에서 나온 합성어입니다.
"sub-": 아래, 아래로
"pendere": 매달다, 걸다
따라서 "suspendere"는 "아래로 매달다" 또는 "매달아 두다"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원래의 의미는 "위치나 상태를 계속해서 정지시키는" 것, 즉 "잠시 멈추다" 또는 "보류하다"는 뜻으로 확장되었습니다.
의미:
"Suspend"는 보통 "중지하다", "일시적으로 멈추다", "정지시키다"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예문:
"The match was suspended due to rain." (비 때문에 경기가 중단되었다.)
"His license was suspended for a month." (그의 면허는 한 달 동안 정지되었다.)
Suspend 와 연관된 주워 갈 수 있는 단어들을 보시죠.
"Pendere"에서 유래한 단어들은 "매달다" 또는 "걸다"라는 뜻과 관련이 있습니다.
1. Pendulum (추, 시계추)
Pendulum은 "pendere"에서 유래한 단어로, "매달린 것"을 의미합니다. 시계에서 시간을 측정하는 "추"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2. Pending (보류 중인, 미결인)
Pending은 "pendere"의 의미와 관련이 있으며, "아직 결론이 나지 않은 상태"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The decision is pending." (결정은 보류 중입니다.)
3. Append (덧붙이다)
Append는 "ad-"(향해, 더하여)와 "pendere"가 결합된 형태로, "어떤 것에 덧붙이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예를 들어, "I appended a note to the letter." (편지에 메모를 덧붙였어요.)
4. Depend (의존하다)
Depend는 "de-"(아래로)와 "pendere"의 결합으로, "아래에 의존하다"는 의미에서 "의지하다", "의존하다"는 의미로 발전했습니다. 예를 들어, "I depend on my parents for support." (지원을 위해 부모님에게 의존해요.)
5. Expend (소비하다, 쓰다)
Expend는 "ex-"(밖으로)와 "pendere"의 결합으로, "밖으로 쓰다"라는 의미에서 "소비하다", "사용하다"의 뜻을 가집니다. 예를 들어, "She expended all her energy on the project." (그 여자는 그 프로젝트에 모든 에너지를 소비했어요.)
958. I was expelled from school.
- 해석: 학교로부터 퇴학을 당했어요.
- 분석: “expelled”는 "expel"의 과거분사형으로, "퇴학시키다" 또는 "추방하다"는 뜻입니다.
"Expel"의 어원은 라틴어 "expellere"에서 유래하며, 이는 "ex-" (밖으로)와 "pellere" (밀다)라는 두 부분으로 나눠집니다.
"ex-"는 "밖으로" 또는 "밖으로 나가다"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pellere"는 "밀다", "쫓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expel"은 문자 그대로 "밖으로 밀다" 또는 "쫓아내다"는 의미로, 결국 "어떤 사람을 밖으로 쫓아내다" 또는 "추방하다", "퇴학시키다"의 뜻으로 확장되었습니다.
예시:
"He was expelled from the school for cheating."
(그는 부정행위로 학교에서 퇴학당했다.)
Expel 에서도 당연히 함께 주워 갈 단어가 있답니다.
"Pellere"는 라틴어에서 "밀다", "쫓다"라는 뜻을 가진 동사입니다.
1. Compel (강제로 ~하게 하다):
"com-" (강조, 함께) + "pellere" (밀다) → "함께 강제로 밀다"의 의미.
예: "She was compelled to tell the truth." (그 여자는 진실을 말하도록 강요당했어요.)
2. Repel (물리치다, 쫓아내다):
"re-" (뒤로) + "pellere" (밀다) → "뒤로 밀다", 즉 "쫓아내다"의 의미. 여기서 곤충 기피제인”insect repellant” 라 나왔어요.
예: "The soldiers repelled the enemy attack." (군인들은 적의 공격을 물리쳤다.)
3. Propel (밀어내다, 추진하다): 프로펠라(propeller)가 여기서 나왔어요.
"pro-" (앞으로) + "pellere" (밀다) → "앞으로 밀다" 또는 "추진하다"의 의미.
예: "The motor propels the boat forward." (모터가 보트를 앞으로 밀어낸다.)
959. I was dismissed from school.
- 해석: 학교로부터 퇴학을 당했어요.
- 분석: "Dismiss"는 "해고하다", "퇴학시키다", "기각하다" 등의 의미를 지니며, 특히 학교나 직장에서 사람을 공식적으로 내보내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Dismiss 와 expel 의 차이점?
"Dismiss"와 "Expel"은 모두 학교에서 사람을 내보내는 것과 관련이 있지만, 그 의미와 사용 맥락에 차이가 있습니다.
①Dismiss:
의미: "Dismiss"는 임시적인 퇴학 또는 자발적인 퇴학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수업이 끝난 후 학생을 "dismiss" 한다고 하면 수업을 끝내고 학생들에게 떠나라고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직장에서 상사가 직원에게 일을 끝내고 퇴근을 지시하는 것도 "dismiss"입니다.
전쟁영화에서 보면 모였던 군인에게 “dismiss!!”라고 하면 “해산!!!”의 의미이죠.
사용 예:
"The teacher dismissed the class early today." (선생님은 오늘 수업을 일찍 끝냈어요.)
"The student was dismissed from the class for misbehavior." (그 학생은 부적절한 행동으로 수업에서 퇴장당했다.)
②Expel:
의미: "Expel"은 강제로 퇴학시키거나, 추방하는 의미입니다. 학교에서 학생을 "expel" 한다는 것은 보통 심각한 규칙 위반이나 범죄를 저질렀을 때 영구적으로 퇴학시키는 것을 뜻합니다.
결론적으로,
Dismiss는 일시적이고 상황에 따라 자발적이거나 수업/회의의 종료를 의미할 수 있습니다.
Expel은 강제적이고 영구적인 퇴학이나 추방을 의미합니다.
“dismiss”의 어원을 한번 보겠습니다.
"dismiss"는 라틴어 "dimittere"에서 유래했습니다. 이 단어는 "dis-" (떨어져, 분리되어)와 "mittere" (보내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dimittere"는 "보내다", "풀어주다", 또는 "놓아주다"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의미 발전:
"dimittere"에서 발전하여 "dismiss"는 "사람을 보내다", "해산하다", "쫓아내다", 또는 "무시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영어에서 "dismiss"는 "사람을 보내다", "해고하다", "해산하다", "무시하다" 등 여러 가지 의미로 확장되었습니다.
따라서, dismiss는 "보내다", "떨어져 가게 하다"라는 원래의 의미에서 파생되어 현재의 의미들로 발전한 것입니다.
주워 갈 수 있는 단어들이 당연히 있죠!!!
mittere에서 유래한 다른 단어들은 "보내다", "놓다", "허용하다" 등의 의미와 관련이 있습니다. mittere는 라틴어에서 다양한 단어들을 통해 확장되었습니다.
1. transmit (전송하다, 전하다)
"trans-" (가로지르다, 건너) + "mittere" (보내다)
의미: 어떤 것을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보내다, 전하다.
2. permit (허락하다)
"per-" (완전히) + "mittere" (보내다)
의미: 어떤 일이 일어나게 하거나 가능하게 하다.
3. commit (위원회에 맡기다, 범죄를 저지르다)
"com-" (함께) + "mittere" (보내다)
의미: 어떤 일을 수행하다, 맡기다, 또는 범죄를 저지르다.
4. emit (방출하다, 내뿜다)
"e-" (밖으로) + "mittere" (보내다)
의미: 밖으로 보내다, 방출하다.
5. submit (제출하다, 복종하다)
"sub-" (아래, 아래로) + "mittere" (보내다)
의미: 아래로 보내다, 제출하다, 복종하다.
6. admit (입학시키다, 인정하다)
"ad-" (향하여) + "mittere" (보내다)
의미: 어떤 곳으로 보내다, 입학시키다, 인정하다.
7.remit (송금하다, 면제하다)
"re-" (뒤로, 다시) + "mittere" (보내다)
의미: 다시 보내다, 송금하다, 면제하다.
이처럼 mittere는 여러 단어의 어원으로 사용되어, "보내다", "보내기", "허락하다" 등의 의미를 가진 단어들로 확장되었습니다.
960. I was kicked out of school.
- 해석: 학교에서 쫓겨났어요.
- 분석: 이 표현은 구어체에서 사용하는 표현으로, "kick out"은 비격식적인 표현으로, "쫓아내다", "추방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학교에서의 퇴학 같은 상황을 이야기할 때 사용할 수 있지만, 공식적인 맥락에서는 "I was expelled from school."이 더 적합합니다.
응용:
I was kicked out of school for skipping too many classes.
(수업을 너무 많이 빠져서 학교에서 쫓겨났어요.)
He got kicked out of school because of bad behavior.
(걔는 나쁜 행동 때문에 학교에서 쫓겨났어요.)
They warned him several times before he was finally kicked out of school.
(그들은 그에게 여러 번 경고한 뒤 결국 퇴학시켰어요.)
일상적인 대화에서 가볍게 이야기하거나 구어체로 표현할 때 "kicked out"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Thank you for reading!